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질문 0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14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30대 초중반 디자인 커리어로 전향

안녕하세요, 30대 중반 무직자 여자입니다. 건강이 연약했던 부분 때문에 이일 저일 아르바이트만 전전하다 어느새 30대 중반을 앞두고 있네요. 원래 전공은 산업디자인으로 전문대를 졸업하고 편입하여 수도권 4년제 편입까지 마쳤습니다. 다만 산업디자인 전공 쪽으로 일해본 경험은 없습니다. 뒤늦게 학교 다닐때 잘한다고 들었던 제품디자인 3D 라이노 또는 그래픽디자인 uiux쪽으로 재교육을 받아 취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멘토님들께 2가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지금 제 나이에 드나마 재진입이 용이한 분야는 어떤 쪽일까요? 첫번째 질문 1. 제품디자인 3D 라이노 모델러 2. 그래픽디자이너 3. uiux 디자이너 두번째 질문 해당 분야에 재교육받는데 부트텐트 또는 내일배움카드 기관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괜찮을까요? + 6개월 ~ 1,2년 경력을 쌓은 뒤에 캐나다에 석사 진학 후 영주권 획득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바쁘신 중에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자이너

#산업디자인

#그래픽디자이너

#uiux

#제품디자인

#3d모델링

답변 1

댓글 0

조회 23

21일 전 · 영웅 님의 새로운 댓글

포트폴리오에서 언어를 통일하는게 좋을까요?

현재 제 포트폴리오에는 <A>언어 앱 프로젝트 1개, <B>언어 웹 프로젝트 1개, <C>언어 그래픽스 프로젝트 1개 이렇게 있습니다. 어쩌다보니 제가 한 프로젝트들 중 그나마 내세울만한 것들을 모아놨더니 서로 다른 언어들이어서 난감한 상태입니다. Q1. 일관성 없이 여러개 나열하는 건 회사 입장에서 안좋게 볼 수도 있나요? Q2. 지원하는 회사에 맞춰서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바꿔서 내야 할까요? Q3. 포트폴리오에 올린 프로젝트 중에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기술 스택(코드나 문법은 거의 잊어버림, 프로젝트 나 기여한 부분은 설명 가능한 수준)은 지우는게 나을까요?

개발자

#이력서

#포트폴리오

#취업

답변 1

댓글 1

조회 95

22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컴공 1학년, 진로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이번에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한 새내기입니다. 현재 개발자를 꿈꾸고 있으며, 정확한 진로는 아직 정하지 못했지만 클라이언트나 서버 등 게임 개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때 유니티로 간단한 게임을 몇 개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데, 생각보다 재미있어서 이번 방학 동안 유니티와 C#을 집중적으로 공부해볼 계획입니다. 시간이 남는다면 그래픽스 분야도 가볍게 탐색해볼 생각입니다. 다만, 이게 제가 드리고 싶은 이야기의 핵심은 아니고…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제가 계속 게임 개발을 목표로 삼아도 괜찮을지 고민이 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코로나 시기 동안 개발자 수요가 급증한 이후, 국내 게임 시장이 점차 하락세를 보이면서 게임 업계 취업률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요즘 컴퓨터공학과 취업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 더욱 막막하게 느껴지더라고요. 심지어 저희 과 교수님께서도 게임 개발 쪽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며칠 동안 인터넷을 뒤져가며 정보를 찾아봤지만, 오히려 더 답답해져서 이렇게 전문가분들이 많은 곳에 조심스럽게 질문을 남깁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게임 개발 쪽을 계속 파고들어야 할지, 아니면 차라리 수요가 더 많은 백엔드 분야를 공부하는 것이 나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른 개발자분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게임개발자

#진로고민

#컴공

#새내기

답변 1

댓글 0

조회 114

2달 전 · 김 하림 님의 질문 업데이트

노트북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컴퓨터공학과 3학년 재학 중인데, 노트북이 오래되어 하나 새로 장만하려고 합니다. 학교에서는 거의 윈도우로 교육하기 때문에 원래 맥으로 사려고 했으나 호환이 어려워 윈도우로 사려고 합니다. 노트북 살 때 메모리, SSD, 패널, 그래픽은 어떤 걸로 구매하면 좋을까요? 제가 백엔드 개발자를 진로로 삼고 있는데, 혹시 맥북을 추천하신다면 그 이유도 함께 말해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현재는 그램으로 사려고 하는데, 맥이나 삼성 노트북응 권장하실 경우 그 이유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개발자

#노트북고민

#노트북사양

#노트북추천

#프론트앤드

답변 0

댓글 0

조회 81

3달 전 · 프레드윰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갤럭시북 5 프로 VS M4 맥북 프로

