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조직문화가 실제로 작동되는 순간들은 습관에 가깝습니다. 머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이 되면 특정 행동을 하는 것이죠. 수평적으로 의견을 낼 수 있는 조직이라면, 회의 중에 “내가 이야기해도 될까” 라는 고민 없이 의견을 바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습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2가지가 있습니다. 트리거와 마찰력입니다. 트리거는 특정 상황입니다. 마찰력은 행동으로 옮길때 얼마나 고민 없이 할 수 있는 환경인지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회의가 끝나면 다음 분들을 위해 회의실을 정리합시다” 라는 습관을 형성하는 모습을 상상해봅시다. 처음 하는 것은, 모두가 있는 자리에서 회의실을 깨끗히 하는 문화를 만듭시다 라고 알리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하루 이틀은 회의실을 깨끗히 하고 나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다보면 어느새 사람들은 까먹고 칠판을 지우지 않은채로 회의실을 나오게 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트리거와 마찰력입니다. 백번 말하는 것 보다, 회의실 가운데나 회의실 문 앞에 화이트보드 지우개와 물티슈를 배치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회의가 끝나고 눈의 동선이 가는 곳에 도구들이 보이면 그 즉시 트리거가 발동합니다. “아 맞다 치워야지” 그리고 치울 도구도 눈 앞에 있기 때문에 “지우개 어딨지? 못 찾겠다. 다음에 지우자” 등의 생각을 하지 않고 그 즉시 행동에 옮길 수 있게 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16일 오전 5:33

댓글 1

함께 읽은 게시물

< 행동이 답이에요, 목표는 거들 뿐 >

1

... 더 보기

정직한 경험 소개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701


면접 탈락 이유 복기



... 더 보기

회사가 직원들에게 요구하는 것 중 하나가 ‘애사심’이다. 애사심은 분명히 숭고한 가치이지만, 그렇다고 강제로 요구한다고 생기는 것은 아니다. 직원들이 먼저 회사에 자부심을 갖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자연스럽게 애사심도 고취될 수 있다.

... 더 보기

직원들 자부심 챙기면 애사심은 절로 나온다

서울경제

직원들 자부심 챙기면 애사심은 절로 나온다

팀에서 중간 직급을 맡게 된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요? 아래로는 후배를 챙겨야 하고, 위로는 상사를 모셔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후배를 챙기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더 난이도가 높은 게 상사와의 케미를 끌어올리는 건데요. 그런데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 더 보기

[ 좋은 리더십은 좋은 팔로어십으로부터 ]

01. 흔히 '리더십은 이끄는 것이고 팔로어십은 따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뭐 구조만 두고 보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를 마치 작용과 반작용처럼 생각하면 그때부터는 조직 내에서 큰 오해가 생길 수 있죠. 때문에 이 둘 사이의 방점은 '상호보완적'이라는데 찍혀야 함이 분명합니다. 02. 우리 주변에서 리더가 된 사람들 중 이런 유형이 있습니다. 일을 할 때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의 의견을 더 잘 메이킹하고, 상위 리더의 지시를 누구보다 빠르게 잘 따르며, 피플 매니징에 대한 의욕이 높은... 더 보기

 • 

저장 35 • 조회 2,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