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조직문화가 실제로 작동되는 순간들은 습관에 가깝습니다. 머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이 되면 특정 행동을 하는 것이죠. 수평적으로 의견을 낼 수 있는 조직이라면, 회의 중에 “내가 이야기해도 될까” 라는 고민 없이 의견을 바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습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2가지가 있습니다. 트리거와 마찰력입니다. 트리거는 특정 상황입니다. 마찰력은 행동으로 옮길때 얼마나 고민 없이 할 수 있는 환경인지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회의가 끝나면 다음 분들을 위해 회의실을 정리합시다” 라는 습관을 형성하는 모습을 상상해봅시다. 처음 하는 것은, 모두가 있는 자리에서 회의실을 깨끗히 하는 문화를 만듭시다 라고 알리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하루 이틀은 회의실을 깨끗히 하고 나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다보면 어느새 사람들은 까먹고 칠판을 지우지 않은채로 회의실을 나오게 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트리거와 마찰력입니다. 백번 말하는 것 보다, 회의실 가운데나 회의실 문 앞에 화이트보드 지우개와 물티슈를 배치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회의가 끝나고 눈의 동선이 가는 곳에 도구들이 보이면 그 즉시 트리거가 발동합니다. “아 맞다 치워야지” 그리고 치울 도구도 눈 앞에 있기 때문에 “지우개 어딨지? 못 찾겠다. 다음에 지우자” 등의 생각을 하지 않고 그 즉시 행동에 옮길 수 있게 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16일 오전 5:33

댓글 1

함께 읽은 게시물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58


경험담)섣불리 판단하면 안되는 이유?


주말에 한식 뷔페에서 식사하던 중,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대기업 전직 임원이 골프장 캐디가 된 이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