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전 · 조유정 님의 질문 업데이트
물경력 직전 중고신입 이직 현실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물류IT 개발자입니다. 연봉, 복지 면에서 조건 좋은 회사로 중고신입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현회사에서 성과를 내기 힘든 구조입니다... 현재 회사 규모는 준대기업...? 정도인데 IT는 많이 뒤쳐져있습니다... 지금부터 제 한탄입니다....ㅜㅜ 비즈니스 로직은 DB 프로시저에 모두 구현합니다... 그래서 테스트 코드 이런건 하나도 없구요... 오류나면 사용자가 직접 건의하고 저희는 그때마다 부분부분 수정합니다. 메인 프로세스는 수정하지도 못해요.... 잘못 건드렸다가 되던것도 안된다고요 건드리지 말라고 합니다ㅠㅠ 그래서 주먹구구식 코드도 정말 많아요. 배포할 때에는 아직도 war 파일로 감싸서 수동으로 올립니다... git이 아닌 svn 사용중이지만 이 부분은 사실 큰 불만 없긴 합니다. 또 sm 조직이기 때문에, ‘서비스 개선 방법 = 외주맡겨 새로운 솔루션 받기’ 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2,3년 선배님들과 제 능력이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물류 프로세스 이해도나 현업 소통 능력은 당연히 차이가 나지만, 기술적으로는.. 비슷한 것 같습니다. 아직 입사 2달차인데 이대로 있으면 물경력으로 발묶여 있을 것 같아 이직을 하려고 합니다. 근데 이직할 때 전 직장에서 무엇을 했는지 당연히 물어볼텐데 지금 회사에서 도저히 it기술적으로 뭘 해낼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제 짧은 견해일 수 있습니다) 물류 도메인 지식은 정말 많이 얻었습니다. 주문, 입출고, 전표처리 등... 개인 프로젝트로 보완을 하겠지만, 중고신입인지라 회사에서 뭘 해냈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어 고민입니다. 대규모 레거시 시스템 마이그레이션 기회가 어디서도 쉽게 해볼 수 없는 기회다 라고 말씀해주시는 선배님이 계시긴합니다. 그런가...? 싶다가도 어차피 회사에서 업체써서 할 건데 내가 얻는게 있나..? 라는 회의적인 생각이 크게 들어요.. 아직 업무경험이 많이 부족한지라, 위 한탄들이 짧은 식견일 수 있습니다.. 이직에 대한 현실적이고 따끔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제가 회사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이직할 때 어떤 방향으로 어필하면 좋을까요? (개인프로젝트,,?)
개발자
#이직고민
#이직
#sm
#네카라쿠배
답변 0
댓글 0
조회 31
4일 전 · 지현 님의 질문 업데이트
이직 준비 시 포트폴리오/이력서에 SI 프로젝트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SI 회사에 재직 중인 신입 개발자입니다. 이직을 준비하며 지금까지 진행한 업무들을 정리해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려고 합니다. 그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1. SI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에 어떻게 녹여서 작성하면 좋을까요? 팀 단위로 기업 의뢰를 받아 개발한 프로젝트들이 대부분인데,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써야 하는지 고민됩니다. 담당한 역할 위주로 써야 할지, 결과물 중심으로 써야 할지도 궁금합니다. 2. 보안이나 이슈가 있는 프로젝트는 어떻게 다뤄야 하나요? 프로젝트 보완 정책 때문에 세부 기능이나 시스템 구조를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요약해서 표현하면 좋을지 알고 싶습니다. 3. 외부 기업의 요청으로 만든 프로젝트도 포트폴리오에 써도 되나요? 예를 들어 관공서, 공공기관, 대기업 시스템 개발에 일부 참여한 경우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요? 4. 신입 때 만들었던 사이드 프로젝트도 계속 포트폴리오에 포함해도 괜찮을까요? 시간이 좀 지나긴 했지만 개인적으로 만든 프로젝트들도 함께 넣는 게 도움이 될지, 아니면 현업 프로젝트 중심으로만 구성하는 게 좋을지도 고민됩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나, 이직을 해보신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신입
#si
#포폴
#이력서
답변 0
댓글 0
조회 37
12일 전 · 신신 님의 질문
일본 it 업계 종사자 분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일본 IT 업계에서 일하고 계신 선배님들께 작게나마 부탁드리고자 글 남깁니다. 현재 저는 IT 관련 전공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이며, 해외 IT 산업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 중입니다. 전공 수업과 연계된 비교적 캐주얼한 조사 프로젝트로, 실제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이에 따라, 일본 IT 기업에서 일하고 계신 분과의 짧은 인터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회사나 구체적인 업무에 대한 민감한 질문은 하지 않으며, 취업 관련 상담이나 기업 내부 정보를 여쭤보는 것이 아니니 부담 없이 응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혹시 가능하시다면 댓글 부탁드릴게요. 작은 인터뷰지만, 학생 입장에서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인터뷰는 7월 중으로 진행될 거 같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발자
#일본
#it현직자
#인터뷰
답변 0
댓글 0
조회 86
15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회사 합격 연락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신입이 되고 싶은 프론트엔드 개빌자입니다. 아직 사회 경험이 없어, 사회 경험 많으신 선배님들께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A회사에서 거진 합격에 가까운 연락을 받았습니다. 정확히는 ' 거의 합격인데, 회사에 일이 있어 당장 합격은 줄 수 없다. 이 이슈가 해결되면 다시 합격 연락을 주겠다. ' 였습니다. 이 당시 통화하며 언제부터 일할 수 있냐 물으셔서 저는 아무 생각 없이 7일이나 9일 쯤이라 답했고, 거기에서도 알겠다 하셨습니다. 그런데 저는 오늘 B회사 지원을 넣었습니다. 여기는 재택이 있어 정말... 가고 싶습니다. 그런데 합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여기 입사 지원은 7일까지입니다. 그래서 저는 둘 다 붙을 시 B, B를 떨어질 시 A를 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A에서는 거의 무조건 갑니다!! 로 받아들이신 것 같아서, 만약 B를 붙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B의 합격 여부를 듣기 전에 A 회사에서 일 시작해라는 연락을 받았을 때 어떤 대답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제 와서 고민해봐도 될까요? 라는 말을 해도 될지도 모르겠고, 이유를 물으셨을 때 다른 회사를 기다리고 있다 말하기도 애매한 것 같습니다. 게다가 이렇게 말했는데 B에서 떨어지면 더 난리 아닌가요... 회사가 작은 회사라 거절할 상황이 되면 최대한 빨리 거절 의사를 밝히고 싶어서...
