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잘러의 지표들] ② 뤼이드 AI 튜터 제품 PM이 주목한 지표 3가지 | 요즘IT
요즘IT
뤼이드는 AI를 다루는 글로벌 에듀테크 회사로 산타(B2C)와 AIED(B2B)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저도 참 관심있는^^ 기업인데 오늘은 산타팀에서 AI Tutor 제품을 고도화 시키고 계신 이승헌님의 UX 개선기를 들고 왔습니다. 오랜만에 굉장히 좋은 아티클을 읽은 것 같아 공유 드립니다.
⛳ Santa 팀의 목표: “AI Tutor 제품을 통해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을 줄여 보다 많은 학습자가 빠르게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자”
📌제품 특성: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학습 효과
📌배경: 사용자의 탐색과 선택의 경험을 강화하는 LX(Learning eXperience)를 만들어내는 일에 집중!
AI가 추천해주는 콘텐츠 경험의 한계를 보완하여 사용자의 주도적인 탐색을 강화하는 사용자 경험을 함께 제시한다면 더욱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깊게 충족시킬 수 있다고 판단
📌결과: 10월 6일 배포 이후에 선택학습 내 문제풀이 콘텐츠 학습량이 160%! 상승
그렇다면 LX설계의 관점에서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선택해 학습하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본 3가지 지표는 무엇일까요?
💡 사용자 참여도(User Engagement) 지표: 1인당 학습 콘텐츠 소비량
학습 콘텐츠 소비는 사용자가 제품에서 하는 가장 기본적인 활동!
자발적인 학습 참여 정도를 가장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예시: 산타토익 내 낮은 점수대의 사용자들이 추천학습에만 의존한 채, 선택학습을 사용하지 않는 현상 발견
저점수대의 사용자들은 선택학습에 대한 니즈는 있지만 어떤 컨텐츠를 선택해야할지 모르거나, 원하는 콘텐츠를 찾지 못하고 있음
AI가 산출한 예측 정답률을 기준으로, 컨텐츠를 비교, 선택할 수 있게 한다면, 1인당 선택학습 문제 컨텐츠 소비량이 증가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세우고 제품 개발 진행!
해당 가설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떈 가설의 영향범위를 고려하여 성과 지표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중요 ('선택학습', '문제풀이', '저점수대'를 기준으로 합산하고 1인당 해당 기준의 소비량 지표 개선 여부 확인)
💡 사용자 리텐션(User Retention) 지표: 학습 리텐션율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꾸준히 학습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학습 리텐션은 시간이 지나도 학습을 지속하는 사용자의 비율을 의미, 컨텐츠를 최소 1개 이상 소비한 날을 기준으로 계산.
에듀테크 프로덕트에선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 것 이상으로, 사용자가 잊지 않고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장치를 만들기도 함(ex. 듀오링고)
이때 리텐션율의 성과를 판단하기 위해선 '코호트 기반 학습 리텐션율'을 대표적으로 활용(특정 기간 별 유저 코호트를 기준으로 일/주/월 별로 남아있는 사용자의 비율을 계산)
💡 재구매율
에듀테크 제품, 특히 AI 튜터 제품에서는 커머스와 같이 잘 만들어진 상품을 중개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경험 자체가 하나의 상품이 되는 SaaS 형태의 제품 특성을 가짐
이러한 도메인에서 재구매율은 제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가장 잘 대변하는 행동 지표!
교육 제품 특성상 사용자는 목표를 달성하면 이탈하기에, 사용자가 다시 유입되는 사이클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바이럴 효과를 일으키는 것이 매우 중요(만족은 곧 추천으로 이어짐)
총 구매자 중 재구매자의 비율을 구한 '평균 재구매율'을 산출
혹은 AB테스트 집단, 배퐇 주기별, 기간별등 세부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선 ' 코호트 기반 재구매율'을 계산해보는 것이 좋다!
참고: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317/
https://medium.com/riiid-teamblog-kr/santa-for-ai-toeic-%ED%95%99%EC%8A%B5-%EA%B2%BD%ED%97%98-%EA%B0%9C%EC%84%A0%EA%B8%B0-%EC%B7%A8%EC%95%BD%ED%95%9C-%EA%B0%9C%EB%85%90%EB%B3%84-%ED%95%99%EC%8A%B5-%EC%BD%98%ED%85%90%EC%B8%A0-%EC%84%A0%ED%83%9D-%EA%B2%BD%ED%97%98-%EA%B0%95%ED%99%94-2d25c1098099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5일 오전 12:48
챗GPT가 대중적으로 등장해서 화제몰이를 시작했던 2년여전, 얼리어댑터들의 챗GPT 사용행태를 보고 챗GPT에 가장 먼저 큰 영향을 받을 서비스가 검색서비스/포털서비스라고 이야기해왔는데, 이제 그게 현실로 증명된 결과가 나왔다. 챗GPT 계열의 서비스를
... 더 보기실력은 갖췄지만 인성이 나간 사람을 만났을 때는 내가 기준을 더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어차피 그 사람보다 실력이 더 좋은 사람은 반드시 있을 거다. 그렇다면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을 두고 인성 터진 사람을 비교당하는 위치에 두면 그 사람이 뭐라고 하든 별로 신경 안 쓰게 된다. 아무리 본인이 독한 말을 뱉어도 그 사람은 인성까지 갖추고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보다 못한 사람이다. 그냥 인성 터진 사람이지. 사실은 본인이 더 잘 알 거다. 실력은 부족한 인성에 대한 알리바이가 되지 않는다.
기
... 더 보기어
... 더 보기'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