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부터 시작된 카카오톡 실험실, 최근 그로스해킹이 라이징 되며 A/B 테스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다. 끊임없이 가설을 세워 실험을 하고 결과에 기민하게 반응하여, 고객의 니즈를 마치 대화하듯이 녹여내는 서비스들. 이를 위해 과감히 반영하고 또 과감히 덜어내어 실패를 인정하는, 그 과정에서의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야 ‘성장’을 맛볼 수 있다. 사실 일부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기능들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다를 수 있기에 극단적인 차이가 나지 않는 5~10% 수준의 차이로는 어떤 기능이 더 좋다 라고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럴 때에는 최종 한가지를 결정하여 서비스에 반영하는 것 보다는, 유저가 직접 ON/OFF 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는 것이 가장 최고의 선택이라고 생각된다. 카카오톡에서 실험실을 하나의 서비스로 안착시켜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미 검증된 서비스라는 사실🤫

카톡에 숨겨진 실험실 속 은밀한 기능

Naver

카톡에 숨겨진 실험실 속 은밀한 기능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2월 29일 오후 2: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그림자로 마케팅하는 맥주 브랜드 Brahma의 기발한 옥외광고 활용법

    ... 더 보기

    🍚한촌설렁탕의 파격적인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더스쿠프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AI를 활용하는 분야 Top 10

    1

    ... 더 보기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Harvard Business Review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27


    < 스타트업 PM이 넷플릭스 '대환장 기안장'에서 배워야 할 2가지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