개발자
#면접
#입사
#입사제안
#입사권유
답변 1
댓글 0
조회 127
22일 전 · Dalton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개발자로 2년 5개월 앞으로 방향은..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저는 백엔드 개발자로 약 2년 넘게 업무를 해오고 있습니다. 급여가 괜찮았던 SI 회사에서 2년을 보냈고, 회사가 막 창업 단계였기에 많은 것을 처음부터 직접 도입하고 백엔드 관련 업무를 스스로 배워가며 일해왔습니다. 그런 환경에서 개발 자체의 재미를 느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회사에는 전반적으로 체계가 부족했습니다. 항상 그런 부족함을 느끼면서도,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급급하다 보니 Git 사용도 엉망이었고, 서버나 DB 관리도 제대로 된 기준 없이 그때그때 처리해왔습니다. 마치 사이드 프로젝트를 무한 반복하는 느낌이었고, 프로젝트마다 마침표를 잘 찍지 못한 채 마무리되곤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회의감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퇴사하게 되었습니다. 퇴사 후에는 자사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나 대기업 위주로 지원했지만 계속 낙방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던 중, 최근에 초기 창업 멤버를 모집한다는 글들을 접하게 되었고 현재 몇 군데와 컨택 중입니다. 동시에 이전 회사에서도 다시 제안이 왔습니다. "이번엔 체계를 갖추고, 외부 자사 서비스도 함께 개발하며 개발자로서 의미 있는 성장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며 잡 오퍼를 다시 주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 회사에서 2년 넘게 일했던 경험이 있고, 정말로 변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있는 게 사실입니다. 혹시 선배님들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더 현명하다고 보시는지 조언을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개발자
#이직
#커리어
답변 3
댓글 3
추천해요 2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923
15일 전 · Jin 님의 새로운 답변
JPA+QueryDSL vs MyBatis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어서 스프링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스프링을 공부하다 보니 DB 연결에 대해서 더 공부하고 싶어져서 두가지 중 한가지를 우선적으로 공부하려 하는데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스프링은 당연히 JPA를 쓰는 줄 알았는데 현업에서는 아직도 MyBatis를 사용하는 곳이 많다고 들어서 어느 것을 선택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한가지만 하고 나머지는 버리는게 아니라 한가지를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제 핵심역량으로 만들고자 하는 바입니다.
투표
개발자
#백엔드
#db
#jpa
#querydsl
#mybatis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11
한 달 전 · 문종호 님의 새로운 답변
4년차입니다. 이런 경우 이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 3년 11개월 입니다. 입사초기에는 java/spring/vue.js 로 웹 개발 진행하다가 이후로 python, django, fast api 등 프로젝트 진행했습니다. 프레임워크도 그저 기본적인 부분만 한 것 같습니다. 간단한 관리자 정도? 근데 회사가 경영악화로 곧 망할 것 같아요. 어쩔 수 없이, 이직 준비하려고 보니 해당 언어/프레임워크로 3년 이상 요건으로 걸려있네요. 이것저것 해본 것도 경험이라 할 순 있겠지만 지금 같은 시장에선 경쟁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 분명 1년 정도 까지는 물경력은 되지 말자고 자기계발하고 그런 생각이었는데 현실과 현재에 안주하고 있던 저를 보니 후회 되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개발자
#이직
#물경력?
#경험
#여러가지
#깊이
답변 1
댓글 0
조회 139
24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답변 업데이트
선배님들.. 할 줄 아는게 없어 걱정이에요
안녕하세요 비전공자 30대 취준생입니다. 다른 직종에서 일을 하다 늦게 개발자가 되고 싶어 비전공자로 국비 과정평가형 풀스택을 수강완료 후 정처산기까지 자격증은 취득하였습니다. 그런데 제가 학원 다닐 때 코드를 따라치는 것 밖에 못하고 수업내용도 다 따라가지 못해 제 수준이 수료는 했지만 취업은 택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핑계라면 핑계이지만 학원 다닐때 제 생각보다 너무 빠르게 진도를 나가시고 질문 했을때 답변도 대충..해주셔서 코드 따라적기에도 시간이 모자랐었습니다. 그리고 주위에서 들었을땐 팀프로젝트를 하고 포트폴리오 등 알려주신다 했지만 강사님이 시간이 없어 하지 못하고 수료했기에 더욱 방향을 잘 못 잡겠습니다. 지금은 학원 다닐 때 받은 책으로 유튜브 강의를 들으며 다시 다 따라해보고 공부 중인데 유튜브만 들었을때 이해가 잘 안가는 것들도 있고 이렇게 공부하는게 맞는지도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학원때부터 지금까지 벌써 1년이 다되어 가는데 할 줄 아는게 없고 너무 막막한 상황인데 취업을 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ㅠㅠ 여러 검색을 해보다 커리어리를 알게되었고 개발자 취업준비생들도 질문을 할 수 있길래 선배님들의 조언과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싶어 질문을 올려봅니다... 현재 JAVA기반 풀스택으로 학원 다녔으며 이제 막 자바웹 JSP 공부중인데 신입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해야할지 프로젝트는 어떻게 해야할지 제일 걱정이에요ㅠ 제가 과연 백엔드 개발자가 될 수 있을까요..? 구글링도 많이 해봤지만 학원 광고들이 대부분이라 혹시 먼저 공부해보신 선배님들이 조언이나 해야할것들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
개발자
#백엔드
#비전공자
답변 5
댓글 0
조회 642
2달 전 · nox 님의 새로운 답변
Jenkins & GitLab 환경을 구축하려 합니다.
