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 구축을 위한 2가지 요건

"많은 상사가 개인적 관심을 충분히 기울이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업무적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부인한다. 우리는 모두 인간이다. 직장에서도 인간적인 감정으로 살아간다. 우리는 마땅히 감정을 지닌 인간으로 대우받아야 한다." 제가 회사에서 개인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방식으로 팀빌딩을 하는 걸 보면서 '쟤는 왜 저런데 감정을 쏟을까'하는 분들이 아마 많이 있었을 거 같아요(아무도 말은 안 했지만..). 사실 이건 높은 성과를 이루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렇습니다. 아래는 '완전한 솔직함(radical candor)'이라는 원제를 갖고 있는 <실리콘밸리의 팀장들> 1장에 나오는 내용을 요약한 것이에요. 조직에서 신뢰 관계를 만들려면: 1️⃣ 업무적 관계를 넘어서는 것 이건 흔한 오해처럼 구성원들의 생일이나 가족 이름을 기억하란 말이 아니에요. 업무 영역을 넘어서 더 높은 꿈을 품은 존재로 개개인을 대하는 것입니다. 대화를 나누고, 인간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무엇이 출근을 하게 만들고 하기 싫게 만드는지를 알아가는 것이에요. 2️⃣ 성과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피드백을 전하는 것 나쁜 피드백을 해야 할 순간에 구성원의 감정을 너무 걱정한 나머지 묵혀두는 실수를 하거나, 좋은 피드백을 해야 할 때 공허하게 '잘했어요' 하지 않는 것 등이에요. 공감도 파괴적일 수 있고, 질책도 따뜻할 수 있다는 걸 알고 연습하는 게 필요해요. '회사는 일하는 곳이지 동아리가 아니야!' 메시지에 너무 치우칠 때 우리는 불쾌한 질책을 경험하게 되고, 반대로 '나쁜 사람이 되고 싶진 않아..'에 집착하면 일이 동아리 수준이 됩니다. 정말 어려운 일이고, 평생 연습해야 할 기술인 것 같아요. 〰️ 제가 읽은 책은 '킴 스콧, <실리콘밸리의 팀장들>, 박세연 옮김, 청림출판, 2019' 입니다. 〰️ 링크는 위의 내용을 잘 정리해둔 포스트 https://hr.wanted.co.kr/insights/radical-candor/

리더의 피드백 : 완전한 솔직함(Radical Candor)이 조직을 구원한다! | HR커뮤니티 인살롱

HR커뮤니티 인살롱

리더의 피드백 : 완전한 솔직함(Radical Candor)이 조직을 구원한다! | HR커뮤니티 인살롱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7월 9일 오전 4:33

 • 

저장 27조회 2,1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성실함도 개인기이다...250729

    1.●인생은 개념이 아니라 연습으로 가는 것이다.
    2.●무조건 무엇이든 시작을 빨리해라.

    ... 더 보기

    《더 깊고 매끄러운 사회적 교류》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868


    < 내가 뭘 원하는지 도무지 모를 때 해야 할 단 한 가지 >

    1. 하고 싶다고 생각한 것은 사실 당신의 마음속에서부터 나온 게 아니라, 상식이나 가족, 또는 친구의 기대에 영향받은 것이 많다.

    ... 더 보기

    요즘처럼 기업의 윤리경영이 화두가 된 적이 없는 것 같다. 과거에는 일종의 면죄부가 있었다. “능력이 있으면 되지, 도덕성까지 요구할 수 있나?”는 의식이 은연중에 자리 잡고 있었다.

    ... 더 보기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매일경제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며칠전 자문 드린 아기 유니콘 스타트업 대표님께서 자문 직후 지방 출장을 가신 상황인데 그 바쁜 와중에 이렇게 정성스런 메일까지 보내주셨다. 스마트하신데 실행력까지 어마어마하시다보니 같이 논의하면서 동의해주신 내용을 바쁜 중에 곧바로 실행까지 하셨다고 한다. 실제 성과로 연결되는 것까지는 함께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보람있고 뿌듯하다. 아기 유니콘에서 예비 유니콘으로, 그리고 유니콘으로 성장하는 과정 계속 지켜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