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찾는 사람에게 보내는 207 번째 편지

계란후라이 1020


면접이 어려운 이유

면접은 크게 질문과 답변이라는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질문은 주로 면접에 참여하는 회사 구성원 즉, 면접관이 하고, 답변은 입사 지원자가 만드는 내용입니다. 면접이 회사 구성원과 입사 지원자 모두에게 어려운 이유는 서로 어떤 질문과 답변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면접을 앞둔 입사 지원자가 긴장하는 이유는 면접에 참여하는 어떤 성향과 평가 기준을 가진 회사 구성원이 참여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반면, 회사 구성원이 긴장하는 이유 역시 어떤 경험과 역량을 가진 입사 지원자를 만나게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이유는 표면적인 것이고, 면접에 참여하는 입사 지원자와 회사 구성원이 긴장을 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고 추측합니다.

제가 추측하는 면접이 어려운 이유, 즉 면접에 참여하는 양면의 사람들이 긴장하는 이유는 서로 충분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질문에 따라 이야기할 답변에 대한 준비와 답변을 듣고 평가를 내릴 준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면접이 어렵고 힘들게 느껴지는 것 아닐까요?

면접에서 받을 가능성이 높은 모든 질문을 예상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족집게 과외 선생님에 빙의하여 예상 질문을 모두 안다고 한 들, 완벽한 답변을 준비하여 면접에서 말을 잘할 수 있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

준비는 평소에 본인 생각을 정리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합니다. 자신이 가진 경험과 역량을 정돈하여 다른 사람에게 소개할 수 있는 준비를 의미합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역량, 가치와 성향에 대한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면 면접에서 어떤 질문을 받던지 답변을 잘해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회사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해야 합니다. 채용 공고와 회사 홈페이지, 최근 뉴스 기사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입사 지원 회사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과 역량이 얼마나 회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증명할 수 있는 이야기를 준비하여 면접에 참여해야 합니다.

면접에 참여하는 회사 구성원은 좋은 질문을 준비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질문에 따라 어떤 답변을 기대하고 있는지 평가 가이드를 고민해 보아야 합니다.

답변 내용 중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키워드나 이야기 논리 구조 등 평가자가 기대하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선명한 가이드가 준비되어야 합니다.

막연한 공포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은 자신에게 두려움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용기 있게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공포의 대상을 눈으로 확인할 때, 그 녀석을 대적할 수 있습니다. 용기 있는 자만이 원하는 바를 쟁취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우리가 되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12일 오후 11:10

조회 96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8월 첫째주: GPT5 와 OpenAI의 오픈소스 출시는 어떤 의미일까?

    G

    ... 더 보기

    2025년 8월 8일 (금) 동동의 테크 타운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2025년 8월 8일 (금) 동동의 테크 타운 : 오호츠크 리포트

    < 모든 선택지를 검토하다 아무것도 못 하는 당신에게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458


    신뢰에 대한 단상

    출근길에 읽던 글에서 신뢰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그리고 문득, 얼마 전 구성원들과 대화하며 나도 모르게 "저를 믿고 한번 따라와 주세요"라고 말했던 순간이 떠올랐다. 글의 한 구절이 유독 마음에 깊이 파고들었다.

    ... 더 보기

    < 피터 드러커가 말한 7살도 아는 성공 공식 >

    1

    ... 더 보기

    《콤플렉스는 고통의 실체》

    ... 더 보기

    GPT-5 성능도 성능이지만 속도가 굉장히 빠르네요. 이거 생각은 하고 말하는거야? 싶을 정도. 개인적으로는 최상위 성능을 이정도 속도로 뽑아낸다는게 가장 중요한 혁신인 것 같습니다. 성능도 성능이지만 이 속도 덕분에 더욱 많은 것들이 더욱 빠르게 바뀌지않을까 싶습니다.

    조회 1,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