안녕하세요. 이제 대학교 4학년 올라가는 컴공 학생입니다! 제가 노트북을 바꾸려고 하는데, 어떤 노트북이 나을까요? 조건 1. 현재 패드, 스마트폰 등 모든 전자기기를 갤럭시 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제품을 연동하기 좋음) 2. 지금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은 그램이며, 사양은 i5, 램 8GB, 저장공간 232GB입니다. 3. 1년 뒤에 졸업해서 취직할텐데, 지금까지 윈도우만 사용해왔어서 그때 맥북을 사용하게 된다면 잘 적응할 수 있을지가 걱정입니다. 그래서 미리 맥북을 사서 경험을 해 보는 게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4. 지금 구매하고자 하는 갤럭시북 프로와 맥북 프로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갤럭시북5 프로 14인치 윈도우 11 Ultra 7 Processor 258V Intel® ArcTM 140V GPU (16GB) (내장 그래픽) 램 32GB 저장공간 512GB 1,795,000원 - m4 맥북 프로 14인치 10코어 CPU 10코어 GPU 램 16GB 저장공간 512GB 2,240,000원 조언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투표

개발자

#노트북고민

#노트북사양

#노트북추천

답변 1

댓글 0

조회 406

4달 전 · 진다혜 님의 새로운 댓글

컴퓨터공학전공 2학년입니다. 진로 고민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입니다. 1학년을 마친 지금,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아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 문과였다가 컴퓨터공학과로 교차지원해 진학했습니다. IT에 관심은 있었지만 구체적인 진로를 설정하지 못한 채 전공을 선택했어요. 당시에는 경영학과에서 데이터 분석 관련 직무를 하고 싶었으나 컴공이 더 전문적이라고 판단해 결국 컴공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막상 전공을 공부하다 보니 컴공에서 하는 데이터 관련 분야와 문과(상경)의 데이터분석은 많이 다르더군요.. 다르다는 건 알았지만 좀 더 심화를 하겠지... 하는 생각은 정말 틀린 생각이었습니다. 그냥 다른 분야였습니다. 컴공에서의 데이터 관련 분야는 수학적 역량이 많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대학원이 필수라는 얘기도 들리고요. 저는 수학에 자신이 없어서 데이터 분석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현재는 다른 분야를 탐색해보고 싶습니다. 지금 관심 있는 분야는 백엔드, 프론트엔드, 그리고 임베디드 개발입니다. 다만 이 분야들에 대해 자세히 모르다 보니 막막합니다.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제가 완벽한 이해를 바란다는 점 같습니다. 제가 모든 것을 완벽히 이해하고 나서야 진로를 선택하고 공부를 시작할 수 있다는 강박에 빠져 있는 것 같아요. 각 분야에 대해 대략적인 설명은 찾아봤지만 그 정도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경험자 수준으로 완벽히 그 차이를 이해해야 비로소 진로를 선택하고 공부를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빠져 있습니다. 스스로도 '완벽하게 이해한 후에 선택하는 건 불가능하다. 대부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하려 노력하지만, 남들이 말하는 '조금 알고 시작한다'는 기준과 제가 가진 지식 수준이 다르다면 어떡하나 걱정이 앞섭니다. 추가로, 이번에 자동차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복수전공을 신청했습니다. 전공 공부만으로도 벅찬데 복수전공까지 시작한 게 과연 잘한 일인지 불안합니다. 이 학과는 전과나 부/복수전공 학생들로만 운영되는데, 2학년 과목 일부가 컴공과 겹쳐서 일단 도전해보기로 했습니다. 만약 맞지 않으면 부전공으로 전환할 생각도 있지만, 지금은 두 분야 모두 잘 해낼 자신이 없어서 걱정됩니다. 사실 제가 가장 힘든 건 제가 너무 모른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뭔가를 시도해보려고 해도 스스로가 부족하다고 느껴 두려움이 앞서요. 특히, 학교 커리큘럼만 따라가기엔 다른 친구들에 비해 뒤처지는 것 같아 조급합니다. 제 주변에는 입학 전부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혀서 지금은 공모전이나 프로젝트를 활발히 하는 친구들이 많거든요. 다음은 현재 제가 하려고 하는 것들과 학교 커리큘럼입니다. 1. 자동차소프트웨어 복수전공 2. 선배의 권유로 동아리에서 사용하는 언어 공부용 웹 이어받아서 운영하기 - 동아리에서 언어를 공부하기 위해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는 웹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같은 느낌인데 동아리에서 공부하기 더 좋도록 한.. 것입니다. 운영은 좀 먼 이야기이고 일단은 자바 공부를 시작할 것입니다. 어떤 책으로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이런 것도 많이 고민되는 걸 보면 결정에 대한 두려움일까요? 3. 공부할 겸 타이머 앱 만들어보기 - 친구들과 하기로 했습니다. 자바나 코틀린으로 할 것 같은데 교수님께서는 따라할 수 있는 예제가 많은 것으로 선택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프로젝트는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4. 여름방학 때 C공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대비해서 더 깊게 공부할 예정입니다. 교수님의 조언이 있었습니다. 5. 학교 커리큘럼: 선배들로부터 학교의 컴퓨터공학과 커리큘럼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1학년 때는 전공 과목 없이 파이썬과 C 언어의 기초만 배웠습니다. 스스로 미리 공부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2-1: 논리회로, C++, 이산수학, 오픈소스sw이해 2-2: 자료구조, 자바,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통신, 시스템프로그래밍보안 3학년부터는 트랙이 나뉘지만 졸업학점을 채우려면 열리는 거의 모든 과목을 들어야 한다고 합니다. 3-1: 오픈소스sw설계, 컴퓨터그래픽스, 알고리즘, 운영체제, 컴퓨터네트워크, iot임베디드소프트웨어 3-2: 컴퓨터구조,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공학, 모바일프로그래밍, 데이터분석머신러닝, 컴퓨터비전 저는 지금 뭘 해야 할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저의 문제점과 앞으로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학부생

