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대성의 소통 본색] 결정을 미루는 리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강사신문
내가 뭔가를 갖게 되어, 다른 사람들보다 뭔가 더 있게 되어 이 글을 적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나는 또 다른 누군가에 비해 갖지 못한 사람이다. 그래서 ‘비교’라는 것에 대한 생각을 남기고 싶다.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같을 지는 모르겠지만, 유독 한국 사회는 비교를 많이 한다. 내가 너보다 더 많은 것을 가져야만 한다. 그래서 옛말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이 있듯이, 자꾸 누군가와 비교하고 그 사람들보다 내가 더 많은 것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체로 서구 사회는 타인과의 비교 보다는 나의 생각과 삶, 행복이 더 중요하다. 그 행복의 척도는 남과 비교를 통해 오는 것이 아니다. 지금의 내 상황, 가족과의 삶 속에서 행복을 찾고 얻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그 행복이 돈으로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땅이라는 개념도 자본이다.
“다른 사람보다 더 좋은 차, 큰 차, 큰 집, 휘황찬란한 옷, 장신구, 가방 등. 또한, 저 친구는 어느 대기업 다니더라, 연봉이 얼마더라, 이웃집 아들은 어느 회사를 다닌다더라, 그런데 우리 집은, 우리 아들은, 내 삶은, 내 통장은, 내 집은, 내 차는 이것 밖에 안되더라.”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생각과 푸념들이다. 도대체 어디까지, 언제까지 이런 비교를 하며 지낼 것인지 걱정이다. 이런 글을 적고 있는 나 역시 이런 푸념을 오늘도 하고 있다. 벗어나고 싶다.
이상한 점은, 우리는 항상 우리보다 경제적으로 나은 사람들만을 보고 비교한다. 나보다 못사는, 갖지 못한 사람들과는 잘 비교하지 않는다. 나보다 갖고 있는 것이 많지 않은, 극단적인 예로 아프리카에서, 북한에서 먹을 것 없이 죽어가고 있는 사람들의 삶은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며, 그저 한국이 아닌, 아프리카, 북한 등 어려운 나라에서 태어난 것일 뿐이다.
그들과 우리의 삶을 비교해 본다면 우리 삶에 대해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에게 벤츠가 있나, 32평 아파트가 있나, 삼성, SK 같은 대기업 타이틀이 있나. 그들은 오늘 당장 먹을 쌀 한 톨이 없어 걱정하고 신음하고 있다.
비교를 통해 내가 더욱 발전하려 하고 성장하는 것, 매우 좋다. 그러나 그 비교가 정도를 넘어서서 나의 좌절, 절망, 욕심, 탐욕, 절도, 비난, 범죄 등으로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팔로워가 몇 명 안되어도, 많은 사람들이 내 글을 몰라줘도, 나의 성과가 좋지 않더라도, 현재에 감사하며 그 감사를 통해 일어서고 일어섬으로 성장하여 가진 것을 나누는 긍정의 문화가 확산되길 바라본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1월 1일 오전 1:31
리더의 역할은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을 이끄는 것이다.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지나치게 시간을 끌거나 아예 결정을 피하는 리더가 있다. 이런 리더가 있는 조직은 점차 무기력해지고 성장의 기회를 놓치게 된다. 여러 가지 단점이 있지만, 가장 큰 단점은 직원들을 게으르게 만든다.
... 더 보기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흔히들 브랜딩을 고객 관점에서 생각하지만, 진짜 강력함은 내부에서 시작되고 완성됩니다. 구성원으로부터 시작되는 강력한 브랜드 구축 방법론을 ‘인터널 브랜딩’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에는 회사의 가치와 비전, 미션을 직원들의 일상적 행동과 태도로 실천하고 일치시키는 모든 과정이 포함됩니다.
... 더 보기1. 우리가 하는 많은 일이 처음입니다. 외부에서도 경험한 사람이 없는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