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만에 1억명 가입한 Threads 문구 리뷰

🎈 한 줄 요약 - UX Writer의 시선으로 보는 스레드 문구와 기능 ✔️ 메타의 쓰레드가 4일 만에 1억명이 가입했네요. 일론 머스크 대 저커버그의 밈 콘테츠로 관심을 이끌어 낸게 일단 성공적이라고 봐야겠네요. 다음으로는 메타가 트위터의 UX를 그대로 잘 가져왔다고 생각해요. ✔️ 물론, 저는 트위터를 사용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모르지만, 언뜻 보기에는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대표적으로 리포스트 기능이 이에 해당되지 않을까 싶어요. 또한, 텍스트 위주의 SNS라는 점과 사진은 4장으로 제한했다는 사실들요. ✔️ 이외 주목할 점은 '인용하기'라는 기능을 추가했다는 건데요. 저는 처음에 리포스트와 인용하기의 차이를 알지 못 했어요. 스테이폴리오 이벤트를 신청하기 전까지 말이죠. ✔️ 그에 대한 내용은 이따가 이야기하기로 하고, 트위터 UX 환경을 그대로 가지고 온 점을 저는 정말 칭찬하고 싶어요. 기존 멘탈 모델과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 누구나 어려움없이 쓰레드를 사용할 수 있죠. ✔️ 게다가 쓰레드가 표방하듯, 트위터라는 기존 제품의 대안을 찾고 있었던 사용자들은 쉽게 넘어올 수 있는 환경이 된 거죠. 한 가지 더 있는데 인스타그램과 자동으로 연동이 된다는 점, 인스타그램 아이디가 있어야 한다는 점도 좋은 방법이라 판단돼요. ✔️ 인스타그램 가입자는 16억 명인데, 이들을 그대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게 바로 브랜딩 효과라고 할 수 있죠. 한편으론 좀 아쉬운데요. 말 그대로 인스타그램 아이디가 없으면 쓰레드를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이에요. ✔️ 인스타그램과 쓰레드는 각 특성에 따라 사진과 텍스트라는 주요 콘텐츠를 작성하게 되는데요. 이 둘을 무조건 연동하여 '팔로우'까지 공유하게 되면 주 타겟이 합치되는 문제점이 발생해요. ✔️ 즉, 인스타그램과 쓰레드의 주 활용도가 다를텐데, 이를 하나로 합쳐버린게 잘못이라는 점이죠. 인스타그램에서 쓰레드로 사용자가 그대로 넘어올 수는 있지만, 활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접근하는 방법 또한 달라질 거라는 점이죠. ✔️ 하지만 이런 면도 있는 반면, 새로운 인플루언서 또는 새로운 사용자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활용하지 않을까 싶어요. 저만 해도 인스타그램에서는 사진을 신중하게 올리는데, 쓰레드에는 대충 올리니까요.🤣 1. 리포스트와 인용하기 ✔️ 여기까지는 쓰레드라는 그 SNS 특징에 대해 이야기를 해봤고, 다음으로는 UX라이팅으로 접근해보고자 해요. 우선 다음 두 기능이에요. • 리포스트 • 인용하기 ✔️ 둘을 딱 봤을 때, 어떤 기능이라고 생각이 드나요? 처음에 두 기능을 접했을 때, 문구만으로는 기능을 예측하지 못 했는데요. 한 번 사용해보니 확실하게 알겠더라고요. 아이콘도 무슨 기능인지 그대로 이해가 됐고요. • 리포스트: 다른 사용자가 올린 쓰레드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한다. • 인용하기: 다른 사용자가 올린 쓰레드에 '내 생각을 넣어서' 복사 붙여넣기 한다. ✔️ 특별한 기능이 포함된 UI는 기능을 써보기 전까지는 문구를 이해하기 어려워요. 이번 쓰레드에 나온 두 기능도 마찬가지죠. 아니, 인용하기만 그럴 수 있어요. 리포스트는 트위터에서 많이들 써 본 기능이기 때문이죠. 2. 좋아요와 답글 수 표시 ✔️ 무심코 넘어갈 수 있는 내용인데요. 답글과 좋아요 아이콘과 내용 표시 순서가 다르게 돼 있어요.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은 좋아요가 먼저, 답글이 두 번째로 돼 있는데요. 아래 내용 표시는 답글이 먼저, 좋아요가 다음으로 돼 있네요. ✔️ 기능에 따른 우선 순위를 고려할 때는, 답글이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하여 앞에 표시했다고 판단이 되는데요. 아이콘 상에서는 어떤 것을 누르는게 더 쉬울까, 더 쉽게 누를까?를 고려했을 때는 좋아요가 아닐까 하네요. ✔️ 아이콘 배치를 이 순서에 따라 한 거는 인스타그램처럼 피드를 더블 클릭했을 때, 좋아요가 눌리지 않기 때문이에요. 스레드는 스레드를 눌렀을 때, 상세보기 페이지로 들어가기 때문이죠. 이 기능은 추후 변화되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3. 팔로우 취소 기능과 신고 기능 ✔️ 스레드가 부정적인 기능을 그룹핑한 내용인데요. 분류가 흥미롭지 않나요? 아, 위 사진은 팔로우한 대상으로 나오는 내용이에요. • 팔로우 취소 - 일시 차단 • 숨기기 - 신고하기 ✔️ 팔로우 취소와 일시 차단이 숨기기, 신고하기 기능과 분리돼 있어요. 어떤 로직에서 이렇게 했을까요? 오히려 숨기기는 위 그룹과 더 어울리는 거 같은데 말이죠. ✔️ 영어 버전은 이와 다른 점이 있을까요? 궁금해서 제가 한 번 찾아봤는데요. 똑같더라고요. 그래서 조금 실망했어요. • Unfollow • Mute • Hide • Report ✔️ 위 내용은 팔로우하지 않은 사람이 스레드에 올라왔을 때 나오는 내용이에요. 특별히 달라지는 건 없어 보이고, '팔로우 취소' 대신에 '차단' 기능이 나왔네요. 그 기준이 아직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 그룹핑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라는 생각이랄까요. 