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와 퍼실리테이터로서 UX 라이터의 역할

✍ 기획자의 글쓰기 시리즈 [📝 디자이너와 퍼실리테이터로서 UX라이터의 역할] (👀 간단 요약) 📌 UX 라이터이자 대문자 DESIGNER ✓ 글만 쓴다고 될 게 아니라는 거죠. 일단 협업이 필수이다 보니까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정말 중요해요 ✓ 프로덕트 기반으로 사고해야 하니까 UX도 잘 알아야, 디자이너가 될 필요는 없지만 사고방식은 이해할 수 있어야 하죠. ✓ 커뮤니케이션, UX 등의 역량 없이 글만 쓴다면, 내 일이 다른 사람의 일을 글로써 도와준 것에 그쳤다고 느끼기 쉬워요. ✓ 대문자 디자이너(DESIGNER)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디자인 업무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전체 디자인 분야에서 특정한 역할을 하는 개인을 의미 ✓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기반으로 업무 하는 UX 리서처, UX 라이터 등이 해당된다. 📌 문제 정의에서 시작하는 라이팅 ✓ 화면/기능에서 라이팅으로 어떤 사용자 문제를 예방 또는 해결하려고 하는 것인지 정의 ✓ 문제 정의가 명확하지 않으면 결론 없이 무한히 발산만 하게 될 수도 있음 ✓ UX상 문제 정의를 할 줄 알아야 이 정도 라이팅이면 괜찮다, 올바르다를 판단할 수 있음 ✓ 문제가 해결 또는 예방됐는가를 기준으로 최선 여부를 판단하는 것 📌 What do you want to talk about? ✓ 위 문구는 링크드인 앱(영어 버전)에 게시글을 올릴 때 나오는 플레이스홀더 문구 ✓ 용자는 이 문구를 통해 해당 화면이 텍스트 입력을 할 수 있는 기능이며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을 적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음 ✓ 문구가 없다면 ‘사용자가 인풋필드에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할지 모르는 문제’ 또는 ‘인풋필드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인지 알지 못하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음 ✓ 한 줄짜리 간단한 문구지만 하필 이 자리에 왜 이 정보가 필요한지, 문구가 없다면 사용자에게 어떤 문제가 생기는 지를 하나하나 정의하는 것이 글쓰기보다 선행되어야 ✓ 그러고 나서 '그래서 라이팅이 문제를 예방 또는 해결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면 잘 쓴 라이팅이 되는 것 📌 design을 고려하는 라이팅 ✓ 라이터가 디자이너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다른 이유는 UI 텍스트가 원고지에 쓰는 문장이 아니기 때문 ✓ UI 텍스트는 정보이기도 하지만 디바이스라는 가로, 세로 사이즈가 정해진 캔버스 상의 컴포넌트이기도 ✓ 라이터는 글을 UI 요소로써도 바라보고 가장 가독성도 좋고 디자인의 균형을 해치지 않을 문장의 길이감을 제안 ✓ 폴드에서 텍스트가 잘리는데 좀 더 줄일 수 없을까요?“ 같은 피드백은 라이터와 디자이너의 대화에서 빈번 ✓ 라이터가 UI 컴포넌트나 그래픽과 잘 어우러지는 지도 확인할 수 있음 ✓ 사용자에겐 라이팅이나 디자인 모두 구분없이 한꺼번에 인지하는 정보 ✓ 라이팅이 디자인과 상호 보완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정도는 라이터도 하는 게 좋음 📌 UX 라이터이자 판을 짜는 퍼실리테이터 ✓ 퍼실리테이터는 개인 또는 조직이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논점을 짚어주며 건설적인 논의를 할 수 있게 이끄는 사람 ✓ 라이터 스스로 모든 정책을 알고 있긴 힘듦. 결국 기능/제품을 만드는 과정에 각자의 전문성으로 기여했던 팀원들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뜻 ✓ 실제 일을 하다보면, UX 라이터 1인의 아이디어로 끝까지 끌고 가 완성되는 문구는 거의 없음 ✓ 대개는 팀원들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의 수정을 거친 ‘진짜_최종_라이팅’으로 마무리 📌 더 나은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고민하는 판을 짜는 일 ✓ UX 라이터 스스로는 별 역할이 없는 건가 생각할 수 있는데 오히려 반대 ✓ 애초에 함께 만들어가는 글쓰기라는 협업 행위 자체가 UX 라이터의 존재 덕분에 일어나기 때문 ✓ UX 라이터의 시안을 통해 팀원들은 더 나은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고민할 수 있음 ✓ UX 라이터의 존재 자체가 팀원들이 더 나은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고민하게 하는 촉매제가 되는 것 ✓ 라이터는 우리가 라이팅으로 해결 또는 예방하려는 사용자 문제가 무엇인지 팀에 상기하고 팀원들이 가진 정보를 취합해 논의의 판을 마련

디자이너와 퍼실리테이터로서 UX 라이터의 역할

Brunch Story

디자이너와 퍼실리테이터로서 UX 라이터의 역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9일 오전 1:4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CLSA는 정샘물뷰티의 투자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정샘물뷰티는 지난해 매출 1100억원, 영업이익 121억원을 기록했다. 매장은 200여 개국에 1300여개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기업가치 3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EBITDA 대비 15배의 몸값을 인정 받은 셈이다.

    ... 더 보기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n.news.naver.com

    [단독] 글로벌 PEF CLSA, 'K뷰티 대모' 정샘물에 베팅

    조회 264


    소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