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시간 전 · 손재연 님의 질문 업데이트
방학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현재 소프트웨어학과 3학년 학생입니다. 1,2학년때 너무 놀기만 해서 해놓은게 없네요….. 군복무 끝나고 나서 현재 편입으로 학교를 바꾸긴 했는데 이번 방학을 어떻게 보낼지 감이 안와요….. 인턴 프로그램은 겨울학기나 내년 계절학기에 할 생각이여서 이번 방학때는 꾸준히 하고있는 코딩테스트 공부 제외하면 웹개발, 어플개발, AI 및 기타 등등 여러 개발분야 입문해보고 그중에서 제가 좋아하는 개발 분야를 찾으면 될까요….? 아니면 방학때 다른 활동을 하는게 나을까요….? 전체적으로 방학때 어떠어떠것들을 공부해야 하는지, 포토폴리오 작성법 및 준비법, 기타 등등 방학때 플랜을 어떻게 짜야할지 감이 안옵니다….
개발자
#취업고민
답변 0
댓글 0
조회 12
하루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산업공학과 취업 데이터 vs개발
현재 산업공학과 3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학과 특성상 산업공학과에서 개발커리와 데이터커리를 모두 듣고 있는데.. 3학년이다보니 진로를 정해야해서 고민입니다... 개발쪽으로가면 프론트엔드에 희망하고 있고,, 데이터쪽도 관심이 없는 건 아닙니다.. 취업을 위해서는 빨리 진로를 정해야할 거 같은데.. 어느쪽이 현재 전망이 더 좋은 지 묻고싶습니다..
개발자
#데이터
#개발
#프론트엔드
#전망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0
2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퍼블리셔 4년 근무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이직할때,,
지원서 작성할때 경력으로 지원해도 괜찮은걸까요? 신입으로 지원해야할지 경력으로 지원해야할지고민입니다,, 퍼블리셔랑 프론트랑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경력으로 써도될거같긴한데,,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취업
#이직
#퍼블리셔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32
하루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제가 제대로 된 퍼블리셔일까요?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요?
우선.... 이력서 넣을 곳을 헤메며 자존감이 낮아져 풀어두는 넉두리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대학을 졸업한 이후 전공을 살려 웹디자이너로 5년 정도를 근무했습니다. 하지만 실상 쇼핑몰의 상세 페이지를 디자인하고 촬영을 하는 등 웹디자인이라고 보기는 조금 부족한 업무를 주로 하면서 어영부영 시간을 보내다 경영악화로 이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웹 코딩을 속성으로 학원을 다니며 배웠고 취업까지 잘 이어져 5년 정도를 웹퍼블리셔로서 일해왔습니다. 간간히 디자인 업무도 하긴 했었지만, Html이나 css, jquery 정도를 이용해 웹사이트의 메인이나 컨텐츠 페이지, 그에 따른 반응형 작업을 주로 작업했습니다. 현재는 또 같은 사유로 이직을 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직을 하려고 보니 react니 node니 여러가지 필수 요구능력들이 있어 이력서를 넣기가 망설여지더군요. 늦었을지도 모르겠지만 Javascript랑 react를 조금씩 공부하며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앞으로 어떤 포지션이 되고 싶은지 생각이 많아지더라고요. 처음 코딩을 배울 때는 백엔드쪽까지 배워보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을 했었던 거 같은데 번아웃이 올 정도로 현생에 치여 살다보니 이때까지 미뤄두게 되어버렸습니다.... 지금은 제가 뭘 할 수 있는지조차 흐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Javascript를 건너 뛰고 jquery로 배워서 Javascript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고 이력서를 넣을 곳을 헤메다 보니 제가 퍼블리셔가 맞는지도 의문이 되었습니다. 코딩할 때 문제를 검토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즐거웠던 것 같긴 하지만, 너무 한정적인 도구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퍼블리셔보다는 프론트엔드개발 쪽이 수요가 많은 것 같은데 뭘 어떻게 배워야할지 감이 안옵니다. 저는 퍼블리셔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될 수 있을까요. 나이도 벌써 서른 중반인데 앞이 깜깜한 것 같습니다. 쓴소리도 좋으니 조언해주시면 좋겠어요....
