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단기간에 압도적인 서비스가 된 이유> 1. 데니스 하웁틀리는 '히트 메이커'에서 혁신 프로세스를 3단계의 기본 활동으로 단순화했다. 2. (혁신을 위해) 가장 먼저 할, 일은 사람들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3. 그 다음에는 그 일을 하기 위해, 고객이 거쳐야 할 단계를 제시하고 설명해야 한다. 4. 마지막으로, 의도에서 결과까지 일련의 행동을 파악한 다음에, 이 과정이 최대한 단순해질 때까지 (복잡한 요소들을) 단계별로 하나씩 제거한다. 5. 이런 식으로 고객의 행동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복잡한 단계들을 대폭 축소한 기술이나 프로덕트는, 그것을 필요로 한 사람들 사이에서 채택률 또한 대폭으로 올라간다. 6. 하웁틀리의 주장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쉬우면 쉬울수록 좋다!'다. 7. (이처럼) 행동 수행의 난이도는 해당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제품 설계자들은 단순화를 통해 사용자를 가로막고 있는 장매물을 제거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 아래의 6가지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 사용자가 해당 행동을 수행하는 데 시간이 부족하지 않은가? (시간) - 해당 행동을 수행하는 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들지는 않은가? (비용) - 사용자가 하루종일 업무에 시달려 육체적으로 지쳐 있는 상태는 아닌가? (육체적 노력) -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내용이) 너무 복잡하지는 않은가? (정신적 노력) - 사용자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는가? (사회적 일탈성) - 해당 행동이 사용자의 평범한 일상과 너무 동떨어져 있는 건 아닌가? (비일상성) 8.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검색 엔진인 구글은 사실 해당 업계에 가장 먼저 진출한 회사는 아니었다. 1990년대 후반 구글이 처음 서비스를 개시했을 당시, 이미 야후, 라이코스, 알타비스트 같은 쟁쟁한 업체들이 버티고 있었다. 9. 이 상황에서 구글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거대 시장을 어떻게 평정할 수 있었던 것일까? 10. 무엇보다도 구글의 페이지랭크 알고리듬은 아주 효과적이었다. 구글은 이 방식으로 사용자의 검색 시간을 크게 줄여주었다. 11. 그러나 구글의 성공 요인은 이것만이 아니었다. 구글은 쓸데 없는 콘텐츠와 광고들이 넘치는 다른 검색 엔진들과의 차별성 부각에 성공했다. 12. 처음 서비스를 개시할 때부터 구글은 깨끗하고 단순한 홈페이지를 통해 검색 활동을 간소화했고, (이용자들이 가장 원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관련 결과를 띄우는 데만 초점을 맞췄다. 13. 간단히 말해, 구글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지적 노력을 줄여준 것이다. 14. 구글은 사소한 것이라도 사용자의 검색 활동에 방해되는 것은 모두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며 검색 엔진을 계속 개선시켰다. 15. (이처럼) 구글은 홈페이지를 최대한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검색이 보다 쉽게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을 제공했다. 자동으로 스펠링이 수정되고, 부분 질문을 바탕으로 예상 결과들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검색 내용을 입력하는 동안에도 검색 결과들이 화면에 나타나는 기능등이 모두 그런 예에 해당된다. - 니르 이얄&라이언 후버, <훅> 중

2021년 1월 11일 오전 12:33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