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PM인 Orman Eduardo Fernandeze가 말하는 PRD 구성 요소] ✏️PRD 핵심 질문 - Why : 왜 이 기획이 필요한가요? - How : 어떻게 접근해야 하나요? - What : 가장 적합한 솔루션은 무엇인가요? 우리가 PRD를 작성하는 이유는 위 3가지를 답하기 위해서가 아닌, 우리의 팀이 제대로된 프로덕트를 만들고 유저에게 성공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다. ✏️PRD 작성 1️⃣Summary & Background 무엇을 문제라고 생각하는지, 그것이 왜 문제인지 설명한다. 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업적 지표나 유저 리서치 자료, 기타 인사이트 등을 함께 인용하면 효과적이다. 2️⃣Target User 이 서비스로 혜택받을 유저는 누구이며, 그들을 주시하고 그 페인 포인트가 우선시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3️⃣Critical User Jurneys(CUJs) 유저 페인 포인트를 해소하면 그들은 어떤 성취를 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이때, 유저의 니즈 측면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솔루션 측면이 아닌) 4️⃣Functional Requirements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PM은 구체적인 솔루션을 강요하기보다 기능적 요구 사항을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 5️⃣Supporting Documents 유관부서 동료와 PRD로 커뮤니케이션할 때, 그들에게 부가적인 자료를 첨부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6️⃣Go-to-Market 기능 출시와 관련된 고려 사항을 정리하고 출시 후 마케팅과 영업, CS 등 고객과 맞닿아 있는 기능에 대한 예상되는 이야기들을 작성한다. 6가지 프로세스를 진행할 때 시간과 노력을 단축할 방법은 빈번한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 특히 1~3번까지 진행했다면, 실질적 기능을 작성하기 전에 필히 유관부서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또한 피드백에 대한 리뷰를 꼭 작성하거나 이야기하여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만드는 것이 좋다.

How to Write a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PRD)

Exponent's Ace the Tech Interview Blog

How to Write a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PRD)

2021년 6월 14일 오전 6:1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