개발자
#이직고민
#이직
답변 1
댓글 7
조회 67
하루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개발에 흥미가 별로 없는 컴공은 무얼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컴퓨터공학과 2학년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여태까지 진로에 대한 큰 고민 없이, 사실 공부도 그렇게 열심히 하지 않으며 살다가 전역 후 1학년 2학기부터 정신 차려서 열심히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학점은 굉장히 잘 받았고, 어느정도 해보니 앞으로도 잘 받을 수 있겠다는 자신이 생겼는데, 학교생활을 할 수록 제가 개발보다는 공부 자체에 흥미를 느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발 동아리를 들어가보려다가 학번이 좀 높은데 경력이나 지식이 없어서 그런지 떨어졌고, 방학때 코틀린을 사용해 간단한 앱을 만들어보려 진행했었는데 흥미가 없어서 금방 포기하게 되더라고요. 오히려 학교에서 배우는 이론적인 내용들, 예를 들어 컴퓨터의 작동 원리, 어셈블리어 등등에 대해 배우는 시스템소프트웨어 과목, 전기전자공학개론이나 논리회로설계등의 HW적인 과목들이 재미도 있고 성적도 좋게 나왔습니다. 코딩하는 것 자체도 재미있지만, 유독 개발에만 흥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주변에 보면 자기가 뭔가 만들어보고 싶어서 이것저것 독학해 만들던데 저는 뭘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잘 안 들더라고요. 이런 경우에는 취업보다는 대학원이나, 아예 제가 배웠던 과목들과 연관이 큰 학과인 전자과, 아니면 다른 학과로의 전과를 고민해봐야할까요? 개발을 별로 하지 않는 일자리가 전산직말고 뭐가 있을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대학생
#진로
#컴공
#취업
#대학원
답변 2
댓글 0
조회 46
하루 전 · nox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백엔드 개발자 취업준비지원
안녕하세요 제가 올해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취업준비하며 서류지원을 하며 서류를 400개정도 넣었지만 모두 서류탈락하였습니다… 저의 학점이 문제일까요? 준비된게 없어서 문제일까요… 절망스럽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일단 정처기는 준비중 입니다 이대로 계속 지원하는게 맞을까요ㅠ 다 포기하고 싶어져요…
개발자
#취업고민
#서류탈락
#백엔드
#서류전형
#개발자
답변 5
댓글 1
조회 388
9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컴공 1학년, 진로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이번에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한 새내기입니다. 현재 개발자를 꿈꾸고 있으며, 정확한 진로는 아직 정하지 못했지만 클라이언트나 서버 등 게임 개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때 유니티로 간단한 게임을 몇 개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데, 생각보다 재미있어서 이번 방학 동안 유니티와 C#을 집중적으로 공부해볼 계획입니다. 시간이 남는다면 그래픽스 분야도 가볍게 탐색해볼 생각입니다. 다만, 이게 제가 드리고 싶은 이야기의 핵심은 아니고…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제가 계속 게임 개발을 목표로 삼아도 괜찮을지 고민이 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코로나 시기 동안 개발자 수요가 급증한 이후, 국내 게임 시장이 점차 하락세를 보이면서 게임 업계 취업률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요즘 컴퓨터공학과 취업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 더욱 막막하게 느껴지더라고요. 심지어 저희 과 교수님께서도 게임 개발 쪽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며칠 동안 인터넷을 뒤져가며 정보를 찾아봤지만, 오히려 더 답답해져서 이렇게 전문가분들이 많은 곳에 조심스럽게 질문을 남깁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게임 개발 쪽을 계속 파고들어야 할지, 아니면 차라리 수요가 더 많은 백엔드 분야를 공부하는 것이 나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른 개발자분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게임개발자
#진로고민
#컴공
#새내기
답변 1
댓글 0
조회 70