#진로

#공부

#고민

#컴공

답변 1

댓글 1

조회 492

5달 전 · 허형준 님의 새로운 답변

앞으로 AI 그래픽 분야 전망이 어떨까요?

그래픽 생성에 관심을 갖고 Diffusion을 공부하고 있는 컴공 학부생입니다. 지금부터 석사까지 하면 5년 뒤쯤 취업인데 그때 그래픽 생성 분야 수요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어떤 cv분야가 수요가 많을지도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개발자

#ai

#인공지능

답변 1

댓글 0

조회 56

8달 전 · 홍세준 님의 질문 업데이트

현재 대학교 자동차 학과에 다니면서 sw개발자에 관심이 생겨 공부를 하고 진로 방향성을 정하고싶은데 전공을 살리는게 sw개발자되는길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대학교에서는 자동차공학을 전공으로 다니고있습니다. 최근들어 코딩에 관심이 생겨서 코딩 c언어를 공부하고있는데 코딩이랑 전공을 살려서 진로를 정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공학이랑 코딩이랑 연관성은 있어보여서 찾아봤을때 나오는게 많이 없습니다. 그래서 현재 고민이 과연 전공을 살려서 sw개발자가 되는 길이 있을까? 입니다. 자동차 회사에 개발을 현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전공을 버리고 코딩에 집중해서 굳이 자동차 회사가 아니더라도 여러분야 개발자로 취업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현재 c언어를 공부하고있는데 알고리즘 딥러닝 기술 혹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 게임개발 기술 등을 배우면 좀 더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마지막으로 자격증이 있으면 좋다는 말을 들었는데 자격증 정보처리산업기사 자격증을 따는게 좋을까요?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대학교

#대학생

#공부고민

#방향성

#진로

답변 0

댓글 0

조회 49

9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Pytorch 설치할때 오류가 많나요?

Pytorch를 공부하려고 컴퓨터에 설치했는데 그래픽카드인 3060ti와 pytorch가 지원하는 버전을 고려해서 cuda 12.1 cudnn8.9.0을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파이참을 실행하니 torch가 여전히 먹통이네요 삭제하고 다시깔고 인터넷을 보고 다른것을 설치해도 여전히 window 126 모듈을 찾을 수 없다고만 뜰뿐 해결이 안 되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 옵니다

개발자

#인공지능

#pytorch

#cuda

답변 0

댓글 0

조회 29

10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테크니컬 아티스트, UX 엔지니어 경험

안녕하세요, 저는 4년제 디자인전공 4학년 학생입니다. 그래픽스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컴퓨터공학과를 복수전공하기 시작하였고 Unity를 활용한 게임 개발, XR 콘텐츠, XR 서비스 등의 작업을 주로 진행하였습니다. 개발 전에는 3D 디자이너로 작업을 이어갔었는데 게임 개발을 통해 서비스나 콘텐츠 등에서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가 늘어서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앞으로의 진로를 생각하면 개발과 디자인을 동시에 하는 것이 어떠한 메리트를 가질 수 있는지 확신이 서질 않습니다... 팀 작업이나 개인 작업으로써는 개발과 3D 두 영역의 시너지가 충분히 좋다고는 생각이 들지만 실제로도 제가 사회에 나가서 두 영역을 함께할만한 직무를 얻을 수 있을까요? 테크니컬 아티스트나 UX 엔지니어 등 새롭게 생겨난 직무들도 알아가보고 있습니다만, 실제 현직자의 경험들로 비추어봤을 때 개발이나 디자인을 하나만 선택하는게 좋을지, 둘다 가져갈 수 있을지 견해를 여쭙고 싶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디자이너

