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3월 2주차 회고_01

[배운점] 1. B2B Sales 홈페이지 및 IA 제작 2. B2B Sales 전략 및 실행전략 수립 3. UTM>M 개념 학습 [느낀점] 프로덕트를 내부 관점에서만 보게 된다면 확증 편향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엉덩이를 가볍게 하고 더 자주 고객을 만나야 한다. 그런데 고객과 대면하는 과정에서 영업 담당자들의 페르소나가 다 다르므로 어떻게 전달하고 고객의 반응을 해석하지는 부분에서 설계도 중요하다. 그래서 영업에서 최대한 똑같은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 대본이 필요하고, 고객들의 반응에 대해서는 정량화된 시트가 필요하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들은 거를 한 번 더 필터링해서 말하기 때문에 정량화하지 않으면 고객 반응이 오염될 확률이 매우 높다. 정리하면, 고객과의 접점부터 커뮤니케이션까지 모든 과정에서 정량화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자 [아쉬운점] 업무에 더 집중하기 위해서는 나만의 집중시간을 팀원들과 외부에 표현?하자. 슬랙에는 몇 시부터 ~ 몇 시까지 집중하는 시간입니다. 급한 논의가 아니면 집중타임 끝난 후 말을 걸어주세요. 이렇게 하는 것도 생산성을 올리는 방법이다. '급한 업무'와 '중요한 업무' 는 크게 결이 다르고, 보통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 모두 급하고 중요하다고 착각한다. 이것만 잘 구분해도 일에 치이는 시간을 줄이고 업무의 생산성이 올라가는 경험을 할 것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2일 오후 1:07

조회 11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


    ... 더 보기

    질서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 • 조회 821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3 • 조회 4,131


    《어중간한 실패가 남기는 후회》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518


    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ㅍㅍㅅㅅ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