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제프베조스가 온라인 서점 형태로 아마존을 런칭하며 온라인 커머스가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기존 오프라인 리테일 기업들이 보기에 너무나 미미한 존재였지만, 2000년대부터 온라인의 발전과 함께 수익을 내기 시작하며 빠르게 고도화 되었습니다. 2007년 애플 아이폰이 등장하며 스마트폰의 개념을 정립합니다. 아이폰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게 하며 우리의 일상을 금속하게 변화시켰습니다. 안드로이드의 출시와 더불어 스마트폰의 확산은 더 빨라졌습니다. 2010년 전자상거래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며 온라인 쇼핑 역사상 처음으로, 사이버 먼데이 기간 동안 미국의 온라인 매출은 1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2022년 12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7조 7115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2% 증가, 온라인 쇼핑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2조 9227억 원으로 7.7% 증가 했습니다. 전월 대비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3.3% 증가,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2.1% 증가, 온라인 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73%를 차지하는 등 온라인 쇼핑은 이제 트렌드가 아닌 우리의 생활방식으로 자리 잡는 추세입니다. 이제 사람들은 정보를 모으고 분석하고 공유하는 방식에서부터, 소비의사 결정의 접근 방식 또한 바꾸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쇼루밍(Showrooming)족의 등장입니다. 쇼루밍족은 제품 구경은 매장에서 하고 구매는 온라인으로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상품가격을 검색할 수 있게 되었기에 사람들은 더 이상 오프라인에서 구매를 하지 않고 오프라인에서 물건을 확인 후 온라인 최저가 구매를 하는 형태로 소비패턴이 변화했습니다. 2010년도 초반 소셜커머스의 등장으로 소비자와 생산자의 경계가 흐려지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전통적인 공급자와 소비자의 관계를 벗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개인의 취향이 상품화 되어 판매되기 시작했고, 오픈마켓의 도움으로 누구나 소비자이자 판매자가 될 수 있는 변화가 이뤄진거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흐릿해지기 시작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유기적인 연결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전세계적으로 리테일의 최대의 화두였던 O2O(Online to Offline)는 온•오프라인 시장의 연결성을 확보하여 소비자에게 유기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것에 포커스하기 시작했습니다. 작게는 모바일폰을 이용한 쿠폰 전단 전송, 제품정보 푸쉬, 가격 할인 등의 오프라인 마케팅도 필요했지만, 그 이상의 소비경험을 연결하기 위한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다양한 채널에서 소비자의 오프라인 경험을 온라인 소비로 연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들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싸움은 본격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CJ와 쿠팡의 햇반대첩(양사의 마진율 갈등으로 CJ가 햇반을 쿠팡에서 판매하지 않기로 결정)의 예시와 같이 지난 수년간 ‘슈퍼 갑’ 지위를 누려왔던 대형마트, 이커머스 등에 ‘을’인 제조사가 반기를 든 사건입니다. 업계에서는 갑을 간 대치 원인으로 힘의 균형이 무너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주류입니다. 온라인쇼핑 시장 성장세 둔화와 유통 채널 다변화로 갑의 지위가 예년만 못하다는 방증이라고도 할 수 있고, 수익률 극대화를 위해 벌어질 싸움이 벌어졌다는 평도 있죠. 결국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리테일, 커머스를 기반으로 한 분쟁이 표면화 되기 시작한 상황입니다. 이 문제 또한 단순 한국의 문제가 아니라 아마존과 나이키, 명품브랜드와 아마존에 이르기까지 온•오프라인 유통 헤게모니의 싸움이 시작된 것입니다. 이런 시장상황 속에서 얼마 전 신세계 유니버스의 등장도 재미있는 부분입니다. 쿠팡, 마켓컬리 등 온라인 커머스 기업과의 경쟁에서 밀리던 기존 유통 플레이어들이 SSG.com이나 이마트 쇼핑몰 등의 개별승부가 아닌 온•오프라인 모두를 아우르는 통합 커머스 서비스를 기반으로 경쟁을 시작한 것입니다. 신세계 그룹 내 리테일 서비스를 모두 통합하여 스타벅스부터 G마켓, 옥션, 이마트, SSG, 신세계백화점 등의 모든 서비스를 연간 회원으로 혜택을 주는 방식을 통해 온•오프라인 채널을 모두 보유한 강점을 살리겠다는 전략입니다. 이제 사람들에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은 무의미해 질 듯합니다. 신세계 유니버스 케이스처럼 이제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머스의 싸움은 단순한 연결과 유도를 넘어 소비 경험의 진화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OMO(Online Merged Offline)는 이제 온•오프라인의 물리적인 연결이 아니라 브랜드 경험, 소비 경험의 융합의 레벨로 서비스 경쟁이 진화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처럼 고객은 실시간으로 판매자를 통해 상품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도 하고, 타인들의 사용담이나 체험 후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색상이 더 인기가 많을지, 어떻게 먹으면 더 맛있을지 등 구매결정에 대한 조언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온•오프의 경계를 무너뜨리기 시작한 부분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얼마 전 29CM이 오픈한 오프라인 매장 29성수나 마켓컬리의 오프컬리(OFF KULY)도 같은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만 존재하는 구매경험과 브랜드 경험을 오프라인 거점을 기반으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개념입니다. 결국 오프라인 공간은 전시장이나 공공 건물이 아닌 이상, 매장 운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리테일 채널 역할을 해야 합니다. 다만 리테일 비지니스의 환경이 바뀌었고,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치와 온라인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나 가치가 바뀌어져 가고 있는 시점입니다. 이제는 온라인인가 오프라인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브랜드가 사람들에게 어떤 소비경험을 제공하고 소비자와 어떤 관계를 형성할 것인가가 중요한 시대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던 리테일의 모든 일상이 바뀌어가는 시점이기에, 우리가 알고 있던 공간의 가치 역시 재정의 해야 합니다.

온·오프라인 리테일의 변화

패션인사이트

온·오프라인 리테일의 변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3일 오전 10:26

 • 

저장 2조회 1,18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미 육군 리더십센터는 리더십, 조직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곳이다. 특히 불확실한 상황하에서의 의사결정, 위기 관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미 육군 리더십센터의 연구성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독성 리더십(Toxic Leadership)’에 관한 것이다.

    ... 더 보기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

    매일경제

    `독성 리더십`은 어떤 것? 미군 내부조사 결과 보니 - 매일경제

    미들캡 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준오헤어의 초기 매각가는 5000억원대로 거론됐다가 현재 8000억원대로 치솟았다. 블랙스톤 KKR 칼라일 등 글로벌 대형 PEF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몸값이 올랐다는 게 업계의 후문이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PEF들이 과거에는 조 단위 이상 대형 딜에만 집중했지만 최근에는 투자집행이 중요한 만큼 1조원 안팎의 거래라도 성장성이나 시너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적극적으로 들여다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더 보기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n.news.naver.com

    글로벌 PEF의 미들캡 공습…설 자리 좁아지는 토종 PEF

    조회 346


    ⟪토스가 만든 리서치툴, TNS⟫

    ... 더 보기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toss.tech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 

    저장 3 • 조회 680


    내가 진심으로 창업가이자 사업가로 리스펙트하고 사업피봇팅시 직접 엔젤투자를 한 홀릭스 박태영 대표가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이 IT동아와 함께 ‘2025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서 우리 회사가 사업 분석 컨설팅을 맡았던 포플러플래닛의 전문가 컨설팅을 맡아 진행했다. 포플러플래닛 대표님께 많은 도움이 되었을거라 믿는다.

    ... 더 보기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동아일보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