운영 서버와 CI/CD 전용 서버를 분리해서 구축하는게 맞는걸까요 ? 저는 1년 미만 웹 개발자이고 회사에 물어볼 사수 동료가 전혀 없어서 여쭤봅니다 Jenkins & GitLab 환경의 선배님들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서버구축
#ci/cd
#java
#linux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답변 1
댓글 0
조회 69
2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소프트웨어학과 편입생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편입 통해서 서울권 소프트웨어학과 3학년으로 입학한 26세 남학생입니다. 편입 전에는 전혀 관련 없는 학과(전문대)를 나와서 코딩이나 관련 지식이 전무한 상황입니다. 학교에서는 보통 자바로 수업을 하고 많이들 자바 기반으로 취업을 하는 것 같습니다. 1학기에는 기초 강의가 파이썬 관련 강의 밖에 없어서 미리 자바의 정석 사놓고 공부 중입니다. 아직 제가 어느 분야에 흥미가 있는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 희망 중인데요. 졸업을 하면 최소 28살이라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취준 및 공부하려고 합니다. 지금 제가 준비하면 좋을 것, 혹은 공부방법, 포트폴리오 등등 선배님들의 추천 및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주변에 현직자분들이 없어 조언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개발자
#대학생
#편입생
답변 1
댓글 0
조회 101
2달 전 · 최예지 님의 새로운 댓글
경력 이직 준비하는데 포폴이 필수일까요?
안녕하세요. 2년 10개월 정도 경력을 쌓고 퇴사 후 이직을 준비 중인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6개월은 첫 회사에서 재직한 뒤 그다음 회사로 이직한 뒤 2년 반을 다니다가 퇴사를 하게 되어 이번이 2번째 이직입니다. 첫 회사에서 이직 준비를 했을 당시에는 신입으로 이직 준비를 했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경력 이직을 준비하게 되면서 뭐부터 준비해야 할지 너무 막막하여 글을 적습니다. 변명같이 들리는 것을 저도 알지만, 회사를 다닐 당시 새벽이고 주말이고 불려나가면서 일했던 터라 따로 개인 프로젝트를 할만한 여유가 없었습니다. 밤샘도 많았고요. 건강이 무너지고 도저히 못버티겠다 싶어 퇴사한 뒤에는 회복에 신경쓰면서 공부에도 손을 놓았더니 공백기는 1년이 넘었는데 따로 포폴로 쓸만한 무언가가 없네요. 깃허브도 아예 관리가 안된지 좀 되었습니다.. 이전 회사에서 주로 맡은 업무는 1. b2c 서비스 api 개발 2. 어드민 백오피스 개발 3. 신규 프로젝트 db 구축 및 설계 여기에 유지보수, 모니터링이나 운영 관련 업무를 주로 했었습니다. 회사에서 맡았던 프로젝트들이 적은 것은 아닌데 갯수만 많고 전부 동일한 성격의 서비스들이라 플랫폼만 다를뿐 사실상 그닥 차이가 없어서 경력기술서에 어떻게 써야할지도 애매합니다.. 경력기술서야 어떻게든 다듬어서 내면 되지만 포트폴리오가 너무 걱정입니다. 퇴사를 앞둔 당시에 기술블로그를 직접 만들어볼까 하고 백/프론트단까지 개발하다가 흐지부지된 것이 하나 있는데요. 너무 만들다말아서 지금 보면 학부생 수준이라 생각되어 입사 지원 시에 제출하기 부끄럽습니다.. 이미 공백기가 1년이 넘은 상황에 제 나이도 30대이고 이제 재취업이 급한 시기라서 일단 포폴 없이 어떻게 경력기술서만 수정해서 지원하고 있는데 멘토링을 받았을 때는 깃허브에 간단하게 crud 되어있는 프로젝트라도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얘기를 들었는데 어디서는 경력직이면 경력기술서가 더 중요하다고 해서 혼란스럽습니다. 지금이라도 포폴용 프로젝트 뭐라도 쌓아서 같이 내는 게 좋을까요? 만들다 말았던 블로그라도 마저 마무리를 해야할지.. 근데 그러면 공백기가 너무 길어지는 것은 아닐까요 스스로 물경력이라고까지 생각하지는 않지만 요새 부트캠프 출신 분들이나 비슷한 연차의 개발자분들을 보면 너무 저만 동떨어져 있는 것 같아 자신감이 많이 떨어집니다. 좋은 곳으로 이직하게 되면 좋겠지만 채용시장은 어려운데 마음은 급하고... 면접을 보러가도 좋은 결과가 없으니 이전 회사보다 열악한 환경이라도 어디든 가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그리고 요새 면접 분위기는 솔직하게 답변하는 것을 많이 바란다던데, 면접장에서 많이 듣기도 했고요. 퇴사 사유와 공백기에 대한 질문 답변으로 건강 얘기를 해도 될지 고민이 됩니다. 괜히 나약하다 생각하게 될까 봐 우려스러워 돌려서 얘기하고는 있는데 공백기에 개인 공부 외에 아무것도 안한 걸로 비치는 것도 별로 좋아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푸념 섞인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들의 거리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이직
#경력
#경력이직
#물경력
답변 1
댓글 1
조회 485
2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선배님들 신입 백엔드 포트폴리오에 대해 짧게만이라도 피드백 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4년제 대학은 졸업하고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백엔드에 대한 분야는 3학년 2학기에 처음 접하였고 공부를 진행하며 관련 프로젝트를 2개(1개 완료, 1개 진행중)를 진행하였습니다. 가장 큰 고민점은 하나의 프로젝트만 강조할 수 있을때 어떤것을 내세우는것이 더 좋을지에 대한 판단이 되지 않습니다. 한 프로젝트는 1년동안 진행하였고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백엔드 팀원은 절 포함하여 2명이 있고 반년동안은 단일한 서비스로 구현, 반년은 서비스 런칭 및 확장을 위해 단일 서비스를 MSA로 재설계 하여 구현하였습니다. 설계에 많은 공을 들였지만 미숙한 부분도 많고, 아직 리팩토링을 진행중이라 코드가 난잡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나머지 하나는 저혼자 백엔드를 담당했고 제 지식의 한계 내에서는 리팩토링을 진행하여 코드가 좀 더 깔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어떠한 피드백도 정말 감사할것 같습니다. 혹시 도움주실 수 있을까요? https://thene.notion.site/1b58113bb5c38054b490daf88cb4a12e?pvs=4 원래는 앞단에 개인정보및 자기소개부분이 있지만 제외하였습니다!