#게임-개발

#3d

답변 1

댓글 0

조회 74

일 년 전 · 문종호 님의 답변 업데이트

AI 챗봇 프로젝트 시작

AI에 대해 무지하지만 벨로그에 올라온 AI 프로젝트를 보고 너무 재밌어보여서 한번 시도해 보고 싶은 학생입니다. 카카오 챗봇, 디스코드 봇, 아니면 웹사이트에 간단하게 사람들의 말투를 학습 시켜서 대화 가능한 봇을 만들어서 올리고 싶은데 어떤 스택을 사용해서 만들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미 있는 모델로 학습을 시키면 되는거 같기도 하고 GPT 어시스턴트를 이용하는거 같기도 하는데 뭘로 시작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깊게 파보지는 않고 간단하게 토이프로젝트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궁금한점 1. 챗봇 토이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좋은 방법(강의, 책, 필요한 스택) 2. AI 학습과 GPU 상관관계 (서버로 연결해서 학습하거나 GPT 어시스턴트를 쓰면 그래픽 카드 성능은 안중요해 보여서 어떤지) 3. 혹시 GPU가 중요하다면 위와 같은 프로젝트를 만들때 적당한 그래픽 카드 4. M3 pro 사용 중인데 이걸로는 AI 학습이 불가능한지

개발자

#인공지능

#챗봇

#토이프로젝트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09

일 년 전 · 김인후 님의 새로운 댓글

코딩 시작하고 싶은데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코딩에 관심이 생긴 사람입니다! 제가 만들고 싶은 건 상호작용이 가능한 디자인 창작물입니다. 예를 들어 화면에 캐릭터가 있다면 마우스로 잡아서 올릴 수 있고 때릴 수 있고, 타이포 그래픽이 있다면 클릭하면 회전하거나 풍선처럼 부풀어서 하늘로 날아가게 할 수 있는 그런! 사이트를 만들고 싶어요. 사실 사이트라고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런 걸 하고 싶어서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코딩을 배워야 한다고 해서 질문하러 여기까지 왔습니다. 프론트엔드, 백엔드라는 단어는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 두 카테고리 안에서도 굉장히 다양한 게 있는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이런 걸 하고 싶은 사람은 뭘 배워야 할까요?

개발자

#코린이

#코딩초보

#코딩입문자

#디자인

#디자이너

답변 1

댓글 2

조회 65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학부생 노트북 사양 괜찮은지 투표 부탁드립니다!

OS: Windows 11 home 화면 크기: 16인치 CPU: 인텔 코어 Ultra7 프로세서 155H 메인 메모리: 16GB(온보드) 그래픽: 내장형 인텔 Arc SSD: 512 GB + 확장 슬롯 1 무게: 1,199 g 컴퓨터 공학과 학부생 노트북 사양 이정도면 충분할까요?? 램을 32GB로 맞추고 그래픽도 NVIDIA GeForce RTX 3050 4GB Laptop GPU로 하고 싶은데 가격이 30만원 이상 차이나서 고민되네요... 투표 부탁드립니다!

투표

개발자

#노트북사양

#노트북고민

답변 1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67

일 년 전 · HOGAENG 님의 새로운 댓글

이 길이 맞는걸까요??

현재 ABAP을 배우는 대학에 들어와서 배우는 중입니다. 원래는 작년에 대학에 가려 했으나 부득이하게 사고로 인해 올해 1학년으로 입학했습니다... 근데 ABAP을 배우는데 제가 원했던 것이 아니다보니 배우는게 싫어지고 망설여집니다. 전 게임을 개발하거나 다른 앱을 개발하고 싶었는데 대기업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을 배우니 뭔가 이 길이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개강하고 난 이후에 계속 듭니다. 이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되고요. 이걸 배우고 이걸로 취업을 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같이 하고 있는중이고요. 그래서 제 생각으로는 사이버대를 가서 온라인으로 배우면서 따로 코딩을 독학하며 스스로 게임을 개발 해 보며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갈 계획입니다. 아니면 디자인 그래픽 쪽으로 갈 생각이고요. 근데 현실적인 시선으로 보자면 친구들과 1년이라는 시간이 멀어졌는데 또 1년이라는 시간이 멀어지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사이버대학교

#사이버대

#abap

#진로상담

답변 1

댓글 1

조회 148

일 년 전 · 박성현 님의 새로운 답변

졸업작품 주제 선정 방식에 대해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과 4학이고 백엔드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저희 학교 졸업작품 주제 선정 방식에 대해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졸업작품을 하는데 주제가 전부 고정되어있고 1~5지망을 선택해 제출해서 확정짓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이것도 사실 이해되지 않았지만 주제들이 전부 연구분야로 특정되어있었습니다. 전부 그래픽스, ai, ml, 자연어처리 등의 교수님들 전공 주제였습니다. 당장 올해 혹은 내년에 취준하는 학생들이 많을텐데 1년동안 해야 할 프로젝트의 주제를 연구 주제로 전부 고정해버리는게 맞나 싶었습니다. 또 본인들의 연구실 학생들에게 상을 몰아주려 하는건가 라는 생각까지 들기도 합니다 연구 주제에 대해 고민하고 논문 읽는 법도 배우고 좋을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갖추면 좋은 건 맞습니다. 하지만 진로 분야를 특정해 스펙을 채워나가야하는 4학년이 1년 내도록 이걸 해야하는 게 옳은지는 모르겠습니다 ㅠ 현재 졸작 외에 백엔드 개발자로 2개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분야도 아닌 졸작에 시간을 자꾸 뺐긴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직 학생이고 교수님들의 뜻을 헤아리지 못 한건지.. 가혹한건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웹

