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이디어는 무럭무럭 성장할 수 있지만, 처음에는 나약하고 제대로 형태를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자라나기 때문에, 쉽게 무시를 당하거나 위협을 받거나 짓밟힐 수 있다. 2. 기업이 아이디어를 분명하게 다듬기 위한 공간과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구성원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내놓도록 지원할 때, 혁신의 흐름이 빨라진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있다. 3. “기업과 조직 생산성 향상 잠재력의 80%는 현장 아이디어에서 나온다. ‘현장 직원이 아이디어를 주도하는 조직(Idea―driven Organization)’을 만들라.”

[매경 MBA] 성장? 현장의 아이디어가 강물처럼 흐르게 하라 - 매일경제

LINER

[매경 MBA] 성장? 현장의 아이디어가 강물처럼 흐르게 하라 - 매일경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1일 오전 9:2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6 • 조회 689


    '망한 디자인'이었나 싶었는데..알고 보니 고도의 마케팅!

    ... 더 보기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5 • 조회 1,033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