9일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자 취업에 대해 너무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30대 중반이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 국비학원을 수료 후 거의 2년이라는 시간이 다되어가는데 중간중간 이력서를 냈지만 잘 되지 않았고 실력이 많이 부족한 생각에 지금은 쉽게 이력서를 내지 못하고 계속 공부만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뭔가 계속 되는 일이 없다보니 계속 나이가 문제인것 같기도 해서 포기를 해야되는지 고민이 들더라구요. 마음으로는 개발자쪽으로 정말 가고 싶은데 현실을 생각하니 어떻게 해야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취업
#취업고민
답변 2
댓글 0
조회 101
12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개발자 설문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행동 특성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업무에 매우 바쁘신 점, 잘 알고 있지만 잠시 머리를 식히는 기분으로 평소에 생각하신 바를 간략하게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 5분 소요) 바쁘시더라도 빠뜨려지는 문항이 없도록 끝까지 응답 부탁드리며, 응답해주신 내용은 소중하게 다룰 것을 약속드립니다. 그럼 화창한 봄, 건강과 행복이 가득한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설문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Y7VsxbyaBNoTg7cWufdwwJqGbnzJTELTqJkGROavz-Ps9NQ/viewform?usp=sharing
개발자
#설문요청
#자기주도학습
#직무성과
답변 0
댓글 0
조회 57
하루 전 · nox 님의 새로운 답변
풀스택 개발자 Nest.js vs Spring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한지 이제 딱 1년 되는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취준할때는 Express로 백엔드도 좀 했었고, 취업해서는 지금까지 React/Next.js로 프론트 개발을 해오고 있습니다. 회사가 웹개발 팀이 아주 작은 스타트업이라 프론트 저 한명, 백엔드 한명입니다... 보통 백엔드 일손이 더 부족한 경우가 많고, 제가 백엔드도 좀 해보고 싶어서 제가 공부도 할겸 회사 백엔드쪽을 살짝 거드려고 합니다. 재밌으면 추후에 풀스택으로 가볼까 하구요. 일단 admin 페이지 담당하는 정도로 백엔드 실무를 시작해보려 하는데, 회사 백엔드가 원래 Nest.js로 되어있었는데 Kotlin/Spring으로 바꾸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 제가 Nest.js를 곁드는게 맞는건지, 자바 스프링을 해야할지가 고민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TypeScript로 프론트, 백 둘 다 하는게 편하니까 Nest.js로 하고싶긴 합니다. 아예 백엔드로 전향할거라면 스프링을 하는게 좋겠지만, 전 프론트를 메인으로 하거나 풀스택으로 가고 싶어서요. 백을 메인으로 할 생각은 없습니다. 공고에서도 프론트인데 우대사항으로 백엔드 역량을 요구한다거나, 풀스택 개발자라면 Nest.js인 경우를 많이 본 거 같습니다. React와 Spring 조합을 요구하는 경우는 잘 못본 거 같아서 고민이네요. 보통 프론트엔드 개발자 혹은 풀스택 개발자 분들은 백엔드를 Nest.js와 Spring중 뭐로 하나요? 개발팀과 상황에따라 다르기야 하겠지만, 일반적으론 어떤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react
#frontend
#nest.js
#풀스택개발자
답변 2
댓글 1
조회 71
하루 전 · nox 님의 새로운 답변
스타트업으로의 이직이 고민됩니다
최근에 스타트업에 백엔드 개발자로 좋은 이직 기회를 얻었는데, 고민이돼서 끄적여봅니다.. 1. 직원 약 200명 정도 규모의 중소기업 vs 5인 이하 시드~시리즈A 스타트업 2. 연봉 3000 중반 vs 연봉 4000 중반 (약 1000만원 인상) 3. 사수 있음 vs 혼자 개발 4. 기술적 성장 없음 vs 원하는 기술 사용 가능 연봉은 크게 인상되긴 하지만, 투자 초기단계인 스타트업이라 기업의 안정성이 걱정 됩니다 ㅠ 그렇다고 현 직장이 마냥 안정적이라고 할순없어서 고민이 되네요.. 그래도 현 직장에선 기술적인 성장은 기대할 수 없는 개발을 하고있는데, 이직하는 곳은 주도적으로 원하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곳이라 하여 끌리긴 합니다. 한편으론 혼자 개발해야해서, 성장할 수 지 의문이 들긴 하지만요 ㅋㅋㅋㅎ 여러분들의 생각을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ㅎ
개발자
#이직고민
#이직
#백엔드
#개발자_진로
답변 3
댓글 4
조회 94
14일 전 · 박혜성 님의 질문
물경력 2년 flutter 개발자 이직시 Native 중고 신입으로 갈지
Flutter 2년차 라고는 했지만 결국 배포도 한번 안해본 물경력 개발자겠네요 2년전에 스타트업에 앱개발자로 취업해서 일했는데, 회사에서 이것 저것 시키는대로 다 하다보니 c(fw) c#(.net) 도 하고 Native 도 하긴 했는데 c와 c#을 한 기간도 꽤 있고 sdk 개발쪽으로 했다보니 배포도 한 번 못해봤습니다. 그래서 이직할땐 규모가 좀 있는 기업으로 넘어가고 싶은데 flutter를 또 많이 뽑진 않는것 같고 해서 Native(Android iOS) 하나 잡아서 중고신입으로 들어갈지 flutter를 계속 할지 고민중입니다.