#웹개발

#졸업작품

#대학생

#취업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02

일 년 전 · HypeBoy 님의 답변 업데이트

컴공 전공 개발자vs 다른 직군

안녕하세요, 인서울 상위권대학 컴공 전공하고 있는 2학년 학부생입니다. 요즘 개발자 시장에 공급이 과잉된 상황과, ai의 발전으로 많은 개발자 티오가 줄어들 것이라 예상되고 있습니다. 물론 컴공을 전공하고 실력을 갖춘 개발자가 되면 된다는 조언은 많이 들었지만, 좁아지는 시장에 뛰어들만큼 실력에 자신있지도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요즘엔 원래는 생각않던 금융권이나, 시스템 엔지니어, 클라우드, 그래픽, erp 등 전공자로서 더 깊은 공부를 했을 때 메리트를 가질 수 있는 직군들을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다만 여전히 개발 직군보다 낮은 연봉과 한쪽 커리어에 발묶이게 된다는 단점 때문에 다른 선후배 동기들처럼 일단 개발쪽을 가는게 맞는건가 싶기도 합니다.. 두서없는 글에서 질문만 뽑자면 개발자 외에 다른 직군으로 가는 것이 괜찮은 판단일까요? 같은 실력으로 같은 노력을 할 수 있다면 그냥 개발자 하는 것이 맞을까요?

개발자

#개발자_진로

#전공자

#진로고민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4

조회 312

일 년 전 · HypeBoy 님의 답변 업데이트

포폴준비를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요?

요즘 취업준비중이라 고민이 많은데요 가고자 하는 방향이 완전히 정해지지는 않아서 배움에 열심히 하고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포토폴리오에는 가고싶은 방향위주로만 적는 것인지, 아니면 해왔던 것들을 나열하는 것이 더 나은지입니다. 2. 이력서에 자격증을 관련있는것만 적는것인지, 아니면 있는 자격증을 다 나열하는게 좋은지 여쭙고싶습니다. * 참고로 현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웹디자인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이렇게 있습니다.

개발자

#포트폴리오

답변 1

댓글 0

조회 98

일 년 전 · 황혜린 님의 질문 업데이트

게임 클라 vs 웹 프론트 진로 고민

현재 대학생이고, 게임 클라이언트와 웹 프론트엔드 사이에서 진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게임을 정말 좋아하고 게임 개발에도 관심이 많지만, 흔히 떠올리는 mmoRPG나 온라인 게임이 아닌 싱글 플레이어 2D 인디 게임들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물론 게임을 돌아가게 만든다는 것 자체에도 흥미가 있기는 하나, 게임 업계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장르에 대한 열정이 그리 강하지 않은 게 걱정입니다. 게임 개발 쪽으로 실력을 더 쌓기 위해선 물리엔진이나 그래픽스 등 어려운 분야의 공부도 필요한 걸로 아는데, 제 흥미 범위를 벗어나는 게임의 개발을 위한 공부를 열심히 이어나갈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웹 프론트엔드 쪽으로 진로를 설정하고 게임 개발은 취미로 남겨둬야 하나 싶은데, 그러다 결국 이도 저도 아니게 될까 봐 걱정도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개발자

#게임

#프론트

답변 1

댓글 0

조회 372

일 년 전 · 김세연 님의 새로운 댓글

프론트엔드(FE) 개발 관련 커리큘럼 과목 선택 및 언어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소프트웨어와 디자인 계열 과목을 같이 배우는 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입니다. 이제 3학년이 되지만 전과를 했기 때문에 C언어, 파이썬, Unity(아주 조금)와 디자인 기초밖에 배우지 않아 사실상 1학년 과정 정도만 끝냈다고 생각 중인데 당장 다음 학기 시간표 구성을 어떻게 할지 고민이 되어서 글 올려봅니다! 우선 희망 진로는 프론트엔드 및 UI/UX 디자인 계열 (웹보다는 앱 선호)로 생각 중이고 html, css, javascript, react, figma 등의 학습이 필수이지만 학교 커리큘럼에는 잘 구성이 되어있지 않아 독학을 위주로 공부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다른 언어를 배워야 하는데 지금까지 구성한 시간표에는 자바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기초(SQL), 객체지향프로그래밍(C++)에 소프트웨어 개론과 디자인 수업 하나가 있는 상태입니다 제가 여쭤보고 싶은 질문은 1. 현재 시간표가 괜찮은 편인지... 더 들어야 하거나 빼야 되는 것 혹은 동시에 수강하면 어려운 과목 조합(ex: C++과 자바 동시 수강)이 있다면 어떤 것인지 2. 제 희망 진로에서 웹프로그래밍과 react 등을 제외하고 Java, C++, Python, 데이터 관련(SQL 등) 중에서 어떤 언어가 가장 필요하고 뭘 중심적으로 준비하면 좋을지 3. 소프트웨어학과 부전공을 하면 저희 과에서는 배울 수 없는 웹프로그래밍(html css javascript), 멀티미디어, 컴퓨터그래픽스, 디자인패턴, 모바일플랫폼 등과 관련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데 부전공을 하는 게 좋을지 입니다. 아직 잘 모르는 게 많아서 질문의 폭이 넓다고 생각되는데 자세히 설명해주신다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개발자

