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The Unitas
레벨이 올라갈수록 위 상사와 어떻게 지내느냐가 더 중요해진다. 영어로 이를 "Manage Up"이라고 부를 정도로 중요한 스킬이다.
일대일 미팅을 하거나 할 때 내가 필요한 것만 이야기하지 말고 매니저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려고 하고 혹시 어떤 도움이 필요할지 내가 혹은 내가 맡은 팀이 무엇을 해야할지 많이 물어볼 필요가 있다. 매니저도 사람이고 나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즉, 내가 생각하는 나의 공헌이나 내 팀의 공헌을 생각하지 말고 내 매니저의 생각을 많이 들어보고 두 사람이 생각하는 공헌의 방향을 최대한 맞출 필요가 있다. 한 배를 타고 간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내 상사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상사의 강점에 호소한다. 강점이 분명할 사람일수록 분명한 약점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숫자에 굉장히 밝은 사람이지만 상대의 감정을 크게 개의치 않는 상사라면 필요한 것이 있을 때 감정에 호소하는 것보다는 숫자로 설득하는 것이 당연히 잘 동작한다. 하지만 때로는 상사가 내가 열심히 하는 것, 사람이 부족한데도 최선을 다 한다는 걸 이해해주지 못한다는 분노에 계속 상사의 감정에 호소하려는 경우를 보았다. 숫자도 밝고 EQ도 높다면 좋겠지만 그런 사람은 많지 않다.
이렇게 의사소통을 하다보면 나와 내 매니저가 정말 맞는 사람인지 아닌지 판단도 더 잘 할 수 있다. 내 상사는 대화가 힘든 사람이라고 단정짓고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호기심"을 갖고 이야기를 꺼내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20일 오전 5:17
언제나 호기심을 갖고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물론 상사를 대할 때도요^^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최고의 차별화 전략, 궁극의 브랜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가장 자기다운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는 아무리 신선하고 새로운 브랜드가 나오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 더 보기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1
... 더 보기피그마는 2024년 한 해 동안 7억4천900만 달러(약 1조18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8% 성장했다. 올 1분기에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올랐으며 최근 12개월 매출은 8억2천100만 달러(약 1조1천200억원)로 집계됐다. 총이익률은 약 91%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