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막 도전할 수 있는 에너지 레벨

커리어 코칭 일기 (Work & Tech) 699 #Justdoit 시작을 잘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혹자는 이런 종류의 사람을 걱정 없이 산다고 비아냥 거립니다. 하지만 훗날 진짜 승자는 이런 성향을 가진 사람이라고 믿습니다. 도전을 잘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과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렵지 않아 하는 것입니다. 그걸 좋아하거나 즐기는 것보다 참아낼 수 있는 단단한 마음이 있습니다. 한 가지 단점은 시작한 일을 꼭 끝까지 완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중간에 어떤 이유와 핑계로 중단되는 사태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이 용두사미라고 놀려 댑니다. 생각해 보면 시작한 일을 반드시 마무리 지어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포기는 배추를 셀 때만 사용하지 않습니다. 힘들거나 어렵거나 하기 싫으면 포기할 수 있습니다. 포기한다고 패자가 되진 않습니다. 에너지를 절약해서 다른 곳에 사용하면 됩니다. 거창해 지려고 하고 위대해 지려고 하며, 대단해 지려고 하니까 시작을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완벽주의가 게으름을 낳는다고 심리학에서 분석하지 않습니까? 그러니 그냥 좀 시작합시다.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하고 싶은 일 있으면 그냥 시작하세요. 도전 결과가 피드백 해줄 거고, 과정에서 반드시 배움이 있다고 믿습니다. ​ #에너지레벨 하이텐션으로 군중을 사로잡는 사람이 있습니다. 반대로 있어도 없는 듯, 술에 물 탄 듯 잠잠한 캐릭터도 있습니다. 에너지 레벨이 낮은 사람도 열정이 있습니다. 다만 열정이 끓는 온도가 낮을 뿐입니다. ‘나 지금 되게 신나!’ 같은 대사를 외쳐도 사람에 따라 느낌이 다른 이유는 발산 가능한 에너지 레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함부로 ‘난 열정 따윈 없다’고 확신하지 마세요. 아직 발견 못했을 뿐이죠. 열정을 발휘해 본 경험이 있는데 너무 뜨뜻미지근하여 깨닫지 못했던 것입니다. 1000도나 100도나 끓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라면에 모르고 찬물을 부었다가 뒤늦게 더운물을 부으면 어떻게 되나요? 그래도 라면은 익습니다. 그리고 배가 고프면 미지근한 물에 끓은 라면도 맛있습니다. 낮은 에너지 레벨을 탓하지도 억지로 끌어올리려고 하지 마세요. 그냥 내가 가진 최선을 다하는 것입니다. 그래도 내 온도에 녹는 것이 있고, 먹을 수 있는 경험이 있습니다. 좀 맛이 덜하더라도 허기를 달래기에 제법 괜찮을 수 있습니다. 제일 안 좋은 건 공백입니다. 비어있는 그릇을 채울 에너지를 깨우시기 바랍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21일 오전 11:3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39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4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