#프론트엔드

#c++

#java

#uiux

#javascript

답변 1

댓글 1

조회 233

일 년 전 · 이인애 님의 질문 업데이트

컴공 3학년 복학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방에 컴공 3학년 복학 예정인 여학생입니다. 맨처음에 컴공과를 선택하게 된 건 그래픽으로 진로를 잡았다가 선생님의 권유로 넣게 되었습니다. 1학년 때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들어가서 정말 꾸역꾸역 겨우 진도를 따라가고 과제를 해나갔습니다. 2학년이 되어서는 많은 양의 전공 수업과 과제들을 하면서 실력이 조금씩 늘고 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팀원들에게 민폐가 되지 않기 위해서 인터넷도 찾아보고 정말 몇 시간씩 뚜드려보고 물어보면서 과제를해나갔습니다. 하지만 주변에 잘 해나가는 친구들을 보면서 조급하고 막막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2학기에는 번아웃이 오게되었습니다. 3학년에는 도저히 학교를 다닐 수 없을 것 같아서 휴학을 하고 여러가지 알바도하고 여행도 다녔습니다. 이제 다시 공부를 해야겠다는 마음이 생겨서 제가 그래도 흥미있게 했던 수업이 무엇일까 생각을 하다가 팀플로 했던 개발 프로젝트가 있어서 웹 개발에 백엔드 개발자로 진로를 잡게되었습니다. 막상 시작하려니 막막해서 계획을 세워보려고 하는데 어떤 것 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야할까요?

개발자

#java

#백엔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440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27살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자 진로 고민입니다.

현재 외국계 기업에서 게임 클라 주니어로 입사한지 2년차 입니다. 회사에서 분명히 많은것을 배우고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서비스 런칭까지 진행해보는 값진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전반적인 프로젝트의 구현, 프로젝트 빌드 방법 및 빌드 관리(ios,aos), 서버와의 실시간 서버 구현 협업 등 물론 대기업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에 비해 한참 모자라고 제대로 개발자 일을 시작했다고 볼 수 없을 것이고 아직 모든것을 경험 해봤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프로젝트를 출시함에 있어 필요한 전반적인 부분은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이렇게 일을 하면서 느낀점은 어떤 기술 스택에 대해 정말 깊게 파보지 못하고 급하게 넓고 얕게 가능한 모든것을 배우면서 서비스 런칭을 위해 어떻게든 적용시켰다라고 밖에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러면서 이 회사에서 일하는 방식과 성장하는 방식에 회의감이 들기 시작했고 얼마전 초빙 강사님의 그래픽스 강연을 들으면서 게임엔진단에서 복잡한 코드를 아주 간단한 수학 공식으로 코드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보고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특히 대학시절부터 수학을 공부하기 싫어했던 제 모습이 너무나도 후회되었고 한심하다고 느끼게 되었고 얼마전부터 선형대수 미적분학 온라인 강의를 구매하여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파이썬 강의를 구매해서 AI 쪽 공부도 아직 수박 겉핥기 식이지만 같이 진행하면서 이 분야에 많은 흥미와 관심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AI/ML 개발자로 이직/취업하려면 석사학위가 필요하다는 둥 여러가지 소식을 접하고 좋은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서는 수학을 잘 해야한다는 마인드셋을 가지고 정말 열심히 공부를 해보고 싶은 의욕도 생겼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지속적인 수입원이 끊기거나 더 줄어듦과 동시에 경력의 차단이 발생하게 되니깐 차라리 이직 준비를 더 열심히 해서 게임 개발자 경력을 놓지않고 더 좋은 곳으로 이직을 하는게 맞는건지.. 아니면 회사를 다니면서 대학원 준비를 하며 적성에 맞다고 느껴지면 퇴사하고 전일제로 대학원 진학을 하여 석사 학위를 따고 원하는 공부를 맘껏 하면서 AI/ML개발자로 이직을 할지 고민이됩니다..

