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요즘 역사? 책을 재미있게 읽고 있는데요,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는 현대 결제시스템에 대해서 쉬운 언어로 설명해주는 책입니다.

1. 최초의 신용카드는 일시불만 가능하고, 매달말에 모든 결제액을 갚아야하는 charge 카드였습니다. 진정한 신용카드는 뱅크오브아메리카(이해 BOA)와 이후 마스터카드가 된 ‘은행간 카드협회‘가 아래의 세 가지 구조 변경을 통해 신용 카드를 결제 시장의 완전한 ‘대세‘로 만들어 버렸다고 합니다.


2. 첫째, BOA는 1950년대 말에 할부 결제가 허용되는 진정한 ‘신용‘카드를 도입했다. 이런 방식의 신용카드가 있으면 그달 말에 사용 금액 전부를 상환할 돈이 없는 고객들도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가맹점들은 당연히 새로운 신용카드를 열렬히 환영했다.


3. 둘째, 1960년대 말 BOA는 캘리포니아주 외의 지역에서의 카드 발급에 장애물이 되던 ‘주간 은행업무 금지’ 규제를 교묘히 피할 방법을 찾아냈다. 그 방법은 자사 시스템을 개방하고 다른 은행에 뱅크오브아메리카드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는 차후 '4당사자 모델'이라는 현대 결제 시스템의 토대가 된 모델이다. 4당사자 모델은 카드 소지자, 가맹점, 카드 발행은행, 매입으로 알려진 가맹점 측 은행으로 구성된다.


4. 셋째 혁신은 정산 수수료였다. 소비자들은 결제를 하더라도 카드의 정산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는다. 이 구조는 소비자들에게 카드가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더 많은 소비자들을 유인하고, 카드 산업 전체가 원활하게 성장하도록 만든다.


5. BOA 사례를 보면.. 1) 규제를 피할 방법은 있다. 규제를 정면돌파하는게 아니라 우회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보자. 2) 경쟁자마저도 제휴를 해서 더 큰틀의 혁신을 만들어보자. 더 많은 사람들을 결제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시장을 만드는 것이었다. 3) 고객에게 과금하지 않는 구조는 참여자를 유인하고, 이것이 선순환의 시작이 되어 가맹점과 가맹은행, 카드발급 은행의 이익으로 이어졌다.


6. 신용카드가 사라진 결제환경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지금의 신용카드가 없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10년 후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세금 신고를 하게 될까요?


7. 10년 후에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결제하게 될까? 서로 반대되는 세력들이 충돌하는 과정 속에서, 즉 혁신과 규제가 마주하는 지점에서, 기술이 기존의 인프라와 충돌하는 지점에서, 데이터 비즈니스 기회가 개인정보 보호와 부딪치는 지점에서, 민간 기업이 벌어들인인 돈이 소비자의 이익, 국가의 이익, 지정학적인 상황에 걸맞는 방식으로 투자되는 지점에서 10년 후의 결제 방식이 결정될 것이다.

https://eunhocha.oopy.io/b6d0c994-f89b-4c79-89bd-765dc626d239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21일 오후 2: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

    《끝나지 않는 존재의 의미》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871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그 다음 과제는요?

    '

    ... 더 보기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10년 만에 흑자 낸 컬리, 다음 과제는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5 • 조회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