투표
개발자
#flutter
#kotlin
#objetive-c
#이직고민
#중고신입
답변 0
댓글 0
조회 192
15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개발자 학점 질문드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신입개발자 취업으로 가고싶어하는 대기업(네이버, 카카오 등등)들은 신입개발자 채용때 학점을 많이 보나요? 그리고 편입한 대학생이면 전적대 학교서류하고 최종학교 서류까지 전부 제출하나요?
개발자
#취업고민
#신입
답변 1
댓글 0
조회 117
14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iOS 개발자를 계속 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어느덧 iOS 개발공부를 시작한지 1년정도 된 전공 졸업생입니다. 1년 가량 공부를 하며 프로그래밍적 사고방식을 머리에 주입하는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것 같습니다. 이제 취준 3개월차가 된 지금 자랑할만한 앱을 개발해 본적도 없고, 찾기 힘든 신입공고, 크로스플랫폼과 웹뷰로 비중이 점점 커져가면서 혼자 이 길을 걸어도 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자꾸만 하게 됩니다. iOS 개발을 하고 싶어졌던 이유는 어릴적 아이폰을 처음 사용하고 겪었던 불편함으로 인해 이 길을 선택했던 것인데, 요즘은 점점 그 의지가 식어만 가고 있습니다. 도망간 곳엔 낙원이 없다는걸 알고 있지만, 단순히 채용공고 숫자만 보더라도 프론트엔드나 백엔드로 도망가고 싶은 것은 사실입니다. 다른 포지션에 계신 분들의 조언을 한번 듣고 싶습니다.
개발자
#ios
#swift
답변 2
댓글 0
조회 79
16일 전 · . 님의 새로운 댓글
서비스 회사에 취업
안녕하세요. 서비스 회사에 취업을 하게 되었는데 개발자가 2명뿐인 회사입니다. PM으로 되어보이시는 분과 3년차인 저 이렇게 두명이 될 예정입니다. 제가 고민이 되는건 서비스회사에서 PM으로 되어보이시는 개발자분이 저의 사수가 되어서 일을 진행 해주실지 아닐지 애매하다는 점과 기존 회사의 시스템을 리액트로 버전업 하는게 메인 개발건이라고 들었는데 문제는 그 개발건을 si 업계에 어느정도 맡긴다고 이야기 하셨습니다. 이럴 때 제가 어떻게 공부하고 성장하는 방식이 옳은지 혹은 다른 회사를 알아봐야하는 것인지 고민이 됩니다. 또 다른 고민으로는 회사 생활 중에 코드리뷰나 비즈니스 로직같은 경우 혼자서 회사생활 및 공부하면서 진행해야할 때 다른분들은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ai를 활용해서 코드리뷰를 했다거나 혹은 리팩토링을 어떻게 하셨는지) Ps.면접때는 개발을 한다고는 하셨습니다.
개발자
#사수
#성장방법
#개발고민
답변 1
댓글 5
조회 87
11일 전 · 옵저버 님의 새로운 댓글
일본 IT 인턴 제안
안녕하세요, 학사졸 2년차 AI개발자입니다. 한국에서 풀재택 가능한 일본 회사 AI개발자 구인 공고를 보고 한번 이력서를 넣어봤는데 오늘 면접 일자를 잡자고 연락이 왔습니다. 인턴임에도 1~5년차 개발자 조건에 기본 계약연봉 450만엔인데 진지하게 인턴후 정사원 전환까지 바라보는 회사일까요? 아니면 프리랜서 계약직 모집에 가까운 공고일까요? 일본 IT쪽 분위기는 전혀 몰라서 질문을 올려봅니다
개발자
#이직
#해외이직
#인턴
답변 1
댓글 1
조회 89
15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로봇 관련 산업에 관심이 있어 질문을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로봇관련 산업에 관심이 있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1. 제가 생각하기엔 해당 분야가 미래 전망이 좋을 분야라고 생각은 되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2. 제가 스프링기반 백엔드를 학습했어서 해당 분야에 공통점을 찾다가 스프링 기반으로 센서같은 것을 관제하는 토이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보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3. 현재 해당 분야의 분위기나 업계 대우같은 것도 혹시 아신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제가 경제,산업적인 측면으로는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지만 IT 개발자로써 관심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해당 분야에 대한 경험을 해보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 만약 제가 웹 백엔드 직군에 취직하게 되면 추후 로봇 분야로 이직을 하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개발자
