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시니어 PM의 차별화 요소> 1. 전략 Strategy 2. 자율성 Autonomy 3. 뉘앙스 Nuance PM으로서 갖춰야 할 너무도 당연한 요소일수도 있지만, 주니어 입장에서 시니어의 업무 방식/목표를 이해한다면 업무에 있어 조금 더 "센스있는" 팀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모든 것의 전제는 "성과"에 달렸다는 것..^^) *원문은 영어로, 오역이 있다면 양해 부탁드리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1. 전략 - 시니어 PM은 의미있는 고객을 확보하고, 사업을 성공적으로 끄는 전략을 디벨롭하고 전파해야한다. - 신입 PM은 제품에 증분될 가치를 우선하지만, 시니어 PM은 장기간 비전을 가지고 제품 방향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한다. (1) 비전 : 타겟 고객의 스토리보드를 그리고, 기존과 비교해 그들의 삶이 더 나아질 부분을 조명한다. (2) 전략적 프레임워크 : 타겟 시장, 고객이 느끼는 문제점,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차별 요소를 정해라. (3) 로드맵 : 주제를 분류해, 향후 몇 년 간의 업무에 대한 대략적인 계획을 작성한다. 이 계획에 대해 “why”를 던지고, 그에 대한 대답이 전략적 프레임워크의 시작이다. 2. 자율성 - 시니어 PM은 팀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 능력을 갖추는 게 아니라,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신뢰”를 얻는 것이다. (물론 성공적인 제품 론칭과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3. 뉘앙스 Nuance - 경력을 쌓을수록 정답이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결정에 더 많이 직면한다. - 최고의 가이드는 팀원과 관계자들이다. 피드백을 진지하게 받아들여라.

Becoming a senior Product Manager

www.lennysnewsletter.com

Becoming a senior Product Manager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4일 오후 1: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차세대 파이썬 패키지 매니저 uv 소개 영상

    h

    ... 더 보기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 

    저장 4 • 조회 659


    < 스타트업 PM이 넷플릭스 '대환장 기안장'에서 배워야 할 2가지 >

    1

    ... 더 보기

    기획 제안형 UX 포폴, 어떻게 문제 해결력을 보여줄까?

    UX 포트폴리오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