기능조직, 프로젝트 조직, 매트릭스 조직의 장단점

- 전문화를 강조하는 기능조직


부서내 직원들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조직은 기능조직(functional organization)이라 합니다. 기능조직 형태로 수행하는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팀원은 기능조직에 있고 파트타임 형태의 프로젝트 관리자를 운영하는 것으로, 중요도가 낮고 일정이 급하지 않은 소규모 과제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업부내 ‘고객지원 체계 개선’, ‘생성형 AI의 업무 활용방안’과 같은 과제를 수행할 때 파트타임 담당자 1명이 유관부서와 협업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유관부서 입장에서는 우선순위가 낮은 업무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자(업무 담당자)의 역량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기능조직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장점

• 기능부서의 부선원들은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육이나 세미나를 하기 쉽고, 우수한 인력의 지식과 기술을 옆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부서원들의 역량강화에 적합합니다.

• 유사한 기술과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이 모여 있어 조직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자원활용이 용이합니다. 뿐만 아니라 상품을 많이 생산할수록 상품생산 단가가 낮아지는 ‘규모의 경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부서원에게 성장경로를 제공하기가 용이합니다.

• 부서원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표준화가 용이합니다.


② 단점

• 프로젝트와 관련된 부서가 많을수록 시장환경, 전략, 고객 요구사항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어렵습니다.

• 부서의 목표를 우선하는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목표 달성이 어렵습니다.

• 기능부서의 자원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우선순위에 대한 부서간 갈등이 발생합니다.

 

- 통합을 강조하는 프로젝트 조직


고객만족, 신사업 발굴과 같이 단일한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관련된 부서들의 통합과 협업이 중요합니다.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모든 팀원들이 프로젝트에 전담으로 투입되는 전담TF(full-time Task Force)는 대표적인 프로젝트 조직입니다. 프로젝트 조직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장점

• 프로젝트 관리자가 전체 팀원을 통제하기 때문에 신속한 의사결정과 실행이 가능합니다.

• 프로젝트의 성공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팀 전체가 하나의 목표를 향해 노력합니다.

• 여러 부서의 사람들이 한곳에 모여 있거나 정기적인 회의체를 운영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용이합니다.


② 단점

• 조직 전체로 보면 인력과 장비의 중복이 발생하며 이는 자원활용의 효율성 저하를 초래합니다.

• 직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성장하기보다는 프로젝트 중심으로 이동하여 경력 개발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팀에서 수행하는 업무의 표준화가 어렵습니다.

• 조직문화, 기술이 다른 부서의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완료 후 소속감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집니다.

 

- 전문화와 통합을 혼합한 매트릭스 조직


현실에서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전문화와 통합의 장점과 단점이 혼합된 매트릭스 조직(matrix organization)형태로 진행됩니다. 프로젝트 팀원중 1명이라도 프로젝트에 전담으로 투입되지 않고 기능부서장과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지시를 받고 보고를 한다면 매트릭스 조직이 됩니다. 통합에 방점을 두면 프로젝트에 전담으로 투입되는 인력이 많아지고(프로젝트 관리자의 지시만 받는 사람이 많아지고), 전문화에 방점을 두면 프로젝트에 전담으로 투입되는 인력이 거의 없습니다. 인텔의 회장이었던 앤디 그로브는 매트릭스 조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 했습니다.  

 

인텔에서 모든 것을 시도해 보았지만 매트릭스 조직이 아닌 모델은 비록 모호함은 덜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엄격한 기능조직은 조직을 시장과 동떨어지게 하고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없게 만들었다. 반면 지나치게 미션(상품) 중심적인 조직은 과도한 업무분산으로 심각한 비효율과 전반적 성과저하를 낳았다. 매트릭스 조직과 이에 수반되는 이중보고 체계는 마치 민주주의처럼 그 자체로 완벽하지는 않다. 그저 비즈니스를 조직화하는 최상의 방법일 뿐이다.

 

매트릭스 조직에서는 프로젝트 팀원들이 두명의 관리자(dual boss)에게 보고합니다.


소트프웨어 상품개발 프로젝트에서 개발자는 특정 프로젝트에 전담으로 투입되기도 하지만 디자인, 상품기획, QA는 파트타임으로 투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 프로젝트에 파트타임으로 투입되는 팀원은 나머지 시간에 소속부서장이 요청하는 업무 또는 다른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매트릭스 조직은 전문화와 통합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현실에서는 두 조직의 장점보다 단점만 드러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직을 설계할때는 장점을 생각하지만 실제에서는 장점이 작동하지 않거나 단점만 드러나는 것이죠. 매트릭스 조직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장점

• 프로젝트에 특정 직무의 인력을 전담으로 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조직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 두명의 관리자가 협업하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한다면 전문화의 장점과 통합의 장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팀원의 역량향상도 하면서 프로젝트 업무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② 단점

• 듀얼보스 운영으로 프로젝트 조직의 구성체계와 보고체계가 복잡해집니다.  

• 기능부서와 여러 프로젝트 관리자간에 자원 할당에 대한 갈등이 발생합니다.  


=======================================================
제가 삼성 SDS에서 30년동안 경험하고 체득한 교훈을 정리한 <슬기로운 PM 생활>을 25년 1월 출간한 소식을 공유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5148133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11일 오전 3: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2010년에 처음으로 다음 커뮤니케이션에 신입 서비스 기획 직군으로 입사했을 때가 생각나는데요. 그 당시만 해도 "모바일 전담 조직"이 존재할 정도로 모바일 서비스 기획은 별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당시에 세상은 "Mobile First" 또는 "Mobile Only"를 외쳤지만, 모두가 모바일 전문가가 될 필요성은 아직 느끼지 못했던 것이죠.

    ... 더 보기

    PM에게 배우는 생존을 위한 AI 활용 서비스 기획 | 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

    PM에게 배우는 생존을 위한 AI 활용 서비스 기획 | 패스트캠퍼스

    React 면접 전 살펴보기 위한 Q&A 40가지 (2024년 ver)

    1. R

    ... 더 보기

    Top 40 ReactJS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in 2024 | Simplilearn

    Simplilearn.com

    Top 40 ReactJS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in 2024 | Simplilearn

     • 

    댓글 1 • 저장 215 • 조회 11,499


    얼마 전 재미있는 일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캠퍼스를 걸어가고 있는데 100m 앞 도서관 입구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그 광경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던 일행 중에서 동료 교수 한 사람이 이렇게 말했다. “저기 뭐 안 좋은 일이 있나봐요? 사람들이 모여 있잖아요.”

    ... 더 보기

    스트레스가 무서운 이유 나쁜생각 악순환 부른다 [김경일의 CEO 심리학]

    n.news.naver.com

    스트레스가 무서운 이유 나쁜생각 악순환 부른다 [김경일의 CEO 심리학]

    오늘 같은 날,다시 찾아보게 되는 산토리 위스키 일본광고 카피

    "

    ... 더 보기

    < 명상은 내 생각을 책임지지 않는 것이다 >

    1. 명상은 마음에서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는 일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