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al'과 'Objective'는 무엇이 다른가요?
Brunch Story
조직의 구성원이라면 모두 목표, 성과, 평가라는 곳에서 자유감을 느끼는 분은 거의 없을 겁니다.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는 "목표"라는 단어로 해석되는 'Goal'과 'Objective'는 무엇이 다르고 어떤 의미를 갖고 있기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해 보았습니다.
저 역시 제대로 된 개념을 몰라 마구 혼재하면서 사용했던 것들을 이번 기회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Goal을 목표로 Objective를 목적으로 번역/해석하거나 이해하기 전에 먼저 Goal과 Objective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Goal은 비즈니스에서 원하는 것과 관련된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큰 틀의 아이디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Objective는 단기적이고 측정 가능한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여러 개의 Objective를 달성함으로 Goal에 도달할 수 있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 Goal과 Objective는 레고 상품과 같다.
Objective는 크고 포괄적인 Goal을 관리 가능한 작은 단위로 나누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 성취하도록 도와줍니다. 큰 목표인 Goal에만 집중하다 보면 그 달성방법이 안 보일 때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작은 단위의 Objective로 나누어 구성원들이 그것이 합쳐진 큰 그림과 자신이 담당해야 하는 작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레고는 여러 개의 작은 컴포넌트로 이루어져 있지만, 각각의 상품 패키지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작은 컴포넌트들이 모여 그 Objective를 달성할 때 레고의 완성품 Goal이 이루어집니다.
2. Objective는 측정 가능해야 한다.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에서도 강조하 듯 Objective는 측정이 불가능하다면 그것은 진정한 목표가 될 수 없습니다. 이 측정 가능 유무가 Goal과 Objective를 구분하는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 6개월 이내에 특정 태스크의 소요 기간을 15% 줄이는 것이 측정 가능한 Objective일 수 있습니다. 이 측정 가능한 Objective는 프로세스를 효율화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개선한다는 포괄적인 Goal을 성취하게 도와줍니다.
구체적인 Goal과 Objective가 필요
Goal이 구체적이어야 그보다 더 구체적인 Objective를 세울 수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죠.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목표가 구체적이 아닌데 어떻게 상세 목표가 구체적일 수 있을까요.
그것을 위해서 “왜”라는 중요한 요소가 있어야 합니다. PM이 프로덕트를 고민할 때의 출발점과 일치합니다. 여기서 '왜'라는 요소는 목표의 근본적인 목적이나 동기를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목표를 추구하는 이유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며 목표에 대한 명확성, 동기 부여 및 의미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가 근본적인 "왜"를 이해하지 못하면 절대 그것을 어떻게 무엇을 제대로 성취할 수 없는 이유가 됩니다.
Objective는 Goal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하나의 디딤돌이므로 더욱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Objective가 구체적일수록 경로를 인식하고 Goal을 달성하기 더 쉬워집니다. Objective를 구체화한다는 것은 또한 적시에 그것을 완수할 수 있도록 시간제한을 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글을 참고해 주십시오. 여러분들도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하다 보면 좀 더 체계적인 목표관리를 하시는데 약간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 희망해 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일 오후 10:33
두 단어의 차이가 궁금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아보진 않았었는데 덕분에 명확하게 인지하게되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