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 3개월 리뷰 - 앞으로를 어떻게?

PO로 직무전환 후 3개월 수습기간이 끝났다. 이제 찐찐 정규직이다.


동료 피드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것들은...


[장점]

  1. 정리를 잘 한다

  2. 공유를 잘 한다 - 킥오프+기획 방향 공유+고객 인터뷰 공유

  3. 회고 시간을 갖는다

  4. 솔직한 피드백 받고 수용한다


[단점]

  1. 화면설계를 디테일하게 한다

  2. 피드백 자리에서 결론이 안 난다

개선점 1번은 나도 문제로 인식했다. 디자이너가 거의 없다시피 작업했던 경험 때문이었다. 그래서 최근 프로젝트는 텍스트+박스 위주 와이어프레임을 만들었다. 근데 이것도 PO가 할 일이 아니라는 피드백을 들었다. 디자이너의 상상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그치만 예술도 아니고 일인데, 서로 상상의 기댓값을 맞춰나가는 정도는 필요하지 않나 싶었다. 조금 건방지긴 했지만 알아서 팀 얼라인 하겠다고 대답했다.


2번은 - 내가 회피성향이 있어서 그렇다. 나는 정리되지 않은 상태를 싫어하고, 혼자 조금이라도 고민하는 시간이 확보돼야 한다. 그것이 메이커 분들께는 답을 정하지 않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다.

메이커 분들은 하나를 물고 끝까지 파서 그 자리에서 답을 얻길 바라는 것 같다. 반면 나는 그거 말고도 할 게 많으니 일단 문제 상황은 인지했고 내게 시간을 더 주면 고민해올게 인 것 같고. 나는 높은 확률로 그 자리에서 나온 결론은 성급한 결론일 수 있다고 생각하긴 한다. 여러 사람이 이야기하다 보면 문제의 논점이 흐려져서 진짜 본질적인 문제가 가려지기 때문이다.

이건 차차 맞춰가야 하지 않을까.


이것 외에도 피드백이 어렵다ㅠ 뭔가 메이커 분들은 특히 자존감이 강하신 것 같아서... 그리고 사람을 고쳐 쓰는 건 어려우니 그 사람의 기질에 맞게 전략을 달리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저 아직 주니언데요 엉엉 이런 고민들은 누구에게 헬프를 쳐야할지. 짬 차면 자연스럽게 생기는 건지 혼란하다 혼란해.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1일 오전 12:2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상대방이 스스로 이겼다고 착각하게 만들어라 >

    1. 설득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설득하지 않는 것'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651


    단순 비교 말고 영감 얻는 벤치마킹 하려면

    "

    ... 더 보기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Brunch Story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955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n.news.naver.com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