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자가 지난한 과정을 걸어가게 하는 방법

🎈 한 줄 요약 - 가치를 먼저 제시하라. ✔️ UX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업은 바로 토스죠. 토스는 디지인 원칙 중 하나로 'Value first, Cost later'라는 가치가 있는데요. 쉽게 말하자면 돈 보다는 가치를 우선하자는 거예요. ✔️ 이때, 가치라 함은 토스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가치라 하겠죠. 하지만 토스가 단순히 전달하는 가치는 아닐 거예요. 그러면 무엇이냐? 사용자에게 필요한 가치겠죠. ✔️ 즉, 아티클에 나와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치를 우선 제공한다면 아무리 귀찮은 과정이라 하더라도, 그 가치 획득을 위해 사용자가 움직인다고 할 수 있어요. ✔️ 사실, 이러한 방법은 어느 기업에나 필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다만, 그렇게 하려면 엄청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건데요. 개발도, 디자인도 더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죠. ✔️ 그런 측면에서 여타 기업과 토스의 차이가 드러나는데요. 사용자를 위해, 뒤에서 벌어지는 무수한 행위를 토스는 즐거이 받아들이는 거 같아요. 즉, 사용자가 필요로 한다면 실행부터 한다는 거죠. ✔️ 반면, 여타 기업들(우리 회사 포함)은 그 귀찮은 과정을 일단 피하고자 해요. 비유하자면, 도자기의 일부가 파손돼서 물이 새고 있어요. 그 물을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선 새로운 도자기로 옮겨야 해요.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아요. ✔️ 새 도자기를 사기에는 수고로움이 크거든요. 시장을 가야하고, 비교를 해야하고, 돈을 지불해야 하거든요. 반면, 임시방편은 간단해요. 구멍만 막으면 되거든요. ✔️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메운 구멍은 또 벌어지고 물이 새게 돼요. 추가로 더 많은 물을 담아야 한다면? 수압으로 인해 더 많이 새게 되겠죠. 임시방편으로 구멍을 메운 사람이 그걸 모를까요? ✔️ 아니에요! 그들은 다 알고 있어요. 다만, 새로운 도자기로 바꾸기 위한 그 지난한 과정들이 상당히 길고 귀찮아서 하기 싫을 뿐이죠. 기존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을 해야하니까요. ✔️ 여튼, 토스는 전자를 택해, 모든 것을 싹다 사용자 중심으로 만드는 문화가 만연해 있는 것처럼 보여요. 그러다보니 워라밸이 안 좋다는 이야기도 돌고, 싱글이 아니면 오지 말라는 말도 있죠.🫠 ✔️ 최근에는 권고사직으로 한창 이야기가 나돌았었는데요. 자세한 내막은 제가 알지 못 하기 때문에 더 이야기할 수 없을 거 같네요. ✔️ 다만, 토스가 하고 있는 사용성 개선 작업들은 언제나 사용자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토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언제나 만족하는 것 같네요. 저도 어느 샌가 토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 ✔️ 여튼, 꾸준한 유티와 개선을 통해 토스는 사용자가 무얼 원하는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해결하면 무엇이 도움이 되는지 질문을 던지는 거 같네요. 그런 면이서 배울점들이 많다고 여겨지네요.🤗

토스 디자인 원칙 Value first, Cost later

toss.tech

토스 디자인 원칙 Value first, Cost later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0일 오후 3:07

 • 

저장 4조회 29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28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6 • 조회 1,380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