개발자
#포트폴리오
#피드백부탁드립니다:)
#백엔드
#취업
답변 1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62
2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댓글
하이브리드앱 화면 전환 애니메이션 도움 부탁드립니다
nextjs 로 하이브리드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네이티브 쪽은 AOS - kotlin, IOS - swift 입니다. 제가 궁금한 부분은 보통 앱들을 보시면 페이지 이동시, 새로운 페이지가 기존페이지를 덮으면서 슬라이딩 되어 나타나고, 뒤로가기를 하면 다시 현재페이지가 슬라이딩 되어 사라지면서 밑에 있던 이전 페이지가 보이는 형태입니다. 요즘은 하이브리드앱으로 많이 개발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하이브리드앱인데 위의 페이지 전환 효과가 있는 앱들은 보통 어떻게 구현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애니메이션을 구현하려면 네이티브 기능을 꼭 써야 하는걸까요? 써야 한다면 하이브리드앱에서도 가능한 걸까요? 구글과 유튜브 상의 페이지 전환 애니메이션을 적용해봐도 제가 사용하는 앱들만큼의 자연스러움이 없네요. 선배님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next.js
#하이브리드앱
답변 1
댓글 2
조회 75
2달 전 · 박성원 님의 질문
UI/UX 디자이너 전망, 취업 등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ui/ux디자인에 관심이 생겨서 알아보고 싶었는데 자료가 잘 없어서 질문을 드리고 싶어 질문 드립니다. 저는 20대 비전공자이고 제조업에서 일을 하다가 도저히 안맞아서 그만두고 일을 찾고 있는 중에 평소에 디자인 쪽에 관심이 있었고 그와 동시에 it에 관심이 생겨서 처음에는 개발자로 생각을 하다가 코딩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고민을 하는 중 UI/UX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현역으로 일하시는 선배님들께서 제 글을 보시면 좋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1. UI/UX디자이너에 취업하기 위해서 부트캠프를 알아보고 있는데 학벌이나 자격증 같은 스펙도 보는지 궁금하고 취업하기 위해선 포트폴리오 이외에 어떤 것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2. UI/UX디자이너가 해외취업으로도 갈 수 있는거 같은데 실제로 미국이나 캐나다 같은 영어권 국가로도 취업을 많이 하는지 궁금합니다 많이 된다면 영어 이외에 어떤 것을 준비 하는지 궁금합니다. 3. 현역으로 일하시는 UI/UX디자이너 선배님들께선 이 일을 선택한 이유? 계기가 무엇이었는지 궁금하고 나중에 50~60넘어서도 일을 할 수 있는 직업인지 아니면 그 나이대가 되면 어떤 일을 보통 하는지 궁금합니다.
디자이너
#취업
#ui/ux
#추천
#figma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2
3달 전 · 멍뭉미 님의 질문 업데이트
(iOS)앱개발자 웹개발자로 전향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iOS 앱개발자로 곧 3년을 채우게되는 직장인 입니다. 회사에서 잠시 react(웹)을 쓸일이 있어서 공부하게 되었는데 흥미가 가고 재미가 있어서 전향을 고민 중입니다. 나이는 95년생 입니다. 때마침 회사에서 권고 얘기도 나온 상태라.. 퇴사를 해야하는 상태입니다. 질문을 정리를 하면 1. 웹(react)시장이 앱시장보다 더 넓은것으로 알고 있어서 미래적으로 좀 더 안정적임을 추구하기 위해 iOS가 아닌 웹시장에 빠져보고 싶은데 어떤 의견일지? 2. iOS앱을 했던 경험이 있어 React Native로도 생각해봤지만 취업시장이 현재 저조하다고 판단되어 react를 우선 집중하려고 하는데 동의 하실지? 3. 웹 경험이 전무하여 부트 캠프 또는 국비를 다니면서 포트폴리오를 준비를 해볼까하는데 의견이 어떠실지? 4. 웹으로 간다하면 iOS개발 경력이 어느정도 인정이 될지? 위와같이 질문을 정리하였는데 선배님들 또는 저와 비슷한 경력을 가진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개발자-전향
#웹개발자
#ios개발자
#앱개발자
#react
답변 0
댓글 0
조회 110
3달 전 · 문승환 님의 질문
컴공과 ai기술영업 취준으로 스타트업vs부트캠프 어떤게 더 나을까요?
저는 부산의 지방대 컴공과고 이제 곧 졸업해서 개발보다는 영업직이 잘 맞다고 생각해서 it기술영업직무를 희망중인데 영업은 보통 경력직을 채용하더라구요. Ai 산업으로 취업을 하고 싶은데 부산쪽은 거의 회사가 없어서 스펙을 좀 더 쌓고 중견이나 대기업으로 이직하고 싶은데 kt에이블스쿨에서 하는 ai개발자 전형과 ai관련 중소나 스타트업 취업 중 어떤게 커리어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까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스타트업
#부트캠프
#취준고민
#진로
답변 0
댓글 0
조회 62
3달 전 · 박정환 님의 새로운 답변
공공 SI 폐쇄망 환경에서의 개발, 어떻게 버텨야 할까요?
현재 공공 SI 업체에서 근무한 지 1년 2개월 된 개발자입니다. 최근 고도화 사업이 끝난 후 해당 프로젝트의 유지보수 담당자로 파견을 나왔는데, 문제는 폐쇄망 환경이라 인터넷이 전혀 안 된다는 점입니다. 테더링을 사용해서 간신히 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속도도 느리고 제약이 많아 정신이 나갈 것 같습니다. 게다가 출퇴근 시간이 왕복 2시간 이상 증가하면서 체력적으로도 많이 지치는 상황입니다. 로깅도 제한적이고, 인터넷 검색이 어려워 사소한 문제도 해결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다 보니 업무 효율이 너무 떨어지는데요. 이런 환경에서 근무해 보신 선배님들은 어떻게 이겨내셨나요? 이 상황을 버티면서 얻을 수 있는 경험이 있을까요, 아니면 지금이라도 퇴사를 고민하는 게 맞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퇴사
#이직
답변 1
댓글 0
조회 153
3달 전 · 전기정 님의 새로운 댓글
대학졸업후 개발자 진로 고민 질문드립니다!
