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3000에 부산 기업 IPO도 훈풍부나? -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지금 마이크로소프트 CEO Satya Nadella는 1992년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해 22년 후 2014년 47살의 나이로 CEO 자리에 오른다. 그 후 이 사람이 만들어낸 다양한 변화들이 있지만 그 중 가장 획기적인 것은 마이크로소프트 자체 운영체제만 고집하지 않고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적극적으로 서포트하는 행보를 보였다는 거다.
그 시점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자기 운영체제를 고집하는 구조로 서버도 NT 등을 중심으로 이어가고 있었는데 클라우드 비지니스를 키우려면 결국 리눅스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던 시점이었다. Satya Nadella는 Azure 출신이었고 그러다다보니 이런 변화가 필요하다는 걸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었을테다.
Satya가 CEO가 되면서 리눅스 VM이 Azure에서 지원되기 시작했고, .NET Framework이 오픈소스로 전환되고, 리눅스 파운데이션에도 가입하고, SQL 서버를 리눅스용으로도 개발하고 2018년에 깃헙을 인수($7.5B)하는 등 마이크로소프트를 운영체제 회사가 아닌 그 이상의 회사로 탈바꿈시켰다.
개인적으로 2018년에 SK텔레콤과 자문 역할을 할 때 시애틀을 방문해서 Satya가 만들어낸 디지털 트랜포메이션에 관한 실례를 몇개 들은 것이 있는데 그건 다음 포스팅에서 공유해보겠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9일 오전 5:52
오픈소스 안 쓸 이유가 없지요 그게 무슨 포용입니까 다 이득이 되니까 하는거지 닷넷 프레임워크를 오픈소스로 한다고 엠에스가 딱히 손해볼 것도 없고요 자바에 밀려서 c#의 입지가 위태로우니까 엠에스가 그냥 공개해버린 것이지 무슨 자선사업하기 위해서 공개한 게 아닐 겁니다
1. 2년, 3년 앞을 미리 생각해야 합니다. 2~3년 앞을 생각한다면 왜 오늘 100개의 결정을 해야 할까요?
부산지역에서 상장을 준비 중인 기업으로는 삼진식품, 소셜빈,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뉴라이즌 등이 거론된다. 또 최근 통합법인으로 출범한 지역 대표 조선·에너지기자재 기업인 SB선보도 2027년 기업가치 1조원을 목표로 상장을 추진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 더 보기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