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어난 PO/PM이 되는 법> 뛰어난 PM이 되기 위해서 4가지 분야의 12가지 핵심역량(각 분야당 3개의 핵심역량)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4가지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제품 실행력: 뛰어난 제품을 만드는 능력 2. 고객 통찰력: 고객의 니즈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능력 3. 제품 전략 수립 능력: 제품 혁신을 통해 사업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 4. 인사관리 능력: 팀원들에게 좋은 영향을 제공하는 능력 각각의 영역별로 좀 더 살펴볼게요. 1. 제품 실행력 - 제품 기능 정의: 스펙 잡고, - 제품 구현: 개발의 지난한 과정과 스펙 수정 등을 계속 하면서 개발하고.. - 제품 QA: 개발된 것 잘 QA하고.. 이렇게 되는거죠. 2. 고객 통찰력 - 데이터 활용 능력: 데이터 분석 잘 하고, - 고객의 목소리: 다양한 채널 통해서 인입되는 고객 보이스 무시 안하고 경청하고, - 고객경험 디자인: 좋은 UX 고민하고 제안하는 것 이렇게 되겠죠. 3. 제품 전략 수립 능력 - 사업 성과에 대한 오너십: 제품과 사업이 별개가 아니라, 사업을 위해서 제품이 존재함을 PO/PM이 인지하는거죠. - 제품 비전 & 로드맵 수립: 회사의 사업적인 비전, 전략에 따라서 제품 비전과 로드맵을 설정하는 능력입니다. - 전략적 효과: 전체 전략 이해하고, 기여할 수 있으며, 전략을 결과로 만들어내는 능력입니다. 여기는 뭔가 좀 중복이 있네요. :) 4. 인사 관리 능력 - 이해관계자 관리: 제품의 이해관계자들을 정의하고, 그들의 요구가 제품에 반영되게 하던가, 반영되지 않더라도 그들이 여전히 열정을 가지고 일하게 하는 능력 - 팀 리더십: 본인의 팀(Product Team)이 제품에서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관련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게 하는 역할 - 매니저(상사) 관리: 대표 혹은 그 위의 임원들을 관리하면서 제품팀을 보호하는 역량 ---- 개인적으로 굉장히 잘 정리된 글이라고 생각해요. 특히 PO/PM에게 이런 역량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리한 아티클 중에서 가장 잘 구조화시킨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본인을 저 4가지 영역, 12가지 역량 중심으로 회고해보는 것도 정말 좋을 것 같아요. :)

뛰어난 제품 관리자가 되는 법

brunch

뛰어난 제품 관리자가 되는 법

2020년 12월 22일 오전 3:04

댓글 1

  • 좋은 글 공유 감사합니다! 2번 고객 통찰력 관련해서 이 역량을 갖추려면 어떻게 공부하고, 경력을 쌓아야 할지 조언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고객관리 & 지원 쪽에서 업무를 보는데, PO/PM 에 더 배워보고 싶어서요. 감사합니다😁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