오히려 일시 차단을 숨기기와 묶어서, '일시적인 부정적 기능'으로써 보여주고, 하단 차단과 신고하기를 하나로 묶고 빨간색으로 표시해 '영구적인 부정적 기능'으로써 표현하면 좋을텐데 말이에요. 4. 플레이스홀더 ✔️ 플레이스홀더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요. 검색창에다가 검색이라는 단어를 쓰거나, 스레드를 시작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쓰는 거보면요. 아직 세세한 내용까지는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을 알 수 있죠. 5. 삭제된 스레드 표시 ✔️ 삭제된 스레드를 보여주는 내용인데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음', '답글을 이용할 수 없음' 등 뭉뜽그려 표하고 있네요. 단순히 이용할 수 없음이라는 내용을 안내함으로써, 전체를 뭉뚱그려서 표현하고 있다고 판단이 돼요. 6. 스레드와 답글 ✔️ 전체적으로 UX라이팅이 비어있는 부분을 살펴볼 수 있었어요. 왜 그럴까? 생각했을 때는 아직 MVP 버전이라 그럴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더라고요. 즉, 아직 스레드가 베타 버전에 가까워 많은 부분이 비어있고, 기본 기능이 누락되어 있다는 판단이에요. ✔️ 그래도 긍정적인 면이 있었는데요. 어휘의 위계가 잘 설정돼 있어요. 스레드 아래에 콘텐츠가 있고, 거기에 답글을 다는 방식이 기본 형태인데요. ATF 영역을 보면 스레드와 답글이 동일한 위계로 설정돼 있어요. 왜 그럴까 생각을 해봤어요. ✔️ 제가 판단하기로는 스레드나 답글은 '내 글'이라는 측면에서 사용자에게는 동일한 수준으로 다가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에요. 이런 측면에서 '댓글'이 아니라, '답글'이라는 단어로 표현한 거라 보여요. 7. 총평 ✔️ 아직 제가 기본 기능만 써보고 자세한 기능을 살펴보지 못해 세세하게 파악할 수는 없었어요. 단점이 많이 보이는 이유도, 트위터라는 기본 그룹과 비교하며 살펴봤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 그래도 훑어봤을 때, UX라이팅의 긍정적인 면모는 '문구를 쉽게 풀어썼다는 점'인데요. 문구가 길어져도 기능을 세세하게 설명해줌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거 같네요. ✔️ 대표적인 예시로는 '답글을 남길 수 있는 사람', '좋아요 수 숨기기' 등이 있어요. 문구를 딱 봤을 떄, 어떤 기능인지 즉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 기능들은 리포스트나 인용하기와 다르게 메인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풀어쓰기가 가능하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어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7월 10일 오전 10:3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고의 차별화 전략, 궁극의 브랜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가장 자기다운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는 아무리 신선하고 새로운 브랜드가 나오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 더 보기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The Unitas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조회 327


    피그마는 2024년 한 해 동안 7억4천900만 달러(약 1조18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8% 성장했다. 올 1분기에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올랐으며 최근 12개월 매출은 8억2천100만 달러(약 1조1천200억원)로 집계됐다. 총이익률은 약 91%다.

    ... 더 보기

    '디자인계 유니콘' 피그마, 재무 정보 첫 공개…IPO 청신호

    zdnet.co.kr

    '디자인계 유니콘' 피그마, 재무 정보 첫 공개…IPO 청신호

    한국 문화가 글로벌하게 인기 있으면 이런 일까지 벌어집니다

    1

    ... 더 보기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n.news.naver.com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행복은 모든 사람이 갈망하는 삶의 화두다. 행복해지기 위해 공부하고, 일하고, 운동하고, 절대자를 찾고, 복권을 긁는다. 하지만 행복에 도달한 사람이 그렇게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접근 방법이 틀렸기 때문이다.

    ... 더 보기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n.news.naver.com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

    조회 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