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보다 중요한 건.." 나를 위해 美 심리학자가 일주일에 딱 3시간만 하라는 일은 부모님의 잔소리와는 결이 다르다
허프포스트코리아
조직 심리학자이자 행동 과학자인 마이크 러커는 ‘재미 추구’가 신체 및 정신적으로 행복해지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CNN에 따르면 많은 사람이 인생에서 생산성을 우선시하며 ‘재미있는 일’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가장 중요한 걸 놓치는 행동이다.
마이크 러커는 재미있는 일을 많이 할수록 건강과 인간관계가 좋아진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그는 재미있는 일을 많이 할수록 생산성도 높아진다고 말한다. “인생에서 재미를 추구하는 일은 ‘비생산적인 추가적인 일’이 아니라 필수적인 자기 관리의 일부다.”
“그렇다면 행복과 재미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마이크 러커는 이렇게 답했다. 행복은 결과 중심적이다. 우리는 에너지를 사용해 왜 우리가 행복하지 않은지, 또는 행복한지 분석하곤 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상상하는 행복’과 ‘현재 나의 상태’, 그 어딘가의 사이에 갇혀버릴 수 있다. (실체가 모호하다는 뜻이다).
반면 “재미”라는 것은 생각을 하는 대신 행동이 우선이다.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하고 관찰할 수 있고 실제가 있고 즉각적이다. 당신은 어떤 활동에서 즐거움을 찾고, 참여하고 싶은가? 누구나 자신만의 답을 할 수 있고 재미를 추구할 때 즉각적으로 신경학적인 반응을 느낄 수 있다.
마이크 러커가 말하는 재미있는 활동은 반드시 거창하거나 많은 활동성을 필요로 하는 행동을 뜻하지 않는다. 식물 키우기, 명상, 독서 등 다소 정적인 활동도 포함된다.
“우리는 생산적인 일을 해야만 한다는 압박을 받고 그렇게 행동한다. 많은 사람이 단순 재미 추구보다 생산성을 추구한다. 하지만 그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있다. 재미있는 일을 하는 게 사실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사는 것과 일치한다. 둘은 분리된 개념이 아니다.”
’행복‘만 추구하는 삶을 살 때 마이크 러커는 오히려 문제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완전한 삶은 기복, 기쁨, 고통, 지루함을 포함한다. 좋은 일만 가득, 좋은 느낌만 가득하길 바라라는 말에는 사실 정서적 유연성이 부족하다. 행복과 달리, 재미는 다양한 감정 상태와 일치하며 때로는 그런 감정을 초월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내게 재미있는 일’을 찾을 수 있을까? 마이크 러커는 사람마다 재미있는 일이 다르다면서, 하면 즐거운 일의 목록을 작성해 보라고 추천했다. “이런 목록 작성은 호기심을 유연하게 하고 자료를 제공한다. 목록을 적은 후에는 큰 카테고리로 나누고 8~15개 정도의 달성 가능한 옵션을 따로 적어 보라.”
실제로 연구 결과들도 ‘재미를 추구하는 사람이 더 생산적이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재미를 위해 시간을 확보하고 흥미로운 일을 지속해서 추구하는 사람이 가장 생산적이기도 했다. 재미를 느끼면서 일을 하는 사람이 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생각을 할 가능성이 크다. 재미를 위한 시간은 비선형적 사고를 위한 능력을 자유롭게 해준다.
그러나 바쁜 하루를 보내다 보면 재미를 추구할 시간이 없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마이크의 조언은 이렇다. "하루 2시간 정도 흥미로운 일을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물론 재미의 중요성을 평가절하하는 사회에서 일이나 공부를 하면서 ‘재미있는 일’에도 하루 2시간 투자가 많아 보일 수 있다. 그럴 경우에는 우선 일주일에 1~3시간이라도 재미를 느끼는 일에 투자해 보라. 조금씩 시작해도 충분히 효과가 있을 것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2일 오전 11:43
오픈AI는 아이브의 AI 기기 개발 스타트업인 io를 전액 주식 거래로 인수하기로 했다. io의 기업가치는 약 65억달러(약 8조9000억원)로 평가된다.
... 더 보기1. 당신에게는 세 가지 여과 장치가 있는데, 첫째는 당신의 집착, 둘째는 당신의 신념, 셋째는 당신의 두려움입니다.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리더. 국어사전을 보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식백과사전에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목표의 달성이나 방향에 따라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 구성원들에 대한 결정의 책임을 지고 또한 집단 외부와의 조정 기능의 역할도 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