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유튜브 구독자 1명뿐이어도 광고붙인다..수익은 구글이 낼름
Naver
[유튜브 모든 영상 광고 + 유튜버 세금] 핵심 요약은 기사 + 유튜브 개정 방안을 확인하여 정리했습니다. <핵심 요약> 아래의 내용들은 내달(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1. 광고 수익 관련 '기존' 광고가 붙는 영상 - 채널 구독자 1000명, 시청시간 4000 시간 이상 - 해당 영상의 유튜버와 광고 수익 쉐어 '변경되는' 광고가 붙는 영상 - 구독자/시청시간 무관 - 채널 구독자 1000명, 시청시간 4000 시간 미만 → 구글 단독 광고 수익(유튜버 쉐어X) - 채널 구독자 1000명, 시청시간 4000 시간 이상 → 구글과 해당 영상의 유튜버와 광고 수익 쉐어 2. 세금 "필요시 미국 세법 따라 원청징수" - YouTube로부터 지급받을 자격이 있는 수익금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채널 멤버십 또는 Super Chat 수익금 포함)은 모두 '로열티'로 취급하여 세금 부과 - 즉, 전세계 유튜버들이 수익을 창출할 때 미국 세법에 따라 10%의 세금을 떼는 방안 실시 [큐레이터 평] 유튜브 모든 영상에 광고가 붙게 됐습니다. 한 가지 애매한 부분은 구독자/시청시간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때, 영상의 수익을 로열티로하여 구글이 다 챙긴다는 것인지, 이후 조건 충족시 지급하겠다는 건지, 이 부분은 법안만 봐서는 매우 애매하네요! 광고 관련해서 시청자의 반응은 '서버비도 엄청날텐데 유튜브도 돈 벌어야지~' '요즘 광고 너무 많아서 화가난다.' '프리미엄 이용해라;;' 과 같은데요. 조금 놀란 것은 비록 댓글이 일반인을 대표한다기에는 무리가 있을지라도, 의외로 비용을 지불하고(유튜브 프리미엄 또는 광고 시청)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뱉는 사람보다, 지지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세금 방면에 있어서 10%정도 인듯하지만 유튜버로써는 악재는 악재입니다. (하지만, 제가 준비하는 서비스의 관점에서 세금은 호재입니다. 헤헤) 그럼에도 현존하는 모든 채널 중 수익을 창출하기 용이하다는 것은 변함 없기 때문에... 과연 유튜버를 대체할 다음 서비스는 무엇이 될지! [참고사항(수익관련)] -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구독자 1000명, 시청 시간 4000시간 조건을 달성한 유튜버가 수익을 내기 위해 유튜브와 계약하는 프로그램 - 채널 멤버십 → 일부 유튜버 채널에서 볼 수 있는 구독 옆 '가입' 버튼 → 유튜버 채널에서 가입자 대상 특혜 제공(채널별 상이) → 조건은 파트너 프로그램과 동일하지만 채널 멤버십 이용 자격이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님 → 즉, 일부 메가(100만 이상)/매크로(1~100만) 크리에이터 대상 기능 제공 - Super Chat 수익금 → 유튜브 라이브에서 시청자가 유튜버에게 도네이션(기부)하는 수익금 → 기능을 사용하면 시청자는 눈에 잘 띄는 채팅 메시지를 구매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채팅 피드 상단에 채팅 메시지를 고정할 수도 있음 → 예시, 방송 화면에 "000님이 0000원을 후원했습니다." 알림
2021년 5월 20일 오전 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