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일의혁신리더십] 리더는 변화를 시작하는 존재이다
n.news.naver.com
코로나19로 인해 필자에게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아마도 화상강의일 듯하다. 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한 지 20년이 넘었지만 의외로 화상강의를 할 기회는 그리 흔하지 않았다. 하지만 반강제적으로 화상강의를 할 수밖에 없었고, 이런 변화에 대한 첫 반응은 ‘귀찮음’ 내지는 ‘과연 가능할까’라는 의구심이었다.
혹시 ‘학생들이 처음에만 듣는 척하다 딴짓하진 않을까?’라는 걱정부터 ‘수십명이 쳐다보는 화상강의에서 분위기가 어색해지고 할말이 없어서 식은땀만 흘리는 난처한 상황이 생기면 어쩌지?’ 같은 두려움이 교차하였다. 하지만 화상강의를 2개월 넘게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수업태도나 참여에 대한 걱정이 기우였음을 깨달았다.
수십명이 함께 듣는 강의실보다 편안한 자기만의 공간에서 화상강의를 들어서인지 학생들이 비교적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활발하게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여러 번 놀랐다. 그리고 화면에 학생들의 얼굴과 이름이 함께 보이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을 부르며 강의를 진행하니 학생들 입장에서도 교수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준다는 생각도 하는 것 같았다.
이렇게 코로나19로 원치 않았던 화상강의를 2개월 넘게 하면서 여러 가지 시행착오도 경험했지만 이 과정에서 리더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도 갖게 되었다. 사람은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변화를 기대하고 받아들이는 존재라기보다는 회피하고 외면하려는 존재이다. 이건 심리적 현상이기도 하지만 생리학적 현상이기도 하다.
우리의 뇌가 작동하는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가 에너지 소비의 최소화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뇌는 자신의 신체가 반복적으로 해왔던 일들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새로운 변화를 위해 준비하고 고민하며 행동을 바꾸려 하면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더는 조직을 이끌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 변화가 없는 조직은 도태될 수밖에 없으며 그런 조직에 인재들이 모여들 리 없기 때문에 조직의 미래가 더욱 불투명해지는 악순환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래서 매니저와 리더의 가장 큰 차이는 미래를 위해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 가느냐 아니냐에 있다.
리더는 익숙한 것들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기본성향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더 좋은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변화가 잠시는 불편할지 몰라도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낼 것이라는 설득을 해야 한다. ‘리더는 변화를 시작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월 23일 오전 9:44
1. 뇌는 현실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우리가 사는 세계를 그리면서 색깔과 움직임, 물체와 소리까지 함께 떠올려야 한다.
O
... 더 보기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퇴근길 지하철에서 중년 사내와 20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필자의 앞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지.” 중년 사내가 젊은이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 순간 나는 묘한 추억에 빠져들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