국숭세단 대학 라인의 소프트웨어 학부 예비 졸업생입니다. 학점은 3.8/4.5 (전공은 4.1/4.5) 프로젝트 경험은 졸업프로젝트(AI를 이용한 뷰티 서비스) 밖에 없습니다. 컴퓨터 학부에 진학하게 된 계기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하는 것이 재미있어서(문제 해결력) 여러 프로그래밍 대회, 국내 올림피아드 수상 경력으로 대학에 진학하게 되었는데, 취업 시장은 이것 하나로 안되는 것이 뻔히 보입니다. 해봤자 코딩테스트 정도?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기 보다는 장점? 이라고 생각되는 문제 해결력을 쓰는 직군을 생각 해 봤는데, 1. 백엔드 코어 개발자 2. 데이터 분석 3. AI (향후 미래 직군) 정도 입니다. 괜찮다고 생각되면 혼자 준비하기 보다는 대학원도 생각중입니다. 여러 팩트 공격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개발자
#취준
#개발자
#신입
#sw
답변 1
댓글 1
조회 110
3달 전 · 박인수 님의 질문
컴퓨터공학과 vs 전자공학과 (편입 과 선택)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중앙대 소프트웨어학부 경희대 전자공학과 위 3개 대학에 편입 합격한 학생입니다. 다만 현재 27살 군필이고, 나이가 많은 29에 학부를 졸업하는게 -요소인것 같습니다. 전적대는 컴공이긴 합니다만, 들은 전공 과목이 6~7과목 정도밖에 되지않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c,파이썬 정도 할줄 아는정도입니다. 백준 실버 문제도 너무 어렵게 느껴지는 수준입니다.(코딩을 한달이라도 마음잡고 공부한적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토익은 970점으로 영어는 잘하는편이고.. 수학은 나름 좋아해서 대학수학도 공업수학까진 할줄 아는 상태입니다. 다만 고등학교때부터 물리를 아예 놨어서 전자공학과에 필요한 물리 지식이 아예 없는 상태입니다. 코딩이 재밌거나 재능이 있고 그런건 전혀 아니여서.. 컴공을 전공한다면 코테를 준비해서 금융권쪽 개발직군을 목표로 할것같고 전자공학과를 간다면 반도체쪽이나 현기차같은 대기업을 목표로 할것 같습니다. 전자공학과가 반도체, 통신, 소프트웨어 등 진로가 더 넓은건 인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나이가 적지도 않고, 2년동안 전공 과목 위주로 열심히 들어서 졸업을 해야되는 상황입니다. 다음주까지 편입할 대학을 정해야되는 상황인데.. 취업을 좋은데 하고싶은 생각뿐이지 전공공부나 대외활동 경험도 아예 없어서인지 하고싶은건 딱히 없고 그래서 막막한 상황입니다. 졸업하신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싶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대학과 전공을 선택해야될까요?
개발자
#편입
#개발자
#컴공
#전자공학
#고민
답변 0
댓글 0
조회 92
3달 전 · 박종찬 님의 댓글 업데이트
비전공자 프론트엔드 신입 취업 조언 부탁드립니다..
28살 비전공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도약 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 23년에 대학교 졸업 후 공간디자인 전공을 살려 인테리어 회사에 입사하여 인테리어 디자인&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누군가가 사용하고 거주할 공간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고 인간중심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 과정 자체가 재밌고 흥미로웠습니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을 사용자가 보고 기뻐하고 실제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실무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인테리어라는 직업의 한계를 느끼기도 했습니다. 현실의 물리적인 제약으로 생각했던 설계가 불가능하기도 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했지만 실현이 불가능하기도 했습니다. 무엇보다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크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던 때에 같은 과 친구를 통해 '부트캠프' 라는 것을 알게되었고, 공간디자인을 전공하면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던 '개발'이라는 분야에 대해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 나이가 더 들기 전에, 더 시간이 늦기 전에 접어뒀던 꿈을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다니던 회사를 퇴사함과 동시에 국비지원 프로그램에 지원해 교육원을 다니며 5개월 가량의 수업을 들으며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키워갔습니다. 교육원의 커리큘럼은 풀스택 과정이였지만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이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어 있다는 부분이 제 이전 전공 경험과 실무 경험을 살릴 수 있다는 생각과 동시에 제 성격과 잘 맞을 것 같아 프론트엔드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HTML, CSS, Javascript, jquery, 리액트 배우고 팀 프로젝트에서 MySQL 과 MariaDB 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제작하였습니다. 지금은 개인 포트폴리오인 랜딩페이지와 이력서를 작성해 1월 한달동안 공고를 찾아보며 지원하고 있는데 열람은 되지만 연락이 거의 오지 않는 상태여서 나에게서 어떤 부분을 개선하고 어떤 부분에 더 노력을 쏟으면 좋을지 고민이 정말 많이 되고 선택지도 정말 많고,,조금 답답한 심정입니다. 얼른 실무에 뛰어들어 실무역량을 키우고 싶습니다.. 지금도 늦었다는 생각이 자꾸만 듭니다.. 선배님들께 피드백을 받고싶어 질문 드립니다. 아래에는 랜딩페이지 링크입니다. 현실적인 팩트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https://jonggu-portfolio.vercel.app/
개발자
#프론트엔드
#비전공
#취업
답변 2
댓글 2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65
3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시스템 폰트 사이즈에 의한 RN 어플 레이아웃 변경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처음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웹으로 할 때는 극적으로 작게 줄인 브라우저 창 및 극적인 스케일링을 반응형으로 적절히 조절했었는데 스마트폰이라는 환경상 너무 작은 디스플레이에 많은 정보가 존재하고 시력이 약한 노년층의 경우 스마트폰 자체의 폰트사이즈가 커서 레이아웃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폰트 사이즈를 계산해서 레이아웃을 변경한다는 엄청나게 복잡한 생각을 하다가 스마트폰의 폰트 사이즈를 따르지 않게 고정하고 앱을 처음으로 실행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 사이즈 선택에 맞춰 레이아웃을 설정시키는 초기 세팅 모달을 띄우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방향으로 굳어지는 중입니다. 혹시 선배님들은 작은 디스플레이에서의 사용자의 폰트 사이즈 설정에 따른 레이아웃 조절을 어떻게 구현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두서없는 질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reactnative
#android
#app
#app-dev
#layout
답변 0
댓글 0
조회 29
4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전문대졸 27살 방향을 어떻게 잡아야할지 질문 드립니다
