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①] 동료의 의견을 기준 삼지 말아야하는 이유

프로덕트 조직이 시장에서 발견한 문제를 토대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해 나갈 때 무엇이 유의미한 가설이 될 것인지 고민하게 됩니다. 이 책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은 가설, 아이디어를 좀 더 날카롭게 설정하고 시장에 타깃 하게 실험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의견은 데이터가 아니다. 데이터 비슷한 것조차 아니다. 의견에는 4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2.의견이 아닌 것으로 아이디어의 성공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에 앞서 성공과 실패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3.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데이터는 핵심 기준 4가지를 갖춰야 한다.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1부에서는 

①의견의 비객관적 성격을 설명하며 나를 포함한 사람들의 의견을 아이디어의 성공 유무의 지표로 삼으면 안됨을 지적하고, 


②시장에서 성공과 실패의 의미, 그리고 실패의 요인을 통해 


③성공 가능한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강조하며 그 기준을 제시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전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runch.co.kr/@suwanju/8

Brunch Story

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0일 오후 2: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역전의 명수

    

    ... 더 보기

     • 

    저장 5 • 조회 1,081


    < 성공하는 사람은 '왜', 실패하는 사람은 '어떻게'를 묻는다 >

    1.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 수준이다.

    ... 더 보기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430


    《읽는 사람, 쓰는 사람》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672


    그게 쓸모 없을지라도 일단 제품을 출시했다는 것 자체가 매우 큰 차이가 된다. 로또 확률 0% 와 1%의 차이. 오죽하면 성공한 창업자들이나 VC들의 지겹도록 맨날하는 얘기의 99%가 일단 출시하세요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