개발자

#게임-개발

#신입

#인공지능

#머신러닝

#클라이언트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58

4달 전 · Myeonghwan Cho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미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프론트 신입이고 일한지 7개월 돼가는 새싹개발자 입니다. 현재 저는 작은 스타트업에서 자체서비스 프론트업무 및 약간의 백엔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국룰 스택 (프론트 react & 백 nest ) 로 개발하고있어요 ㅎㅎ 저희 회사에서는 제가 막내고 그 위로 4명의 개발자가 계십니다. 전부 백엔드로 커리어를 시작하셨고 프론트쪽도 능수능란하게 잘 하십니다. 근데 최근에 고민거리가 생겼습니다. 사수분들 왈 , 프론트는 미래가 없다. Ai가 가장 먼저 대체 될 것이다. 그리고 프론트는 기술적 한계가 크다. 기술적 고민이 있으면 그에 맞는 라이브러리 써서 해결하면 끝인거고, 고객 요구사항은 그때 반영해서 수정하면 끝이며 백에 비해 코드 유통기한도 짧아서 유지보수 고려안해도 된다 , 화면에 보여지는게 전부인 프론트는 기술적고민이라곤 성능 최적화가 전부이다. 라고 말씀하시면서 저에게 백엔드쪽으로 전향할 생각이 없냐며 조언을 하시더라구요. 근데 저는 그때 바보같이 사수분들의 말씀에 동조를 했고 그게 맞는거 같아서 받아들였습니다.. 하지만 집가서 다시 되새김질 해보니까 프론트가 진짜 그게 전부일까라는 의문점도 들고 그렇게 따지면 대기업에는 왜 프론트하고 백이 나눠져있으며 역할이 있을까?? 진짜 프론트엔드개발자로서의 기술적 고민은 저게 전부인가?? 라는 의문점이 들었고 괜시리 프론트가 주업무인 저는 뭔가 자존심도 상하고 기분이 썩 좋진 않더라고요.. 사실 저는 백엔드개발경험도 있지만 백보다는 아직 프론트가 무척 재밌고 최근에는 canvas나 threejs로 그래픽스 개발하는거에 흥미를 느끼고 있어서 솔직히 백쪽보다는 프론트를 전문적으로 할수있는 프론트개발자가 되고 싶은데 사수분들의 말씀들 덕분에 점점 흔들리더라고요.. 정말 사수분들 말씀을 듣고 백쪽으로 커리어를 돌려야 할지 의문입니다 ㅠㅠㅠ 여기 선배님들도 저희 회사 사수분들 말씀에 동의를 하시나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전망

#웹

#고민

#백엔드

답변 6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367

2년 전 · 프레드윰 님의 답변 업데이트

군 간부의 꿈을 접고 개발자로 전향준비하고있는 사람입니다.

제목 그대로입니다. 고등학교 때 컴퓨터 그래픽이나 웹디자인 같은것에 관심이 많이 있어 관련 고등학교 학과로 진학하여 다니다가 군인에 관심이 생겨 졸업하자마자 병사로 입대하여 간부로 임관해 현재 3년차입니다. 처음에는 보람차고 인정받으려고 열심히하고 했지만 지금은 인정받아도 이 불합리한 구조 자체가 질려버려서 마음을 접고 전역까지 약 2년남짓남았습니다. 고등학교 때 수업을 받으며 프로그램으로 뭔갈 만들어가는 걸 좋아했기에 다시 한번 준비해서 뛰어들고자합니다. 아무것도 배운게없고, 한것도없지만 어떻게 준비해야하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선배님들 조언듣고자, 질문듣고자 찾아왔습니다.

개발자

#질문

답변 1

댓글 0

조회 90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개발자 세부 진로 결정

안녕하세요. 컴퓨터 관련 학과에서 3-2학기를 보내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현재 제 상황은 자료구조, 알고리즘, 컴퓨터구조, 운영체제 등 기본적인 CS과목은 수강하였고 현재는 웹 풀스택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중 입니다. 개발자 분들께 궁금한 부분은 백엔드, 웹, 그래픽스, 안드로이드, iOS,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보안 등 다양한 분야가 많은데 어떠한 계기로 해당 직군 분야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취업준비를 할때 분야를 정하고 그 분야에 대해 공부해서 관련 기업을 알아보셨는지, 원하는 기업의 직군을 먼저 정하고 그에 맞춰 취업을 준비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내년이면 4학년으로 취준을 해야되는 상황인데 세부 진로도 정하지 못했다보니 지금 내가 하는 것들이 취직에 도움이 될지 확신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막막한 마음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개발자

#진로

#직군

답변 1

댓글 0

조회 395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비전공자_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20살
비전공 3년제 대학 재학 중(야간_1학년)
특성화고 졸업 후 생산직 근무 중
슈퍼 코딩 강의 신청_7월 31일부터 16주로 진행하는 관리형 부트 캠프(온라인)을 들을 예정이고 아직은 입문 단계로 모르는 것이 많은 상황입니다! 