#로봇업계
#스프링
#로봇
#백앤드
답변 1
댓글 0
조회 32
하루 전 · nox 님의 답변 업데이트
풀스택 개발자 전망
안녕하세요 현재 풀스택 개발자 과정을 수강하고있는 비전공자 학부생 입니다. 먼저 풀스택 과정을 수강한 이유는 백엔드 프론트 모두 경험해 보고싶었고 백엔드 개발로 가더라고 일부 프론트 분야도 알아야한다해서 수강하였습니다 지금 백엔드 프론트 중에 어디로 갈지 너무 고민되는 와중에 국비지원 학원에서는 요즘은 백엔드나 프론트로 가면 너무 딥하게 가아하니 거의 풀스택 개발자로 간다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풀스택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 or 여러개를 다하기때문에 오히경력직을 뽑는다? 등 너무 다양한 의견들이 많습니다 현직자분들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여 글을 올립니다
개발자
#풀스택개발자
#풀스택-개발자
답변 2
댓글 0
조회 66
하루 전 · nox 님의 새로운 답변
개발자 AI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중소기업에서 근무중인 2년차 백앤드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이번에 회사에서 주요 업무로 AI 활용하라는 지시가 내려와서 개발 업무에 AI를 활용해볼 기회가 생겼습니다. 기존에도 사실 chatGPT 무료 버전으로 개발에 활용은 하고 있었는데 막상 유료로 결재해서 사용하려니까 AI가 상당히 각자 장단점도 있고 성능도 천차만별인거 같습니다. 각자 활용하고 있는 AI라던가 아니면 추천하는 AI가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또 어떤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도 공유주시면 좋을듯합니다.
투표
개발자
#ai
#gpt
#copilot
답변 2
댓글 0
조회 82
16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취업할 수 있을 지 모르겠네요ㅠㅠ
개발자로 취업을 할 때 중요한 점이 뭐가 있을까요? 현재 백준 문제는 매일 풀고 있고 학점은 3.7입니다. 프로젝트도 3개 정도 있지만 사용자 피드백을 받는다거나 프로젝트를 오래 끌고 가지는 못했습니다. 1. 학점의 중요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아직 남은 학점이 꽤 있습니다. 2. 프로젝트는 포폴에 여러 개를 적는 것보다 진짜 괜찮은 것 하나를 적는게 나을까요?
개발자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93
18일 전 · Ted 님의 답변 업데이트
비전공자 직무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곧 졸업 예정자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현재 데이터 엔지니어로 취업희망하여 국비지원으로 풀스택 개발자 과정을 수강하고있습니다 ( 백엔드 취업 후 이직 할 예정 ) 데이터 엔지니어쪽으로 가고싶은 이유는 데이터를 정리하고 설계하는것에 흥미있어서 가고싶었지만 경력직위주로 뽑는다길래 국비지원 수강 후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 후 이직할 생각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백엔드 과정을 듣고자 수강하였지만 결과물이 바로 보이는 프론트엔드 쪽으로 흥미가 가더라고요 또한 저처럼 멀티태스킹 성향에서 백엔드가 잘 맞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고요 풀스택도 생각해보았는데 몇몇기업에서는 지양하는 분위기 + 대다수 기업이 프론트 백엔드 구분되어있는거 같더라고요 첫 직무를 개발자로 갈거이긴한데 추후에 정말 데이터 엔지니어로 가고싶다면 프론트/UIUX개발 -> 데이터 엔지니어 쪽으로 이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데이터엔지니어
#백엔드개발
#풀스택개발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50
16일 전 · . 님의 새로운 댓글
이번에 이직하게 된 개발자(경력 2년)입니다.
이직하는 회사가 서비스 회사인데 개발자가 리드개발자 한 분이신 회사입니다.. 서비스 자체는 10년이상 된 회사여서 비즈니스 로직이나 이런 부분에는 고민이 없는데 개발자 인원이 적은 회사에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을까요..?
