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를 좀 더 잘하는 법에 대한 글입니다. 본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전문을 꼭 다 보시기를 추처합니다. :) 정리하자면 앞서의 세 가지 요소가 있는 경우 회고에서 더 많은 이득을 얻었습니다. 자, 그러면 여러분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회고를 이 측면에서 평가해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회고할 때 나는(혹은 다른 사람들은) 부정적 감정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 감정을 많이 겪는가? 회고할 때 나는(혹은 다른 사람들은) 점차적으로 생각을 더 적극적으로 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가? 회고할 때 나는(혹은 다른 사람들은) 시각의 전환을 자주 하게 되는가? 만약 이 세가지 면에서 부족함이 느껴지는 회고라면 별로 얻는 것이 없는 회고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회고 방법을 바꿔야 할 것이며, 이 때 이 세 가지 면에서 풍성해지는 회고 방법인가 하고 따져보는 것이 좋은 지침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연말 의미있는 회고의 시간 가지시길 바랍니다.

좋은 회고를 가려내는 법

Zum

좋은 회고를 가려내는 법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2월 22일 오전 4: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기획 제안형 UX 포폴, 어떻게 문제 해결력을 보여줄까?

    UX 포트폴리오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더 보기

    《피상적 아름다움의 허상에 대하여》

    ... 더 보기

    포트폴리오 쇼케이스 리뷰

    

    ... 더 보기

    《시스템이 집중력을 훼손하는 6가지 방식》

    ... 더 보기

    《조용한 하루, 퍼펙트 데이》

    ... 더 보기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