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피드백 문화를 만들어요

일삶기록 (work & life) 761


피드백 방법과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마인드 셋에 대해서 이전에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 뿐만 아니라 시중에 피드백 관련 아티클과 콘텐츠가 많죠.

어제 큰 아들이 다니는 학교 선생님이 아내에게 아들에 대해서 피드백한 내용이 마음에 걸립니다. 긍정적인 내용이 아니라서가 아니라 피드백하는 방식이 조금 잘못되었다고 생각해요.

오늘 이야기는 선생님을 비난하기 위해 쓰는 내용은 아닙니다. 그저 피드백 방식과 문화를 바로 알리고 싶은 마음으로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언제나 학교는 거룩한 곳이고 그곳에는 일하는 선생님과 모든 관계자를 존경합니다.

피드백은 지지와 요구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먼저 상대방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고 표현해야 합니다.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며 다음으로 정확한 요구를 해야 합니다. 요구는 구체적이면 좋습니다.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 줘야 합니다. 문제만 지적하는 것은 파괴적인 행동입니다. 지지만 하는 것은 속여서 그릇된 길로 인도하는 것입니다. 지지와 요구가 결합될 때 건강한 피드백이 가능합니다.

피드백은 사실에 기반해야 합니다. 기억나는 사실을 그대로 나열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아주 구체적으로 언제 어떤 일이 있었고 무엇이 이슈였으며 왜 중요한지 일목요연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피드백이 구체적이지 않을 때 왜곡이 발생합니다. 단편적인 사실만 나열해 놓고 좋다 나쁘다 이야기하고 판단하면 잘못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피드백은 받는 사람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열린 귀와 마음, 피드백을 행동으로 옮기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무방비 상태로 피드백을 받으면 튕겨져 나가거나 지나쳐 흘러가 버립니다. 피드백 듣는 사람이 준비되어야 하지만, 피드백 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을 배려하고 이해하여 피드백을 잘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일방적으로 난 줄 테니 넌 받아라 하는 건 마치 준비되지 않은 포수에게 강속구를 던지는 투수와 같습니다. 서로 눈으로 사인하고 공을 던지고 받을 자세가 준비된 후에 안전한 캐치볼이 가능합니다.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마주하고 다양한 상황을 겪게 됩니다. 때로는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과 협업해야 하는 경우도 있죠. 그때마다 서로에게 괴로운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상대가 누구든지 건강한 의견을 줄 수 있는 관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건강한 피드백 문화가 가정과 학교, 직장과 사회에 정착되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2일 오후 12:2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5 • 조회 1,004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기회

    

    ... 더 보기

    조회 504


    앱 업데이트의 본질을 파헤치고, 기능 개선 인사이트를 찾아보는 모임

    ... 더 보기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update-log on Notion

    AIXperience 클럽 소개 | Notion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네이버다움', 이렇게 찾았다고 합니다

    ... 더 보기

    NAVERfficial - "네이버다운 게 뭔데?" 물으신다면

    fficial.naver.com

    NAVERfficial - "네이버다운 게 뭔데?" 물으신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