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째 내 SNS 글을 꾸준히 보고 계시거나 강연이나 컨설팅, 멘토링 등으로 뵌 분들은 아시겠지만, 2~3년전 노코딩, 로코딩 트렌드의 발현과 사업아이템의 등장, 여기에 맞춰 개발 관련 교육과 기업들의 퇴보, 개발자 인건비 하락과 구조조정 등을 엮어서 이야기해왔다. 


이미 그 때 스타트업와 사내벤처로 육성했던 곳들이 점차 기술과 서비스, 사업모델이 고도화되고 생성형AI까지 만나서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역시나 자주 이야기했듯이 Product-Market-Fit에 맞춰 B2B시장에서 열렸고 그런만큼 각 산업과 기업에 맞춤형 제공으로 가고 있다. (그 당시 직접 담당했었던 스타트업과 사내벤처만도 10곳 가까이 되었다) 시장이 커지면서 스타트업이 아니라 이미 대기업의 사업아이템으로 되어가고 있고. 각 산업별 탑티어 기업들이 향후 3~4년동안 하나씩 등장해서 시장을 장악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0197&fbclid=IwAR3nIcw6zv7KI75KL19Oq19iau_2eOLQCM1J5Y2VgXqrhaaigHqUmmkitQY


"소스코드 유출 걱정없이 AI에 코딩 맡긴다!"... LG CNS, 코드 생성형 AI에 최적화된 LLM 공개

인공지능신문

"소스코드 유출 걱정없이 AI에 코딩 맡긴다!"... LG CNS, 코드 생성형 AI에 최적화된 LLM 공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1일 오전 11:2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영화 '로비'

    

    ... 더 보기

    [철학] 롱런할 수 있는 이유


    얼마 전, 국내 대표 금융 앱의 창업자를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자아는 완벽을 원하고, 문화는 완벽을 정의한다 >

    1. 모든 시대는 전부 대단하다고 느낄 정도로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를 변화시켜왔다.

    ... 더 보기

    AX 시대, 일잘러 되기, 시대가 원하는 리더의 역량

    ... 더 보기

     • 

    저장 1 • 조회 345


    신사복 명가 ‘파크랜드’는 쪼그라드는 시장에서 어떻게 살아남았나?

    1. 남성 정장 브랜드로 잘 알려진 ‘파크랜드’가 신발 제조업 강자로 변신하는 데 성공했다.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의 신발을 생산한 지 벌써 20년째 접어들면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