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Brunch Story
PO로 직무전환 후 3개월 수습기간이 끝났다. 이제 찐찐 정규직이다.
동료 피드백 내용 중 인상 깊었던 것들은...
[장점]
정리를 잘 한다
공유를 잘 한다 - 킥오프+기획 방향 공유+고객 인터뷰 공유
회고 시간을 갖는다
솔직한 피드백 받고 수용한다
[단점]
화면설계를 디테일하게 한다
피드백 자리에서 결론이 안 난다
개선점 1번은 나도 문제로 인식했다. 디자이너가 거의 없다시피 작업했던 경험 때문이었다. 그래서 최근 프로젝트는 텍스트+박스 위주 와이어프레임을 만들었다. 근데 이것도 PO가 할 일이 아니라는 피드백을 들었다. 디자이너의 상상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그치만 예술도 아니고 일인데, 서로 상상의 기댓값을 맞춰나가는 정도는 필요하지 않나 싶었다. 조금 건방지긴 했지만 알아서 팀 얼라인 하겠다고 대답했다.
2번은 - 내가 회피성향이 있어서 그렇다. 나는 정리되지 않은 상태를 싫어하고, 혼자 조금이라도 고민하는 시간이 확보돼야 한다. 그것이 메이커 분들께는 답을 정하지 않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다.
메이커 분들은 하나를 물고 끝까지 파서 그 자리에서 답을 얻길 바라는 것 같다. 반면 나는 그거 말고도 할 게 많으니 일단 문제 상황은 인지했고 내게 시간을 더 주면 고민해올게 인 것 같고. 나는 높은 확률로 그 자리에서 나온 결론은 성급한 결론일 수 있다고 생각하긴 한다. 여러 사람이 이야기하다 보면 문제의 논점이 흐려져서 진짜 본질적인 문제가 가려지기 때문이다.
이건 차차 맞춰가야 하지 않을까.
이것 외에도 피드백이 어렵다ㅠ 뭔가 메이커 분들은 특히 자존감이 강하신 것 같아서... 그리고 사람을 고쳐 쓰는 건 어려우니 그 사람의 기질에 맞게 전략을 달리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저 아직 주니언데요 엉엉 이런 고민들은 누구에게 헬프를 쳐야할지. 짬 차면 자연스럽게 생기는 건지 혼란하다 혼란해.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1일 오전 12:22
1. 설득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설득하지 않는 것'이다.
"
... 더 보기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