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이 돌고래를 춤추게 만들 수 없는 이유 | flex 공식 블로그
Flex
<사람을 변하게 하는 피드백은 지지적 피드백이다> 조직, 성과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회사에서 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피드백' 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만큼 '좋은 피드백'을 활용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사람을 움직이는 힘> 저자 리처드 윌리엄스는 피드백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1️⃣ 무의미한 피드백 흔히 말하는 '영혼 없는 피드백' 입니다. 구체적인 다음 행동을 제시하지 못하고, 애매한 칭찬만 남는 피드백입니다. 알맹이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합니다. 2️⃣ 교정적 피드백 '이번에 제출한 기획안에 바로 아이디어부터 시작하니 "왜 이 기획이 필요하지"에 대한 공감이 잘 안되는 것 같아요. 인트로에 기획의 필요성을 부각하는 자료를 붙이는 게 어떨까요? 그러면 기획 설득력이 높아지니까요. 예전에 좋았던 예시를 보내드릴게요. 잘못된 상황을 올바른 방향으로 바꾸는 피드백입니다. 교정적 피드백의 핵심은 상대방의 행동(Behavior)에 포커스를 둬야 한다는 것입니다. 3️⃣지지적 피드백 원하는 행동을 했을 때, 그 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주는 피드백입니다. 상대방의 행동과 결과, 느낀 점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왜 그렇게 느꼈는지 칭찬을 합니다. 1) 특정 행동을 설명 - 2) 행동의 결과를 설명 - 3) 행동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설명 - 4) 왜 그렇게 느꼈는지 설명 이는 구글에서 사용하는 피드백 모델 SBI (상황 - 행동- 영향)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사실에 기반한 행동을 설명하고 지시가 아닌 느낀 점을 전달하는 점이 공통점입니다. 4️⃣학대적 피드백 "나는 좀 별로인데? 이해가 안가요." , "글에 논리가 없던데요?", "이런 식으로 어떻게 회사에 들어왔어요.?" 앞의 세 가지 피드백을 제외한 다른 피드백입니다. 구체적인 상황, 이유, 배경도 없이 마구잡이로 자신의 감정을 던지는 것이죠. 보통 학대적 피드백을 하는 사람은 자신은 '교정적' 혹은 '지지적' 피드백을 했다고 착각합니다. (제발 꺼져줘...) 🌈지지적 피드백은 이 중 '변화'를 위해 최적화된 피드백입니다. 상대방이 스스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심리적 안전감을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 칭찬이 아니라 상대방의 행동이 '왜' 좋았는지 명확히 짚어주기 때문에 앞으로도 같은 행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체적인 지시는 갈등와 긴장을 조성하는 반면 지지 피드백은 갈등을 해소하면서 탁월한 성과를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주 합시다. 지지적 피드백!
2021년 11월 25일 오후 5:26
소개 감사합니다:) 이 책 낼 새벽에 도착하는 걸로 바로 주문했어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