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manager와 Product owner의 차이 및 관계 ❓ ] 사실 이번 글은 제 블로그의 글이며 인사이트가 있기보다는 단순 정보 및 경험 전달성의 글입니다. 한국에 Product owner라는 직무가 소개된지 몇 년이 되었을까요? 제가 쿠팡에 PO로 join한 게 6년 전이었으며 그 시절에 '쿠팡에 PO라는 직무로 이직한다'라고 했을 때 주위 사람들 대부분은 '쿠팡에서 판매하는 제품 라인(예, 기저귀, 생수 등)을 담당하는 직무'인가보다 라고 오해했었죠. 시간이 좀 지나 이제 한국도 PO와 PM(Product manager)라는 직무가 어색하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만 여전히 PO와 PM이 무엇이 다른지, 이 두 직무간의 관계가 무엇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먼저 답을 드리자면 '정답'은 없습니다. 각 회사가 처한 상황, 지향하는 바 등에 따라 여러가지 구조로 PO나 PM이라는 직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글에선 제가 '경험상' 이해한 PO/PM의 관계를 3가지로 분류해보려 합니다. 지난 몇 년간 한국의 쿠팡과 네덜란드의 Booking.com에서 PO(혹은 PM)으로 일했으며, 최근 네덜란드 내에서 이직을 위해 10개 이상의 회사 리쿠르터 몇 면접관들과 대화를 했었습니다. 이때 얻은 정보들을 토대로 분류해 본 3가지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1️⃣ PO 혹은 PM 한 가지만 운영하는 경우 (쿠팡, Booking.com) 2️⃣ PO와 PM이 함께 일하며 PM은 제품이 가야 할 방향과 전략 측면을 담당하며, PO는 실행 측면을 담당하는 경우(Tomtom의 경우) 3️⃣ PM이 PO를 매니징하는 경우 (PO가 PM에게 보고)(IKEA의 경우) 자세한 내용은 링크의 제 글을 보셔도 좋습니다. 😉 'Product owner? Product manager?'라는 주제로 3편의 글을 적었습니다. 간단히 보시려면 3편만 보셔도 좋고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싶으시면 1편과 2편도 함께 읽으셔도 좋아요. 글의 핵심은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조직 구조가 있다'라기 보다는 '회사마다 다 다르니 이직을 고려할 때 꼭 리쿠르터나 면접관과 함께 해당 job에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확히 확인을 하고 준비하고 지원했으면 한다'라는 내용입니다. 마지막으로, 말씀드렸듯이, 위의 내용은 제가 경험을 통해 배운 내용입니다. 혹시나 다른 사례가 정보가 있다면 꼭 댓글 달아주세요!

Product manager와 Product owner (3편)

Inyong Suh

Product manager와 Product owner (3편)

2020년 12월 12일 오후 10:50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

개발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필독 아티클 모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