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하는 즉시 기분이 나아지는 방법 | 인지행동치료
www.youtube.com
스스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방법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함
자신이 하는 생각을 다른 사람도 할거라 생각
같은 것을 보면 자신과 같은 논리적 과정을 통해 동일한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 생각
소박 실재론 : 뇌가 자기만의 방식으로 머릿 속 시뮬레이션으로 재해석
감정은 이 해석에서 나옴
분노라는 감정을 느낄 때, 세상이 내가 그런 감정을 느끼도록 만들었고 그래서 그 감정을 느낄만한 타당한 이유와 논리를 가지고 있다고 함
하지만 우리 주변의 세상은 거기에 존재함
달라지는 건 오직 나의 해석, 생각 뿐
친구가 약속된 장소에 나오지 않으면
하찮게 여긴다고 생각해 분노감, 실망감
만약 친구가 큰 사고를 당해 입원하는 사실을 추가로 알면 여전히 타당할까?
뇌는 이런 감정들이 사실로 느끼도록 프로그래밍 됨 : 정동 실재론
우리에게 감정은 100% 사실
감정은 생각으로부터 나오며, 우리에겐 항상 100% 사실이다. 그러나 감정을 만드는 생각은 항상 100% 사실인 것은 아니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 : 현 상황에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부족함. 감정에 따라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만드는 예언자적 사고와 같은 인지 왜곡 때문
예언자적 사고 : 정당한 근거 없이 미래의 일을 단정하는 것
마음이 건강한 시간엔 소소항 햅고을 맛봤지만 부정적 감정에 덮이고, 내 인생은 행복할 일이 없을 것이야라는 식으로 미래를 단정지어 버림
부정적 감정에는 긍정적 속성이 있음
변화에 대한 저항의 또다른 이유
실직 때문에 받은 스트레스 ⇒ 불확실한 미래로 불안과 우울 ⇒ 불안과 우울을 한번에 사라지게 한다면 즉시 행복해질 수 있음
대신 주어진 상황에서 무언가를 더 하고 싶다거나 상황을 개선하고 싶은 생각은 사라짐
새 직장을 구하지도 않고 계속 경제적 고통을 받을 것
이 사람의 불안과 우울음 책임감이자 행복감을 주는 사랑의 한 형태
죄책감으로 열심히 일을 구하는 동기가 될 수 있음
부정적 감정의 장점과 핵심 가치를 명확히 인지하면 변화에 대한 저항은 오히려 감소
변하지 않아도 될 이유로 나를 사랑해도 될 이유가 생김
생각에 반전을 주어 변화에 대한 저항을 낮추는 과정 : 데이비드 번즈 박사가 고안한 방법. 저항을 낮추고 변화를 위해 내가 나 자신과 팀이 될 수 있는 긍정적 재구성이란 도구
마법 다이얼
장점과 핵심 가치관은 지니고, 부정적인 감정만 조절해 생산적인 방향으로 조절
감정을 조절한 후, 인지 왜곡 부수기
누군가에게 1년 뒤에 세상이 망할 것이다란 말을 들어서 좌절감을 느끼진 않을 것 ⇒ 우린 이 생각을 믿지 않기에
우리가 감정에 고통을 받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생각이 존재해야 하고
그 부정적인 생각을 믿어야 함
난 패배자야, 아무것도 이루지 못해에 숨어있는 인지 왜곡
흑백논리 : 경험할 수 있는 것은 패배 또는 승리 둘 중 하나
지나친 일반화 : 한 번의 실패가 나를 정의
정신적 여과 : 잘 했던 일은 잊고 단 한 번의 실패에만 집중
성급한 결론 짓기 : 근거도 없이 영원히 실패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림
부정적 감정을 극복하려면 왜곡된 사건을 긍정적으로 바꿔야 함
우리가 바꿔야 하는 것은 일어난 사건이나 감정이 아님.
긍정적 생각은 내가 100% 믿을 수 있는 사실적인 생각이어야 함
구체적인 어떤 순간의 부정적인 사건에 우리의 문제가 요약되어 있다.라는 배경으로 몇 가지 핵심적인 생각을 바꿔서 생각하는 방식 전체를 바꿈
프랙탈 심리 치료라고 부름
필링 그레이트
뇌의 화학적 구조를 실제로 바꿀 수 있다고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법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힘이 생겨 재발을 방지하는데 탁월
핵심
우리의 부정적 감정은 나의 장점이자 핵심 가치관을 반영한다
부정적 생각은 현실을 뒤틀고 오도한다
마음과 생각이 우리의 모든 것이다
https://youtu.be/NcYYfaNTtn8?si=SFeJ9a_ymDPZVZkw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8일 오후 1:50
균형을 유지해서 어느 한 상태가 다른 상태를 압도하지 않게 하려면 필요한 것이 있다. 바로 ‘룬샷’을 도모하는 예술가와 ‘프랜차이즈’를 도모하는 병사가 똑같이 사랑받는다고 느껴야 한다는 것. 나약하고 모호한 소리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아주 현실적인 얘기이자 자주 간과되는 요소다.
... 더 보기T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