개발자
#이직
#사수
#주니어개발자
답변 1
댓글 1
조회 73
16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의견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 관련 글들을 찾아보다가 여기선 좋은 조언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 글 올립니다. 상황 설명 글이 좀 길 수 있어 양해부탁드립니다! 우선, 현재 저는 26살입니다. 저는 IT융합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학교에서는 기초 프로그래밍(자바, c, c++, python등)과 AI 관련을 배웠습니다. 졸업 후 약 2년 반동안 IT회사가 아닌 국가연구를 하는 회사에서 IT 쪽으로 근무를 했습니다. 이때 웹 풀스택(React, Node)으로 웹사이트 개발과 AI(이미지, 시계열) 개발을 주로 수행했습니다. 이번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퇴사를 하게되었는데, 졸업 후 바로 취업을 하다보니 다른곳을 준비하기가 두렵기도하고 어렵습니다. 어렵다는 말이 이상한데..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처럼 다양한 자격증을 가지고있지도, 어학성적을 가지고있지도 않습니다. 다만, 이전 회사에서 다양한 웹사이트를 개발하면서 자료로 남은 포트폴리오는 있습니다.. 그래서, 우선 출발선상이라도 가자 라는 마음으로 토익도 준비하고 정처기도 따고 준비하고있는데 불안한 마음이 너무 큽니다. 첫번째로 고민이 되는 부분은, 제가 이 경력으로 경력직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 입니다. 경력이 짧은것도 사실이며 워낙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었기때문에, 전문적으로 웹 개발을 하는 직무를 가게된다면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사용했던 기술은 React.js와 Node.js , 서버는 회사에 직접 구축했습니다. DB도 구축해서 연동했었습니다. 다만 AI등 다양한 업무를 같이 수행하다보니, 전문적으로 웹만을 개발하는 개발자보단 부족하지않았나? 라는 생각도 듭니다. 사실은 제가 개발한 AI 모델이나 시스템들이 웹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구현한 프로젝트도 있어 이런것들이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라는 점에선 이점이라고 생각하고 강점으로 내세웠었지만, 몇 번의 서류 탈락을 겪어보니 그냥 여러개를 얕게 한 사람처럼만 보이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쌓은 경력을 가져갈 수 있을까 라고 생각했습니다.. 두번째로는, 웹 개발이 아닌 다른 개발자로 가는건 어떤가 에 대한 고민입니다. 업무를 해보면서 아무래도 웹개발이 크게 재밌지도, 적성에 맞지도 않는 느낌이었습니다. 물론, 일이란게 모두 해결하기 위해 하는거니 열심히 결과를 냈지만 흥미를 가지고 재미있게 하진 않았던것같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다시 취업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서 다른 직무로 가보는건 어떤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관심가지는 직무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관련 직무인데 관련된 기술을 사용해본 적 없어서 어떤식으로 준비하면 좋을지가 고민입니다. 처음 생각해본건 국비 수업을 듣는것인데.. 지방에 있다보니 서울에서 하는 유명한 교육은 듣기가 부담이되고, 국비에 대한 안좋은 후기나 시선이 계속 보여 좋은 선택인지 고민이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독학을 통해 공부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포폴을 만드는게 맞다는걸 아는데, 아무래도 커리큘럼 없이 혼자 수행하려하니 계속 이게 맞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글이 너무 길어 죄송합니다 ㅠㅠ 짧게 제 고민을 정리하자면 현재 짧은 웹 개발 경력을 살려서 가는게 좋을지 공부를 통해 새로운 직무(클라우드, 네트워크)를 신입으로 들어가는게 좋을지 2-1. 그렇다면, 국비 교육을 듣는게 괜찮은걸까요..? 2-2. 아니면 혼자 열심히 공부해서 포폴, 자격증(AWS) 등을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현재 정확히 정해진것없이 두루뭉실한 생각들만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제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하고싶다기보단, 현직에서 일하시거나 개발자로서의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의 의견이 듣고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발자
#이직
#경력이직
#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56
