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복잡하게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실력자다.

일을 할 때, "단순하게 생각하라."  라는 글이 많다. 맞는 말이다. 그런데 복잡하게 생각하는 것이 정말 나쁜 것일까?

예를 들어 경영/마케팅에서 [구매] 버튼의 크기를 조금 크게 해달라는 요청이 왔다고 치자.

버튼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은 사소해 보이지만…

  1. 그럼 여기 이 버튼만??
  2. 모든 페이지에 있는 구매버튼에 다 적용?
  3. 모든 variant(베리언츠)에 다 적용?
  4. “조금”의 기준은 무엇인지?
  5. 웹접근성을 준수 해야 하는지? 
  6. 디자인시스템과 호환되어야 하는지?
  7. 아님 새로운 패턴으로 추가 시켜야 하는지?
  8. 모든 반응형 크기에 적용시키는게 맞는지?
  9. QA도 필요한지? 얼마나? 어떤기종? 어떤환경?
  10. 버튼만 키우는건지 폰트도 키우라는건지?
  11. 왜 크기를 키우고자 하였는지?
  12. 크기가 작아서 이슈가 있었는지?
  13. 어떤환경에서 보았는데 작다고 느꼈는지? 모바일인지 웹인지? 어떤브라우저인지? 본인만의 생각인지 다른 사람이 봤을때도 작게 느끼는건지?
  14. 구매버튼을 키우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거라 생각하는지? 왜? 무슨근거로? 크기를 키움으로써 다른 버튼들이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면  나머지도 동일한 비율로 늘려야할 수 있는데 괜찮은지?
  15. 크기를 키우기 전과 키운 후의 성과측정이 필요한지?
  16. 다른 페이지나 주문흐름에 영향이 없는지?
  17. 영문 페이지에도 적용하는지?

(혹시 더 고려 해야 하는 것이 있을까요?🫠)


프론트엔드/백엔드/기획/디자인에서는 이렇게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된다.


누구에게는 너무 복잡하게 생각한다, 일을 키운다고 얘기할 수 있다.

누구에게는 복잡계라며 같이 일하기 싫은 사람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주니어 레벨은 복잡계를 가까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사람은 그만큼 시야가 넓다는 말이니까.


그런 사람 옆에서 같이 오만가지 다 고민해 봐야 이거 왜 이렇게 되고 저건 왜 안되는지, 이건 어떻고 저건 어떤지 정확히 배우고 써먹을 수 있다.

어차피 이것저것 다 고민해서 가면 관리자(PM)가 불필요한 부분을 정리해 줄 거고 그러면서 공부하고 성장하는 거라고 본다.


그런 고민을 해 본 사람이 나중에 실력자가 되고 조직 내 실세가 된다.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된다.)


오히려 주니어때 그런 고민도 없이 그냥 시키는 일만 기존 방식대로 후다닥 처리하다 보면 물경력 돼서 나중에 관리자급 되었을 때 뒤늦게 저런 복잡계를 시전하며 아래 사람들을 괴롭히게 된다.

연차만 늘었다보니 그제서야 시야가 깨이고 엮여 있는 부분들이 보이는데 뭐가 중요한지는 잘 몰라서 사소한 것이나 불필요한 디테일에 고집하게 되고, 그렇게 마이크로매니저/일을 키우는 사람이 된다.


저연차 때는 고민을 하는 사람을 가까이 하고 옆에서 같이 고민해 봤으면 한다.

고연차는 고민이 있다고 다가와 주는 사람이 있다면 두 팔벌려 환영해 주자.

원래 실무자는조금 느리더라도 모든 옵션을 검토해서 혹시나 PM/기획자가 놓치거나 생각하지 못한 부분, 그동안 바뀐 부분을 짚어주는거고, PM은 그런 정보들과 짬을 버무려서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오더를 내려야 하는 포지션이다.


느린건 시간이 지나고 숙달되면 고쳐지지만

꼼꼼한건 좀처럼 달성하기 어려운 역량이니까.

지나친 고민은 지양하되 많은 옵션을 고려하고 생각할 줄 아는,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자.


(그림출처: 데브경수, 개발밈)

(p.s. 다른건 단순하게 생각해도 된다. 이직이든, 인간관계든, 연애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27일 오전 4:29

 • 

저장 27조회 1,566

댓글 2

  • 고민을 너~무 안해도 문제고(로봇) 고민을 너~무 해도 문제네요(선택장애) 많은 고민 + 빠른 선택이 가능한분과 함께 일할수 있다면 베스트ㅎ 주니어때는 고민을 많이 해야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 )

함께 읽은 게시물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

이번에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에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라는 새 글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31 • 조회 3,581


이력서 버전 5.5까지 갈아 끼웠는데 400군데 탈락했어요!

... 더 보기

데이터 작업용 Cursor 에디터 - Nao

d

... 더 보기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GeekNews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