26살 곧 27살 미래에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한번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 니다 안녕하세요 다들 고민 한 번만 들어봐 주시고 방향을 어떻게 잡으면 좋을지 한 번만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26살 지방 전문대 3년제 졸업 예정입니다. 2년 휴학해서 1년 돈 벌고 1년 다른공부해서 남들보다 현재 조금 늦습니다 지금 지식수준은 학부 때 배우면서 조금 쓴 자바, 인턴 4개월 때 사용한 C#, Spring은 얕게 아는 정도입니다 자격증은 컴퓨터 활용 2급, SQLD,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있습니다 3학년 2학기 때 중견기업 SI 회사에 인턴 생활해서 프로젝트 투입되어서 평가도 괜찮게 받으며 진행했습니다. 지금은 중간평가, 종합 평가 완료하고 정규직 전환 여부 결정 기다리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제 고민이 저희 대학교에서 울산대, 동아대, 대구대 이쪽으로 전적 대학 학점 평균만 보고 합격만 하면 바로 내년 3월 에 3학년으로 입학할 수 있는 연계편입 제도가 있습니다 평소에 학력 3년제 초대졸 콤플렉스도 있었고 더 깊게 공부하고 싶은 생각도 있고 대학원도 생각 있긴 합니다 근데 제가 학점이 3.9인데 될지 안 될지는 걱정되긴 합니다. 연계 편입해서 대학교를 2년 더 다녀서 29살 2월에 졸업해서 4년제 학사를 딸지 아니면 현재 회사에서 정규직 전환이 된다면 초대졸로 그냥 회사에 다니면서 경력을 쌓을지 만약 전환이 안 된다면 중소 SI 회사에라도 지원서를 넣어서 갈지 이중 어떤 선택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고 나중에 후회가 없을지 고민입니다. 제가 가장 끌리는 건 연계편입이긴 합니다. 그래도 선배님들 또래분들 의견이 너무 궁금합니다. 본인들이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지 나이도 조금 먹은 거 같고 근데 여기 커뮤니티에서 많은 글들을 봤는데 앞자리 2일 때 뭐든 해라 20대면 늦은 나이 아니라는 얘기를 많이 보긴 했는데 혼자 생각이 너무 많고 지금 선택이 평생을 좌지우지할 거 같아서 한번 답답하기도 해서 글 한번 써봅니다. 제가 글솜씨가 좋 지 않아서 엉망일 텐데 한 번만 읽어주시고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전문대
#초대졸
#개발자
#질문
#편입
답변 1
댓글 0
조회 201
4달 전 · 박정환 님의 새로운 댓글
스프링부트 로컬 환경에서는 되지만, 배포 환경에서 404 에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스프링부트 API 서버를 개발하고 배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로컬 환경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배포 환경에서 특정 POST 요청에서 404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해당 요청은 JSON을 반환하는 컨트롤러입니다. 서핑을 하던 중, Spring Security의 CSRF의 문제일 수도 있다고 하던데 저는 현재 Security를 사용하지도 않고 다른 POST 요청은 잘 응답하여 뭐가 원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는 application.yaml과 Controller 코드입니다. 감사합니다. // application.yaml spring: application: name: tika servlet: multipart: max-file-size: 50MB max-request-size: 50MB
개발자
#스프링
#자바
답변 1
댓글 2
조회 74
4달 전 · 이진호 님의 새로운 댓글
1년차 이직 준비 관련 고민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금융관련 스타트업 회사에서 1년 남짓 근무한 병아리 개발자입니다! 현 회사에 백엔드 개발자 타이틀을 달고 들어왔지만 어쩌다 보니 프론트엔드도 다루면서 사실상 풀스택(?) 개발자로서 일하고 있고 여러가지 사정으로 9-10개월정도 후에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회사 입사후 바쁜 업무핑계로 자기계발에 전혀 쏟지 못했었는데, 두세달 전부터 각오를 다지고 나름의 계획을 짜며 커리어 개발에 노력을 조금씩 해보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이직을 생각하다보니 입사후 초라해진 이력서와 녹슨 코딩테스트 실력 등등에 마음이 조급하고 혼란스러워 제 상황을 설명드리고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현재 진행중인 저의 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KA 공부 사실 회사 들어오기 전까지는 쿠버네티스가 뭔지도 모르는 생초짜 학생이었습니다… 아무래도 회사 규모가 작다보니 버그가 생겼을때 주변의 도움없이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고 애플리케이션 코드 밖에서 발생하는 이슈들에 대응하며 무력감을 많이 느껴 운영/인프라쪽 공부를 조금 해보자 란 마음에서 시작한 노력입니다… 주니어 레벨에서 시간투차할 이유가 크게 없다고 조언해주신 분들도 종종 계셨지만…시작한 이상 꾸준히 해서 4월, 늦어도 5월 안에는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원래도 그렇게 자신있는 종목이 아니었는데 1년동안 많이 까먹어서.. 틈틈히 풀면서 공부중이고 백준 기준 골드 초급문제 까지는 고민 많이 하면 풀 수 있는 수준 정도입니다 그리고 제가 염두에 둔 계획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새로운 프레임워크 배우기 저희 회사에서 제가 다루고 있는 프로젝트들은 전부 NodeJS 기반 (Next JS, Nest JS) 에서 이루어져 왔습니다. 학교다닐때야 언어라도 이것저것 간단히 다뤄봤지만 사실상 지금 제대로 다룰줄 아는 백엔드 개발 프레임워크는 Nest JS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근데 아무래도 한국에서는 Node 개발자의 풀이 그다지 넓지 않다보니 성공적인 이직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익혀볼까 하는 고민이 됩니다. 그래서, 만약 배운다면 어떤 프레임워크를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Spring + Java, Python + Django 를 후보로 생각중입니다. 조금 부연설명을 하자면 Java는 학교에서 초급레벨 수업들으며 2학기정도만 해봤고 Python 같은경우는 언어 자체는 익숙하긴 하지만 AI, 알고리즘 등 외에 제품 개발에 사용해본 경험은 전무합니다. 또한 저는 현재 병역특례로 근무중인 상황이라 이직을 하더라도 스타트업/중견 업체를 겨냥해야 합니다. 2. 프로젝트 제가 원래도 컴공 전공자가 아니다보니 깃헙/포폴들이 전부 통계나 AI 관련이고 개발 관련해서는 좀 약한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대단하신 분들의 이력서를 구경하다 보니 제 포트폴리오를 조금 보강해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또 조금 더 욕심을 부리자면 위의 1번 질문에서 조금 더 나아가서 새로 익힌 프레임워크에 대한 숙련도를 증명하는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하나 시작하는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쓰고나서보니 상황설명에 하소연만 실컷 하는 글이네요…ㅋㅋ 아무래도 주변에 조언을 구할 분들이 적다보니 이래저래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제가 계획하고 있는 노력의 방향성이 바람직한지. 좀더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면 어떤 방식이 좋을지, 별도로 지적해주실 내용이 있는지 (ex.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독학하기보다 지금 가지고있는 기술스택으로 더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해라). 선배님들의 귀중한 의견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준비
#프로젝트
#이직
#기술스택-변경
#커리어
답변 1
댓글 1
조회 170
4달 전 · 이 승은 님의 새로운 댓글
컴공과 2학년, 조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컴공과 2학년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수도권 학교도 아니라서 학교끼리 뭉칠 수 있는 동아리가 전혀 없었고 몇개 알아보나 해커톤을 알게되어서 나가본 이후로 동기부여가 되어서 개발자나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학교에서는 아직 파이썬, C밖에 배우지 않은 상태이고 교육과정을 보았을때 빠르게 스펙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초조해지더라구요. 꿀팁이나 조언같은게 필요합니다ㅠㅠ 혼자 프로젝트를 할때는 무엇부터 공부해보는것이 제일 좋은지, 그리고 언어 관련 공부에 대해서도 조언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말듣고 무턱대고 백준과같은 문제들을 풀었다가 어떻게 짜야할지부터 막혀서 쩔쩔맸었는데 이건 언어를 다시 공부해야하는 걸까요..?
