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프로젝트 검토 시 지켜야할 원칙.

1. 첫 번째, 내가 하고자 하는 게 새로운 시장을 만든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기존 시장을 태클하는 건가? 2.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것보다, 기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는 게 훨씬 빠르고 삽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3. 혹자는 혁신이 없지 않냐고 반문하는데, 잘 생각해보면 혁신적인 제품들은 개선과 개선이 더해져 혁신이 된 거다. 4. 두 번째, 효율화가 가능한가? 5. 시스템을 통해 효율화가 가능하고, 효율화된 부분은 비용 절감으로 이어져야 한다. 6.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스템을 위한 프로덕트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효율화를 위한 프로덕트가 우선이다. 7. 세 번째, 1) 스케일업 2) 임팩트를 낼 수 있는 도메인인가? 8. 단기간에 Growth를 만들어 내고, Capex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시장에서 유의미한 점유율을 만들어 내야 한다. 9. 이런 도메인을 고르는 것도 역량이다. 10. 우리의 시간은 한정적이다. 혹자는 헛발짓도 필여하다고 한다. 하지만 헛발질을 줄일 수 있고, 웅덩이를 피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18일 오전 11:27

조회 1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일터의 근육] 컬리 일잘러들의 공통점

    '

    ... 더 보기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Brunch Story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더 보기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 • 조회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