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라운지] (직장인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 PBR
www.pbr.kr
신입이거나 주니어인 프로덕트 매니저 혹은 프로젝트 매니저들은 빠르게 성장을 하고 싶어 합니다. 이를 위해선 자신이 속한 팀이나 맡은 프로덕트/프로젝트에서 시니어 PM이나 PO와 함께 일하며 업무 프로세스를 배우는 경우가 많을텐데요.
오늘 회사 내 시니어분과 함께한 커피챗에서 배운 신입 PM의 자세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신입 PM의 자세?
✅ 내가 할 수 있는 업무 범위와 Limit을 확인 후 나의 의사결정권 범위를 팀(혹은 시니어)과 소통을 통해 확인한다.
✅자율적으로 전사 방향에 기여할 수 있는지(비즈니스 임팩트, 유저 경험 우선) 확인하고 일한다.
✅ 내가 맡은 범위에서의 업무에 책임의식을 갖는다. (오너십)
일례로 스타트업 인턴 당시 저는 프로젝트 매니저로서 영어, 중국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AI 학습용 언어데이터를 구축하고 검수하는 일을 했었습니다.
당시 학부 시절 개발 경험을 살려 업무 자동화 프로그램 등을 만들어 단순 반복 노동을 없애고 PM들이 우선순위가 한단계 높은 일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도우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 정도는 내가 알아서 해도 되겠지' 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사소하다고 생각한 업무를 간과하였고 사고를 친 후(?) 사수와 함께 본 업무를 뒤로 재치고 밤을 새서 해결했습니다.
해당 경험에서 주니어/신입으로서 빠른 커뮤니케이션의 힘을 무시했고, 제가 굳이 말하지 않고 센스있게 하는 일과 말해야 하는 일의 구분을 다소 헷갈렸던 것 같은데..
오늘 커피챗을 통해 나의 업무 바운더리를 정하고 책임지며 성장하는 것을 다시 한번 배우게 되었습니다.
+ 추가로 팀 내 데일리/위클리 미팅(소통)의 필요성과 중간 관리자의 유무(관리)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일 오전 2:36
회
... 더 보기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매 순간 자기 재주를 내보여라. 평생에 걸쳐 쌓아온 누적된 힘을 보여줘라.
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