개발자
#공부방향
#대학생-공부고민
#대학생
#컴공새내기개발자분들께조언을구해요
#컴공과
답변 1
댓글 6
조회 108
4달 전 · 정현호 님의 새로운 댓글
부트캠프에 들어가야 할 지 고민입니다.
이번에 부트캠프에 지원했는데, 코딩테스트도 없고, 수료생 중에 취업률은 30%에 연봉이 3,000만원이였습니다. 금전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해당 부트캠프에 들어가서 6개월을 낭비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입니다. 먼저, 제가 부트캠프에 들어가려는 이유 중 첫번째는 현업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을 정도로 배우고 싶습니다. 두번째로는 포트폴리오에 그렇다 할 프로젝트가 없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부트캠프를 통해서 채우고 싶습니다. 혹시 선배님들은 이러한 취업준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부트캠프
답변 2
댓글 4
조회 146
11일 전 · 엉뚱한밀크언니 님의 새로운 답변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최경호 라고 하며, 현재 울산에서 MRO소모성 자재(건설업) 납품업체 에서 건축자재 및 공구 또, 산업.안전용품 의 유통회사 에서 배송납품 기사 로 일하는 40대 남성 입니다. 건설업 MRO 라는 키워드 로 검색을 하게되었고, 정확한 내용은 아래 링크 를 보시면 더 자세하실 겁니다. https://blog.naver.com/mmoonhs91hy/221934607016생활안전시장_안전용품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현재 일하고 있는 회사는 울산지역 에서 S-oil 이나 금호석유화학, SK에너지 등의 회사의 협력업체들 에게 공구 및 작업복 흔히 말하는 산업.안전용품 기타 관련용품들 을 배송.납품 하는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제가 문의글을 올리게 된 이유는, 울산의 공구상가 에서 (사업자 를 가진 회사에게 도매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개인고객 에게는 소매가격으로 판매를 하는) 업장을 방문해서 물건을 구입후 에 배송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 카테고리 가 있다보니. 품목에 따라 다른 업체들을 방문하여 물건구입 후 배송을 하는데, 저희 회사자체 의 창고에서 물건을 찾아서 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원체 많은 품목들이 있고, 판매를 될지 안될지 모르는 제품들이기에 창고에 미리 갖추고 있을 여유는 없습니다.) 또한 KEP(코리아이플랫폼) 라는 MRO회사의 네트워크 에 가입이 되어있고-실제 배송.납품건이 많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크레텍 책임&웰딩 이라는 대구에 본사를 둔 회사에서 공구 관련 품목을 납품 받고, 기타 타지역에서 화물로 물건을 받아 그때그때 주문에 맞추어서 발주를 하고 물건을 받아,판매하고 있습니다. KEP 나 서브원 같은 대기업 에서 운영하는 MRO업체들 에게서 물건을 납픔받아 재판매를 하는 식 입니다. 구비하고 있는 기계? 를 일정기간 임대 하고 비용을 받는 부분도 있는것 같습니다. 제가 대표님 에게 듣기로는, 울산 이라는 지역에서 같은 업을 하는 경쟁사 가 약250여개 가 된다고 합니다. 아주 오래된...지금 의 7~80대 어르신 들이 예전에 하던 유통방식 에서 달라진것이 없는 상황 입니다. (물론 연합을 해서 이 물건은 이 가격에 팔자! 라는 방식은 잘 모르겠으나, 공구상가 주변에 모여들어 사업자가 있는 사람에게는 도매가로 판매하고 개인에게는 소매가 로 판매를 하는..) 또한, 건설 프로젝트 를 대기업에서 입찰을 해서 공사를 시작하게 되면 그 협력업체 사람들과의 인맥 과 또 그를 통한 다른 인맥을 만들며 공사에 참여하여 자재를 납품 합니다.. 인맥이 없으면, 장사를 못한다! 라는 그런 이야기 도 들은것 같습니다. 이런 현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이 대부분 이다보니, 정부에서 기관을 만들어 지원해 주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이 마케팅 과 온라인 유통 에 관련된 교육들이고, 사업자 가 있어야 참여를 할수가 있더군요.. 온라인 유통에 대해 아는것이 없습니다.. 전문성 을 어필하기 위해 홈페이지 에서 구독서비스 를 만들고 공구나 기타자재 들도 풀필먼트 라는 물류시스템을 빨리 갖추어야 한다! 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만... 홈페이지 에서 클릭해서 장바구니 담고 택배로 물건 보내준다.. 건축자재 들이 원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다보니, 그게 가능한가? 이런 수준의 생각밖에는 못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용품 를 유통하는 회사로써, 유통업,서비스업 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이 업계에서 저희 회사의 포지셔닝 부터 찾아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포지셔닝 을 찾은후에 다른 경쟁사 와 다른 저희 회사만의 KSF(Key success factor) 를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짧은 생각으로는, 서비스업 의 특징은 , 고객이 이미 가지고 있는 기대치 를 넘어서는 무언가를 제공해 줄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정확하고 빠른 배송 과 친절함? 이런 부분은 누구나 다 생각하고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유통업 에서 포지셔닝 을 찾기위해 어떤 부분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저희만의 KSF를 가지기 위해 무엇을 할수있는지? 이 부분에 대해 여쭙고자 합니다. 저는 타 경쟁사 와 다른 저희만의 독점성 을 가지기 위해 개인적으로 해외소싱,구매 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에서 산업,안전용품 은 보급품 이라는 이미지 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있으며, 품질적인 부분은 아직 국제사회에서 경쟁을 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편안함 과 안전 이라는 부분이 가장 우선시 되기에. 