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가끔씩 생각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는 사이드 프로젝트란 용어를 쓰기 때문 아닐까? 사이드 프로젝트라는 말은 곁다리로 하겠다는 말. 이 용어에는 나는 여기에 올인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숨어있습니다. 한 번 내보고 잘 되면 대박, 안 되면 말지 뭐. 사이드 프로젝트라는 것을 완성해서 출시하기도 쉽지 않지만… 출시하면 당연하게도 별 반응이 없습니다. 그리고 한 번 해봤다는 걸로 만족합니다. 어차피 사이드 프로젝트였으니까. 다들 빠이빠이하고 본업으로 돌아갑니다. 용기를 내서 전업으로 도전하는 사람들도 간혹 있습니다. 1년 간 육아휴직을 하고 그 기간 동안 올인해 보겠다. 이런 사람들이 대부분 취하는 전략은 1년 동안 앱 12개 만들기입니다. 휴직 기간 동안 최대한 빡세게 만들어보자. 그중에 하나는 걸리겠지. (잘 안되면 할 수 없고) 저는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출시하면 그때부터가 시작인데 며칠 반응을 보고 바로 다른 걸 하겠다고? 앱을 출시하고 나서 드디어 완성했다고 기뻐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이제부터 긴 여정의 시작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사실은 저 또한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당근마켓을 보면서 배웠습니다. 당근마켓이 처음에 어떻게 시작했는지 잘 기억합니다. 아이디어에 동의하면서도 볼륨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곁에서 지켜보면서 잘 되기를 바라면서도.. 솔직히 안쓰러운 마음이 더 컸습니다. 아무리 봐도 안 될 것 같은데… 저걸 계속 잡고 있나. 이런 생각을 3년쯤 했습니다. 그들은 그냥 묵묵히 한 걸음씩 걸어 나갔고… 어느 순간 (아마 2018년 즈음에서야) 당근마켓이 잘 안 될 거라는 제 생각도 바뀌어 버렸습니다. 서비스를 만드는 마음가짐도 함께 바뀌었습니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모릅니다. https://jeho.page/essay/2023/05/15/why-side-projects-fail.html

사이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K리그 프로그래머

사이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5월 15일 오전 1:25

 • 

저장 11조회 2,91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6 • 조회 4,384


    < 1등을 베끼는 당신이 1등이 될 수 없는 이유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 더 보기

    《기다림이 허락되지 않는 시대》

    ... 더 보기

    퇴근길 지하철에서 중년 사내와 20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필자의 앞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지.” 중년 사내가 젊은이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 순간 나는 묘한 추억에 빠져들었다.

    ... 더 보기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매일경제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조회 811


    정직한 경험 소개

    

    ... 더 보기

     • 

    저장 1 • 조회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