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S로 제품의 진짜 성과 분석하기
Brunch Story
“협업의 열반에 들어가려면 가장 먼저 사회적 스킬의 세 기둥을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첫 번째, 겸손
당신의 코드는 우주의 중심이 아닙니다. 당신은 모든 것을 알지도, 완벽하지도 않습니다. 겸손한 사람은 배움에 열려 있습니다.”
- <구글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모 기업들의 구인 절차 중 ‘과제 전형’에 대한 말을 해보고 싶다. 일반적인 코딩 테스트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개발자의 협업 방식보다는 문제 접근 방식을 보고자 하는 경우가 많고 프로그래밍 역시 협업에 초점이 맞춰지기보다는 문제 해결에 맞춰져 있다. 하지만 과제 전형은 약간 다르다. 문제 접근 방식부터 개발자가 어떻게 일하고 협업하는지 까지를 보고자 하는 절차이다. 그렇다면 과제 전형을 치르는 개발자가 우리 회사의 협업 방식과 코딩 스타일과 어떻게 맞고 다른지 겸손하게 피드백을 해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예전부터 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9일 오전 6:41
기
... 더 보기실
... 더 보기어
... 더 보기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