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er Productivity Engineering at Netflix
The New Stack
Netflix의 생산성 엔지니어링 디렉터인 Kathryn Koehler가 Netflix에서 개발자 생산성과 관련해서 설명했습니다.
Netflix에는 생산성 엔지니어링 조직이 있는데 이 조직은 개발자의 흐름은 방해하는 모든 것을 추상화해서 관심사를 분리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고 리소스에 제한이 있으므로 티어를 나누어서 높은 티어에 더 심층적인 문제르 살펴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개발자 생산성을 추적하기 위해 DORA 등의 정량적 지표도 사용하지만 The SPACE of Developer Productivity도 활용해서 만족도, 효율성, 성능, 협업에 대한 정성적인 지표도 함께 추적하고 있다고 합니다.
생산성 엔지니어링 조직에서는 내부 플랫폼을 제공해서 포장된 길에서 사내 개발자들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데 이러한 도구에 대한 피드백도 얻기 위해 설문조사같은 방법도 있지만 설문조사는 순간적인 상황이나 질문의 형태에 따라 결과가 달라져서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개발자들과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비슷하게 사내 엔지니어를 지원하는 일을 하고 있어서 그 결과 측정에도 관심이 있는 편이라 Netflix에서 접근하고 있는 측정 방법에 대해서 관심이 꽤 갔습니다. 설문조사로는 제대로된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데는 크게 동감합니다.
https://thenewstack.io/developer-productivity-engineering-at-netflix/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9일 오후 2:42
1
... 더 보기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