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web> Web1(1990-2005): 중앙화되지 않고 커뮤니티가 운영하는 오픈 프로토콜, 대부분의 가치는 네트워크의 경계선에 있는(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유저와 빌더들에게 돌아감 Web2(2005-2020)는 기업들이 운영하는 고립되고 중앙화된 서비스가 주축, 구글/애플/아파존/페이스북 등 소수의 기업들이 대부분 가치 가져감 → 기존의 web2는 초기에 유저들과 기여자들(창작자, 개발자, 기업)을 모아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 → S자 성장을 그리다가 유저의 증가세와 성장이 정체되면 유저와의 협력 관계에서 경쟁 관계로 돌변 → 유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환, MS vs Netscape, Google vs Yelp, Facebook vs Zynga, Epic vs Apple 같은 사례가 발생 → 기여자들로 하여금 다른 기업이 소유한 중앙화된 플랫폼에 자신들의 서비스를 올리는 것에 주저하게 되고 이는 혁신 저해 <web3의 등장> web3: 토큰으로 운영되는, 빌더와 유저들이 소유하는 인터넷 → 소유권과 통제권이 중앙화되어있지 않고 유저들이 fungible, non-fungible 토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의 일부 소유 가능 → 이더리움 위의 NFT는 미술품 뿐 아니라 코드, 운영 권리, 접근 권한 등을 소유할 수 있게 해줌 →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ETH은 거래 비용을 지불하는 통화이자 물리적 컴퓨터들이 시스템의 근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인센티브 → 유저들은 영리활동을 통해, 아니면 직접 구매를 통해 토큰 보유 가능 → 토큰은 네트워크 참여자들로 하여금 네트워크의 성장과 토큰 가치 증대를 위해 협력하도록 도와줌 → 이런 결과물은 다시 유저들에게 돌아감, 기존의 web2처럼 소수의 기업이 이익 독점하는 것 방지 → web3는 web2의 기능성과 web1의 탈중앙화 기능 모두 제공 ------------------------------------------------------------------------------------ - 중앙화된 권력이 제공하는 편의성을 거부하고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네트워크의 안정성이 정말로 신뢰할 만 한지? → 중앙화된 권력은 사회 발전의 증거, 이를 견제하고 개선하는 것에는 왜 관심이 없을까. - web3,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도 유저들 간의 영향력, 소유권 차이는 극심할텐데 '고래'들이 기존의 기업들처럼 담합해서 커뮤니티를 독점할 위험은 왜 언급하지 않는지? - 정말로 기존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누리던 편의와 그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지? - 신원불명의 개인들보다는 소수의 명확한 집단으로 존재하고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기업을 더 신뢰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되는데, web3와 블록체인 생태계에게서 아직까지는 뚜렷한 매력이 보이지 않음.

Why Web3 Matters - Future

Future

Why Web3 Matters - Futur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13일 오전 2:4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타트업 PM이 넷플릭스 '대환장 기안장'에서 배워야 할 2가지 >

    1

    ... 더 보기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명품 브랜드의 뷰티 라인은 향수나 한정판 립스틱처럼, 브랜드 세계관의 ‘조연’에 가까웠다. 하지만 최근 흐름은 전혀 다르다. 패션 하우스로 정체성을 다져온 브랜드들이 이제 메이크업, 스킨케어, 네일까지 뷰티 카테고리를 본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 더 보기

    명품 브랜드는 왜, 뷰티에 진심일까

    여성동아

    명품 브랜드는 왜, 뷰티에 진심일까

    조회 513


    야 걔 놀고 있대 I 중년 재취업 비밀. 노하우

    ... 더 보기

    역전의 명수

    

    ... 더 보기

     • 

    저장 5 • 조회 1,184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22 • 조회 3,376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 

    저장 4 • 조회 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