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결국 D2C(Direct to Customer)의 방법 중 하나. 스티비, 뉴스레터의 '툴'이라고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 창업주 인터뷰 중에서 -------- - 왜 뉴스레터가 주목을 받게 됐을까. 임호열= 플랫폼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마케팅을 하면 특정 플랫폼에 돈을 내고, 콘텐츠를 그곳에 노출시킨다. 어떻게 노출할지 우선순위나 방식을 결정하는 건 플랫폼이다. 플랫폼이 정책을 바꾸면 전략 자체를 바꿔야 할 정도로 영향을 많이 받는다. 플랫폼의 생명 주기도 고려해야 한다. 그 플랫폼의 생명이 다할 수 있다. 그러면 마케팅하는 입장에선 다시 돈을 써서 다른 플랫폼의 고객을 새롭게 확보해야 한다. - 플랫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최대 장점인가. 임호열= 맞다. 이메일이 사라질 일은 없으니 플랫폼의 생명이 다할 때마다 갈아탈 일 없이 꾸준히 기반을 갖고 할 수 있는 마케팅 활동으로서 의미가 있다. 언론에선 포털의 영향력을 생각할 수밖에 없는데, 거기에 의존하다 보면 자신들의 구독자를 구축하고 그들과 관계를 유지하기 힘들어지는 것 같다. 포털의 이용자와 관계를 맺는 것이지 우리의 고객은 아니다. 반면 뉴스레터는 내 구독자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미디어MZ] 휴지통이 아닌 당신을 클릭하게 만드는 뉴스레터

미디어오늘

[미디어MZ] 휴지통이 아닌 당신을 클릭하게 만드는 뉴스레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8일 오전 9: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903


    빠르게 한 방향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조직 전체에 핵심 가치가 공유돼야 한다. 핵심 가치란 리더가 조직의 성공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라고 정의할 수 있다. 기업이 성장하면서 구성원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데, 이들이 각기 다른 가치를 우선시하며 일한다면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 핵심 가치는 그런 사태를 막아주는 ‘필터’ 역할을 한다.

    ... 더 보기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의 관건은 '핵심가치 공유'

    한국경제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의 관건은 '핵심가치 공유'


    < 초동 100만 장, 그런데 팬은 어디 있죠? - 엔터 테크와 데이터로

    1

    ... 더 보기


    《땅에 쓰는 시, 조경하는 마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