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라고 다같은 AI가 아니라고

생성형AI의 급격한 발달로 최근 몇 년 사이에 AI가 “빅딜”이 되었지만 사실 AI기술 기반의 기능들은 오래 전 부터 우리에게 가까이 있었다. 예를 들면:

✉️ 이메일을 쓸 때:

  • 내가 입력한 내용을 근거로 키보드가 다음 단어를 제안해준다: Non-Gen AI

  • 이메일 드래프트를 작성해주거나 내가 쓴 이메일을 더 잘 읽히도록 다듬어 준다: Gen AI

🎵 음악을 들을 때:

  • 내가 선택하여 듣고 있는 노래와 유사한 다음 곡을 선곡해준다: Non-Gen AI

  • 나의 상황과 기분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준다: Gen AI

🚘 여행을 계획할 때:

  • 장소를 검색하면 근처 숙박시설이 연관성에 근거해 나열된다: Non-Gen AI

  • 챗봇에게 장소와 원하는 여행 스타일을 던져주면 나만을 위한 여행 플랜을 만들어준다: Gen AI


AI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술적으로 파고 들자면 무궁무진하게 배울 부분이 많이 있지만 디자이너로서 기술적 관점으로 모든걸 이해하기엔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닐 것 같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마도 유스케이스 기반으로 AI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우리가 어떤 경험을 개선하고, 또는 새롭게 만들어낼 수 있겠다라는 감을 잡는 게 아닐까 싶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23일 오후 6: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편의성보다 우선해야 할 인간적 접촉》

    ... 더 보기


    💪 모든 경험은 의미가 있다

    커리어는 정해진 목표를 향해 뛰는 경주가 아니다. 길을 알려주는 정답 지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찾아야 하는 보물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직업은 생활에 필요한 재원을 만드는 일이고, 커리어는 나에게 맞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고, 그 인생 과정에서 성장을 하게 된다. 나에게 맞는 커리어를 찾는 과정에는 자연스럽게 시행착오가 따른다. 다른 사람에게 조언을 듣거나 남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고 배울 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경험해 보고 터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중요한 것은 경험의 겉모습이 아닌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각 경험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항목들이다. ​1. 대기업 vs. 스타트업 대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갖춰진 시스템과 그로 인한 안정감이 아닐까 싶다. 갖춰진 시스템 속에서 세분화된 자신의 전문분야 일을 하게 된다. 시스템 안에서는 전문가로 인정받지만 시스템을 벗어나면 홀로서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마켓 사이즈나 임팩트가 큰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이 그저 ‘직원 1’인 것처럼 느끼기 쉽다.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안정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건 누구든 언제라도 교... 더 보기

     • 

    댓글 5 • 저장 205 • 조회 6,354


    쉬운 길

    

    ... 더 보기

    프리미어리그를 비롯한 유럽 축구리그에는 한국에서 뛰는 모든 축구 선수들의 연봉을 합한 것보다 수십 배가 넘는 돈을 버는 선수들이 즐비하다. 이런 일이 왜 가능할까?

    ... 더 보기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