타업계에 비해 품목의 트렌드 에 영향을 많이 받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소기업 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해. 이미 많은 대기업들이 MRO를 하기에, 해외소싱 이 저희만의 KSF가 되어줄수 있을지에 대해서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에 유통이 되지않는, 그런 품목이 필요하다고 생각만 하고있습니다. 많은 전문가 분들은 산업,안전용품 과 공구 등은 해외소싱 및 구매를 할 만한 아이템이 이젠 거의없고 또 아이템 마다 너무다른 방식들이 많아서 그다지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소모성자재 이니 만큼 건설업 만이 아닌. 자동차 ,조선업 ,입찰,항공 또한 조달..등의 이야기 와 온라인 유통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갖추라고 이야기 하십니다. 제가 얻은 답변 중 회사의 일원으로써 갖추어야 하는 능력은.. AI UI/UX 설계 데이터 분석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어떤 커리큘럼 을 가지고 따라갈수 있을지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현재 많은 지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 아닌지라, 어리석은 우문 만 드리게 되었습니다만, 여기 계신 분들의 고견을 부탁 드려도 될런지요?
PM/PO/기획자
#mro
#소모성자재
#납품업
답변 1
댓글 0
조회 90
4달 전 · 구운감자 님의 답변 업데이트
금융 it 쪽에 관심이 생겼는데, 프론트엔드 공부만 해와서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올 2월에 수료하고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하는 취준생입니다. 제가 가진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력 : 서성한 컴퓨터공학 전공 학점 : 4.17, 전공 성적 다 A 경력 및 교육 : 스타트업 프론트엔드 개발 4개월,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수료, 자격증 없음 그리고 이번에 우아한테크코스 프론트 과정에도 합격하게 됐는데요. 아마 우테코와 취준을 병행할 거 같습니다. 문제는 아직 제가 서비스 기업에 가고 싶은지, 대기업에 가고싶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다 최근에 금융 it 쪽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특히 코스콤에 관심이 생겼는데요. 그런데 제가 해온 공부가 전부 웹 프론트엔드 쪽이라.. 증권이나 금융it 신입 채용시 이러한 경력을 선호하지 않을 거 같아 걱정이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추가적으로 데이터 분석이나 백엔드 프로젝트 경험을 쌓기에는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현업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선배님들께서는 정통 대기업, 금융 it, 빅테크 기업 중 어떤 곳을 선택할지 어떻게 선택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요즘따라 제가 저라는 사람 자체를 잘 모르는 거 같아 이러한 선택에도 어려움을 겪는 거 같아 속상합니다..ㅎㅎ 참고로 이제 20대 후반인 여자입니다. 문과에서 전공을 늦게 변경해서 졸업이 늦어져서 올해는 꼭 취업을 하고 싶습니다.
개발자
#금융it
#금융공기업
#코스콤
답변 1
댓글 0
조회 501
4달 전 · 고유 님의 질문 업데이트
경력입사 진급 누락 차별일까요
안녕하세요. IT 경력 22개월차 된 주니어입니다. 연봉 욕심내지 않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찾아서 지금 회사로 이직했습니다. 대체적으로 만족하면서 다니던 찰나에 차별을 당했나 싶어 마음이 상해버렸네요. 현직자 선배님들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따끔한 충고도, 따뜻한 위로도 다 감사드립니다. 지금 회사는 경력 2년이 차면 자동으로 대리 진급되는 시스템입니다. 2023년 2월 입사자까지는 2025년 상반기에 승진할 거라고 들었습니다. 저는 경력 입사라 하반기에 승진할 거라고 서운해하지 말라고 상사에게 들었습니다. 알겠다 하고 보니, 기존 입사자 중 2023년 3월 이후 입사했고 저랑 경력이 일주일 차이밖에 안 나는 사람이 있더군요. 그래서 그분이랑 저는 하반기겠구나 싶었는데 상반기 승진 목록에 그분이 있었습니다. 이걸 보니 화가 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냥 어쩔 수 없다 생각하고 받아들이고 넘어가야 하는 일일까요? 아무 말 없었으면 모르겠는데.. 마음이 상하네요.
개발자
#승진
#이직
#차별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44
5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대기업SI와 서비스 기업
안녕하세요 현재 2개의 회사에서 최종합격을 한 상태인데 두 회사의 장단점이 명확하여 어떤 선택이 좋을까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써봅니다 1. 제조 대기업 SI 연봉 : 5천 중반 워라밸 좋음 SM 업무를 주로 할 예정, 그룹사 시스템 개발 업무 레거시가 많고 쿼리에 비지니스 로직이 담긴 프로젝트가 많음 2. 시리즈 B 이상 서비스 기업(200인 이상 규모) 연봉 : 4천 중반 워라밸은 잘 모르겠음 백엔드 개발 업무 진행 예정, 코드리뷰/사내스터디와 같은 개발 문화 존재 꾸준한 트래픽과 성장하는 기업 서비스 운영 중(매출액으로는 000억대) 영끌 연봉으로는 1번 기업이 훨씬 높을 것으 로 예상 됩니다. 이전에 스타트업에서 근무를 했었기에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취준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IT 대기업에서 근무를 해보고 싶습니다. 선배님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까요...?
개발자
#스타트업
#대기업
#백엔드
#신입
답변 0
댓글 0
조회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