19일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Supabase와 Springboot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기계공학과 4학년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진행 중이며, 팀원들과 함께 앱 개발과 창업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술 선택 문제로 고민이 많아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상황 요약 - 저희 팀: React Native + Spring Boot 기반으로 개발 중 제가 직접 백엔드 설계/구현 예외처리, 디버깅 포함 전체 구조 정확히 이해 진행도 약 60-70%, 구조 안정적, 유지보수 자신 있음 - 교수님 프로젝트: Next.js + Supabase 진행도 약 80% 다만 구조가 낯설어 코드 파악과 에러 수정에 시간 소요 예상 고민 포인트 - 교수님 코드 이어받으면 빠르게 MVP는 가능하지만, 구조 이해가 부족하고 디버깅이 어려움 - 제가 만든 Spring 기반 프로젝트는 구현은 부족하지만, 구조적으로 명확하고 확장성에 유리함 - 배포까지 걸리는 시간은 둘 다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 저희의 목표 - 단기: MVP 완성 → 실제 사용자 배포 - 장기: 창업을 고려한 실서비스 개발 - Redis / Kafka / Elasticsearch 등 트래픽 대응과 기능 고도화 예정 - 따라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핵심 질문 - 기능 많은 Supabase 기반 코드를 이해하고 고도화하는 게 나을까요? - 아니면 Spring 기반 구조를 그대로 밀고 나가는 게 더 현명할까요? - 장기적으로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어떤 선택이 실무적으로 맞는 결정일까요?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들이나 현직자 분들의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supabase
#spring-boot
#backend
#front-end
#back-end
답변 1
댓글 0
조회 47
15일 전 · 허찬영 님의 새로운 댓글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Redis 메시지 저장과 RabbitMQ 전송을 안전하게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백엔드 개발자를 지망하는 대학생입니다.. 예전에 Springboot를 활용해서 개발한 채팅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 드립니다. 아래와 같은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했습니다. - MySQL: 채팅방 정보(채팅방 이름, 참여 인원수 등등), 사용방 정보 데이터 저장. - Redis: 채팅 메시지 데이터 저장 - RabbitMQ: 채팅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브로커 STOMP over WebSocket을 활용해서 클라이언트에서 메시지를 pub해서 메시지 브로커인 RabbitMQ를 거쳐서 구독한 클라이언트에게 메시지(채팅)을 전송하도록 구현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발생하는 로직이 있습니다. [채팅방 가입 로직] 1. @Transactional 내부에서 MySQL에 채팅방 데이터 저장. (해당 유저가 채팅방에 가입한 것을 저장) 2. Redis에 "User가 채팅방에 들어왔습니다."라는 메세지를 저장. 3. 해당 메시지를 RabbitMQ로 전송. (`rabbitTemplate.convertAndSend(...)`) 이런 상황에서 Redis나 RabbitMQ에서 문제가 발생해서 하나라도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Redis 서버에 문제가 생겨서 채팅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저장하지 않더라도 RabbitMQ를 통해 메시지가 전송되고, RabbitMQ 서버에 문제가 생겨서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더라도 Redis에 채팅 메시지가 저장이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PC, SAGA 패턴, Outbox 패턴 등등을 알아봤고, 그 중 가장 괜찮다고 생각했던 패턴이 Outbox 패턴이었습니다. 근데 또 어려움이 생겼는데, Outbox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 Pulling 기법을 사용 하자니 Redis에 무리가 생길 것 같고, 트랜잭션 로그 테일링 패턴을 사용 하기에는 Redis가 이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 구현이 굉장히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MySQL을 Outbox 저장소로 사용할까 고민도 해보았는데, MySQL을 사용하면 속도 면에 불리해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또 들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제가 궁금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Redis를 활용하는 프로젝트에서 MySQL을 Outbox 저장소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일까요? 2. Outbox 패턴이 최선일까요? 현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하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spring
#rabbitmq
#redis
#mysql
#transaction
답변 1
댓글 1
조회 68
17일 전 · 조세영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디자인 고민
프론트엔드 개발에 관심있는 대학생 3학년입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면서 '디자인'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보통 협업을 할 때는 따로 디자이너와 함께하면서 프론트엔드는 피그마 디자인을 구현하면 되는데, 개인 프로젝트나 디자이너 없는 프로젝트에 관해서 디자인을 어떻게 가지고 가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추가적으로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디자인 툴 이나, 팁같은것이 있을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디자인
