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디자이너의 역할.

요즘, 상당히 많은 AI툴들이 나오고 있다.

텍스트 몇줄이면 화면 디자인을 만들어 주기도 하는데,

처음엔 위협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디자이너에게 도움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AI가 내가 하기 귀찮은 일을 대신 해주고, 나는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AI가 디자이너 대신 하는 일 : "와이어프레임 작성, 아이디어 도출 도구"로 활용


👩‍💻디자이너가 하는 일 : 일상적 잡무 대신, “문제 해결, 리서치, 창의성”에 더 집중.

✔️결론 : AI가 고도화 되면서, 디자이너는 단순 업무가 아닌, 생각이 필요한 업무를 많이 하게 될것이다. 그만큼 점점 더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이 많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https://medium.muz.li/ux-design-is-rapidly-changing-can-you-keep-up-af615f8058a5

UX Design Is Rapidly Changing - Can You Keep Up?

Medium

UX Design Is Rapidly Changing - Can You Keep Up?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8일 오후 1: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편의성보다 우선해야 할 인간적 접촉》

    ... 더 보기

    쉬운 길

    

    ... 더 보기


    💪 모든 경험은 의미가 있다

    커리어는 정해진 목표를 향해 뛰는 경주가 아니다. 길을 알려주는 정답 지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찾아야 하는 보물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직업은 생활에 필요한 재원을 만드는 일이고, 커리어는 나에게 맞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고, 그 인생 과정에서 성장을 하게 된다. 나에게 맞는 커리어를 찾는 과정에는 자연스럽게 시행착오가 따른다. 다른 사람에게 조언을 듣거나 남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고 배울 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경험해 보고 터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중요한 것은 경험의 겉모습이 아닌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각 경험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항목들이다. ​1. 대기업 vs. 스타트업 대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갖춰진 시스템과 그로 인한 안정감이 아닐까 싶다. 갖춰진 시스템 속에서 세분화된 자신의 전문분야 일을 하게 된다. 시스템 안에서는 전문가로 인정받지만 시스템을 벗어나면 홀로서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마켓 사이즈나 임팩트가 큰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이 그저 ‘직원 1’인 것처럼 느끼기 쉽다.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안정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건 누구든 언제라도 교... 더 보기

     • 

    댓글 5 • 저장 205 • 조회 6,353


    프리미어리그를 비롯한 유럽 축구리그에는 한국에서 뛰는 모든 축구 선수들의 연봉을 합한 것보다 수십 배가 넘는 돈을 버는 선수들이 즐비하다. 이런 일이 왜 가능할까?

    ... 더 보기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