고등학교 때 그래픽디자인을 반년 정도 했었으며 프론트엔드 쪽으로 관심이 가서 슈퍼 코딩을 신청했는데 먼 미래지만 풀스택까지 보고 있습니다 요즘은 풀스택을 선호한다고 하더라고요 아직 어리고 관련 지식이 아예 없어 웃기게 보일수도 있지만 살면서 처음으로 해보고싶은게 생겨 도전해보려고 하는 상황입니다ㅜㅜ 

1. 개발로 완전히 마음을 먹고 나면 대학교 자퇴를 하려고 하는데 비전공이어도 대졸이 좋을까요? 2. 지금은 프론트엔드를 준비해 보려고 하지만 게임 개발 쪽에도 관심이 있습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와는 다르게 준비를 해야 하나요?
3. 슈퍼 코딩을 듣고 부트 캠프나 국비 학원을 다니는 게 좋을까요? 되게 말이 길어졌는데 죄송합니다ㅠㅜ 관련 질문 아니어도 편하게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개발자

#비전공자

#진로고민

#프론트엔드

#백엔드

#게임개발

답변 3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1,205

2년 전 · 아기 개발자 님의 새로운 댓글

언리얼 엔진 공부할때 어떤 순서로 공부하면 좋을까요?

이제 공부를 시작했는데 어떤 순서로 공부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C++이나 C언어는 이미 다룰줄 알아서 모델링이나 모션 그래픽 같은걸 잘 다루고 싶은데 어떤 순서로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언리얼 엔진5 를 사용하고 싶은데 출시가 된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설명도 많이 없고 관련 도서도 없더라구요.

개발자

#언리얼

#eu5

#3d

#모션

#게임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819

3년 전 · 손정현 님의 답변 업데이트

머신러닝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머신러닝 공부할 때 gpu 성능에 의해 모델 훈련 시간이 크게 좌우된다고 들었습니다. 공부한지 얼마 안되어서 체감을 못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GAN인 액션이라는 책을 보면서 실습하고 있는데 훈련 시간이 1시간, 2시간이 되길래 그래픽카드를 구매해야하나 싶습니다 .. 안그래도 중고로 받아서 쓰던 RX570이 오락가락하고 구글링해서 GPU 훈련을 활성화하려고해도 텐서플로에서 GPU인식도 못하더군요 .. GPU를 바꿔주면 훈련 시간이 크게 개선될까요? 그리고 GPU는 무조건 좋은게 더 나은가요? 추가로 GPU외에 CPU나 램도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구글에 검색해보면 대부분 CPU와 GPU 비교만하고 CPU와 RAM이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론 얼마나 차이나는지는 감이 안잡히더군요 ..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385

2년 전 · 김아랑 님의 새로운 답변

인하우스 디자이너 til(today I learned) 하시는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중소기업 인하우스에 재직중인 디자이너입니다. 아직 주니어이지만 회사가 작다보니ㅠㅠ 사수도 없고 디자인 전문 기업이 아니라 뭔가 큰 프로젝트같은 디자인은 많이 없는 편이에요. 주로 온라인 홍보용 이미지, 광고 이미지, 상세페이지 등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성장하려면 스스로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에 늘 인사이트와 디자인에 관해 조금씩 공부를 하고 있는데 오늘 TIL에 대해서 알게되었어요. 개발자분들이 많이 하시는 기록이라고 들었는데, 혹시 디자이너 분들도 이런걸 하시는지 궁금해서 질문올려봅니다! 그리고 하셨다면 기록하는게 도움은 되었는지? 꼭 인하우스, 그래픽 디자이너가 아니더라도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개발자

#웹디자인

#그래픽

답변 3

댓글 3

추천해요 7

조회 735

3년 전 · 최성우 님의 새로운 답변

다자인 분야 포폴

어쩌다 보니 3년된 스타트업에 브랜드디자이너로 취직하게 된 후 신입디자이너 인데 사수도 없고 직무도 맞지 않는것 같아 힘들어서 5개월 만에 이직 준비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첫 포폴 준비때는 뭐가 뭔지 몰라 중구난방으로 여러 디자인을 해서 만들었어요 그리고 현재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 고민하다 콘텐츠 디자인 혹은 그래픽 디자인 쪽으로 평소에 관심이 있었던것 같아 그쪽으로 포폴을 다시 만들어 보려 합니다 그런데 혹시 콘텐츠 디자이너와 그래픽 디자이너의 분야가 다르다고 할 수 있나요? 또한 각각의 포폴을 준비 할때 어떤 작업물로 구성해야 알맞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아트웤도 관심이 있고 포스터나 기타 굿즈등을 만들어서 소량 인쇄로 뽑아본 적도 있는데 이런 분야는 그래픽 디자인과는 다른 분야 인건가요? 다르다면 어떤 분야고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ㅠ

디자이너

#그래픽

#포트폴리오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6

조회 424

3년 전 · 박은서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디자인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그래픽 디자인을 하던 학생입니다. 최근에 UI, UX디자인에 관심이 생겼는데 이쪽 분야를 공부해보고 또 개발자와 협업해보고 싶단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어떤걸 어떻게 공부해야하나요? 감이 안와서 여쭤봅니다.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협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도 궁금합니다.

개발자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1

조회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