#피그마
답변 2
댓글 0
조회 59
21일 전 · 백승훈 님의 새로운 답변
공공기관 si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이 흥미가 있어서 공부를 시작했고, 미래에도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입니다. 현재는 공공기관 si업무를 하는 작은 회사에 취업을 하게됐습니다. -현재 상황- 6개월 정도 프론트엔드 개발로 일을 하다가 현재는 회사의 사정으로 인해 SI 업무를 담당하게 됐고, 현재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자바, 스프링, JSP, jQuery)를 통해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부서 이동한지 2주 정도 돼서 이해는 안가지만, 코드를 보며 무작정 이해하려고 노력중입니다. -현재 고민- 프론트 엔드 개발은 흥미가 있고, 코딩 자체가 어렵더라도 개발하는게 재미가 있어 일하는게 재밌었으나, 현재 백엔드 업무(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이해가 안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매일 아침 퇴사와 이직 생각이 많이 나서 글을 적어봅니다. 물론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하더라도 6개월된 신입 입장에서는 백엔드쪽 흐름을 알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커리어의 방향을 잘못잡은건 아닌가, 다른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은 실무 코드를 보고 개발하며 좀 더 깊이있게 고민하고 성장하는 반면 저는 넓고 얕게 알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궁금한점- 그래서 결과적으로 백엔드 업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퇴근후에 스프링에 대해 공부를 하며 백엔드 공부를 하는것 vs 퇴근 후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프론트 개발 업무를 하는 곳으로 빠르게 이직하는것 중 어떤 선택이 좋을지 선배 개발자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react
#si회사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론트엔드
답변 3
댓글 0
조회 146
20일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개발자 취업준비생 고민
안녕하세요 27살 백엔드 개발자 준비..? 중인 취준생입니다. 저는 정보통신과를 나왔고 전공은 c언어였어요. 졸업하고나서 웹 개발이 하고 싶어서 무작정 java를 배우기 시작했고, 국비교육으로 부족하지만 프로젝트 경험도 해봤습니다. 하지만 제가 딱 서류를 내기 시작했을 때가 백엔드 개발자 신입을 구하는 곳이 없어지는 추세였어서 진짜 있는대로 자격요건이 맞으면 막 넣었다가, 잦은 서류와 면접 탈락으로 약간의 면접 공포증?이 생겼었어요. 서류 넣는거까지는 어떻게 해보겠는데 어느샌가 면접 준비하면서 진짜 숨이 너무 막히더라고요. 변명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래서 약 6개월동안 도망치듯 개발을 잠시 놔버렸는데 제가 그동안 잠시 마케팅 일을 했었거든요. 근데 회사를 며칠 다녀보니까 개발하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서 결국 다시 개발로 돌아오려고 하는데 27살신입은 너무 늦은 나이일까요? 이력서 상에서 전공생에, 관련 교육까지 들어놓고 또 6개월간 깃허브, 블로그 올렸던 기록이나 프로젝트가 없으면 당연히 부정적으로 볼까요.. 제가 객관적으로 판단했을 때도 이력서가 부실한 감이 있긴 합니다. 그래서 다시 개발 공부를 병행하면서 사이드 프로젝트라도 더 해볼까 하는데 그럼 또 지원하기까지 공백기간이 있다보니..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히는 상황입니다. 현실적인 조언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코딩하는 건 좋아합니다.. 코테푸는 것도 어렵지만 좋아합니다 ㅠ.. 적성은 정말 개발자가 맞는데 그 실패가 두려워서 시작을 못하겠어요.. 다시 도전해도 될까요 ㅠㅠ..
개발자
#취준고민
#취준생
#취업
#백엔드
답변 3
댓글 0
조회 171
15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SaaS 운영시 Git이 구성되는 환경(?)
안녕하세요. 현재 자그마한 B2B 솔루션 회사에서 운 좋게 SaaS 프로젝트에 참가하게된 2년차 주니어 엔지니어입니다. 현재로써는 운영 아키텍처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고, EKS 기반의 퍼블릭 개발환경에서 CI/CD 및 메인 서비스에 대한 PoC를 진행하는 중에 있는데요,, 프로덕션으로 들어간다고 하면 Git과 같은 레포지토리 서버는 당연히 EKS 클러스터가 위치한 Private VPC에 구성되어야 하는게 맞는걸까요? ex) VPC Peering을 활용한 운영환경 <-> 개발환경 간의 분리, VPN G/W 활용...등 혹, 위 언급드린 방식이 올바른 경우라면 소스 커밋과 같은 작업들은 개발자들이 어떤 식으로 수행하는지 궁금합니다. 그 외로 SaaS <-> 레거시 개발환경과의 큰 차이가 존재하는 부분에 대해 언급을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devops
#ci/cd
#argocd
#saas
#kubernetes
답변 1
댓글 0
조회 35
14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답변 업데이트
Api만 만든 프로젝트
백엔드 개발자를 희망하고 있는데요, 개인 프로젝트로 api만 만든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백엔드
#개인프로젝
답변 1
댓글 0
조회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