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1인 가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는 35.5%로 전년대비 1% 증가했습니다. 2000년에는 15.5%, 2010년에는 23.9%였으니 그 비율이 가파르게 늘고 있죠. 다문화가구 비중도 증가세입니다. 2015년 약 30만 가구였는데 2023년에는 41.6만 가구로 늘었죠. 인구주택총조사를 요약하면 수도권, 1인 가구, 다문화가구입니다. 수도권에는 대한민국 인구의 50.7%가 살고 있고 서울은 젊은 청년을 흡수했다 경기도와 인천으로 밀어내고 있습니다. 다시 지방으로 가지 않고 서울에 가까운 곳에 살고 있죠. 여기까지는 숫자입니다. 실제 그들의 집은, 방은 어떤 모습일까요? 집은, 방은 어떤 모습일까요? 심규동 사진가가 찍은 1인 가구의 모습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 큐레이터의 문장 🎒 ]


"그럼에도 혼자 사는 게 유행이다. 혼자 사는 연예인들을 엿보는 방송도 오래 전부터 인기다. 우리들 소원은 통일 보다 독립이라며 다들 혼자 살기를 원한다." - 조인원 기자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가 평범하다고 하지만 어느 누구도 평범하지 않았다. 취향이 잔뜩 묻은 개인 공간은 그곳에 사는 사람을 잘 보여준다. 결혼하고 2인 가구가 되면 이런 모습도 사라지는 것 같다. 남편과 아내가 서로의 1인 가구 시절 모습을 봤다면 ‘원래 이런 사람이구나’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부부 사이의 갈등도 줄지 않을까. 1인 가구 프로젝트의 핵심은 여기에 있다.” - 심규동 사진작가


https://www.chosun.com/video_photo/2024/08/03/K76FBI3B7ZERDMOVNGCAKAOAL4/

[C컷] 우리의 소원은 독립, 나 혼자 산다

조선일보

[C컷] 우리의 소원은 독립, 나 혼자 산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5일 오전 7: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모든 경험은 의미가 있다

    커리어는 정해진 목표를 향해 뛰는 경주가 아니다. 길을 알려주는 정답 지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찾아야 하는 보물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직업은 생활에 필요한 재원을 만드는 일이고, 커리어는 나에게 맞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고, 그 인생 과정에서 성장을 하게 된다. 나에게 맞는 커리어를 찾는 과정에는 자연스럽게 시행착오가 따른다. 다른 사람에게 조언을 듣거나 남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고 배울 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경험해 보고 터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중요한 것은 경험의 겉모습이 아닌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각 경험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항목들이다. ​1. 대기업 vs. 스타트업 대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갖춰진 시스템과 그로 인한 안정감이 아닐까 싶다. 갖춰진 시스템 속에서 세분화된 자신의 전문분야 일을 하게 된다. 시스템 안에서는 전문가로 인정받지만 시스템을 벗어나면 홀로서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마켓 사이즈나 임팩트가 큰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이 그저 ‘직원 1’인 것처럼 느끼기 쉽다.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안정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건 누구든 언제라도 교... 더 보기

     • 

    댓글 5 • 저장 205 • 조회 6,354


    프리미어리그를 비롯한 유럽 축구리그에는 한국에서 뛰는 모든 축구 선수들의 연봉을 합한 것보다 수십 배가 넘는 돈을 버는 선수들이 즐비하다. 이런 일이 왜 가능할까?

    ... 더 보기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

    《편의성보다 우선해야 할 인간적 접촉》

    ... 더 보기

    쉬운 길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