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주제 찾기

관심 주제 찾기 옆 돋보기 아이콘

최신 질문

고정됨

📢 Q&A에 PM, 디자이너 토픽이 추가되었어요!

많은 개발자 분들께서 Q&A를 통해 활발하게 소통하고 계신데요, 실무 혹은 커리어 고민이 있는 PM(PO/기획자)과 디자이너 분들도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Q&A에 PM과 디자이너 토픽을 추가했어요. PM, 디자이너 토픽에서도 활발한 소통이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 ✍️ Q&A 목록에서는 선택한 관심분야에 맞는 직군의 Q&A가 보여요 ✍️ 토픽 버튼을 클릭하면 다른 토픽의 질문과 답변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미지 참고) ✍️ 앱 이용자의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해요 (버전 1.162.0부터 확인 가능)

개발자

#개발자

#pm/po/기획

#디자이너

답변 4

댓글 1

추천해요 1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717

하루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2학년 솦웨학부생 여름방학에 뭘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인서울 4년제 소프트웨어공학부에 재학중인 2학년 여대생입니다. 저희학교는 자율전공제로 1학년때는 과가 없어 제가 진학할 과의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는 강의만 듣고(2개) 2학년이 되어 과가 생겼습니다. 그런데, 저는 애초에 이 과를 진학할 생각으로 입학하지 않았어서 정보가 0인채로 들어왔기도 하고 선택 직전까지 고민하느라 (탐색과목 듣고 재밌어서 이 과로 진학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백엔드, 프론트, 사보, 인공지능 등등이 있다는 것만 알고 자세히 아는 게 하나도 없어서 2학년이 되니 방학에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겠더라구요,, 여전히 모르는 상태이긴 합니다. 아직 제대로 할 줄 아는 것은 없어서 대외활동이나 공모전은 겨울방학이나 3학년때 할 예정입니다. 동아리도 아직 들어가지 못했구요. 그래서 우선 지난학기에 배웠던 네트워크부터 복습하고 있었는데 자취생이라 돈을 벌러 일을 많이 하다보니 한 달이 훅 지났더라구요,, 근데 네트워크도 못끝냈고 계획해뒀던 파이썬, C언어는 공부를 꼭 해야하나 싶은 생각도 들고 여러 생각이 겹치면서 공부를 놔버린 상태입니다.. 지난 학기에는 C,파이썬, 네트워크, html/css/js, 공학수학을 배웠습니다. 이번 여름방학에는 새로운 것을 공부하는 게 나을까요 복습하는 것이 나을까요? 한 달 밖에 남지 않았지만.. 남은 시간이라도 의미있게 보내고 싶습니다. 개발자를 할지, 보안으로 빠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학교 공부부터 우선적으로 해야할까요 약간 관심있는 분야는 보안입니다. 근데 보안 관련 강의를 아직 하나도 안 들어봐서 확실하진 않습니다. 프로젝트를 다들 해보라고는 하는데.. 잘 할 줄 아는 언어가 없는데 이럴경우엔 코딩실력 먼저 기르는 게 맞나요? 글이 많이 길어졌네요. 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민이 너무 많은 저에게 한줄기의 빛이 되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무작정 뭐든 해보라고 말은 많이 들었는데, 제가 뭘 해야할지 완벽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 성향이 너무너무너무 커서 (저도 스트레스..) 약간 도전을 두려워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ㅋㅋ 암튼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고민

#여름방학

답변 1

댓글 0

조회 31

2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개발자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코스콤 브랜드 전략 관련 설문조사] 안녕하세요 저희는 SK브로드밴드 X 코스콤 대학생 아이디어 페스티벌에 참가 중인 고려대 글로벌경영전략학회 SBC의 Ko.SBC팀입니다! 코스콤의 브랜드 인식과 이미지를 판단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소요 시간: 약 5~7분 ✔️ 참여자 중 1분께 추첨을 통해 10만원권 상품권을 드립니다. 응답은 익명으로 수집되며,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은 코스콤의 브랜드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ZQcp-ZNW3ajwl8s_FkKhRocQ_nbomAnamyDlHd1MV7bCJEA/viewform?usp=header 바쁘시겠지만, 잠시만 시간을 내어 참여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취업

답변 0

댓글 0

조회 12

2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새로운 답변

지피티 코딩에 의존해도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문과에서 편입한 4학년 데이터 관련 학부생입니다. 편입했을 당시는 이미 지피티가 있었을 시기라 그런지 저는 모든 코딩 작업을 지피티에 명령하며 과제와 프로젝트를 해왔습니다. 교수님께서도 지피티를 잘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살아남는다는 말씀을 하실 정도로 ai 코딩에 대해서 적극 권장하고 계십니다. 취업 준비를 해야 해서 ADsp 취득하고 정처기 실기를 준비하는 중입니다만... 제가 코딩을 사용하는 어느 직군에 가도 지피티를 사용하면서 업무를 수행할 거 같다는 확신입니다. 지피티 없이는 코드를 짤 줄 모르니까요... 이런 제가 개발이나 유지보수, 데이터 분석과도 같은 직무를 준비해도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문과 직무를 가자니 현재로선 준비된 것도 드물고요... 제 미래에 대한 진심 어린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취업

답변 1

댓글 0

조회 30

5분 전 · 박연우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맥북 뭘 사야할까요??..

아직 취준생이고 스프링부트로 개발해서 인텔리제이, 도커 사용하는게 주된 일인데 에어 m4 램 16이면 부족할까요?? 24이상 많이 쓰긴하던데 돈때문에 좀 고민이라서요 .. 어떤가요?

#맥북

#맥북에어

#백엔드

답변 1

댓글 2

조회 54

2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직무 PT에 대해 궁금합니다.

이번에 면접을 보는 곳에서 직무 PT가 있습니다. 근데 실무면접만 준비해봐서 직무 PT는 어떻게 준비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PT 주제는 본인의 경력 혹은 주요 프로젝트별 역활 및 보유역량에 대해 설명 입니다. 발표시간은 5~10분 내외먄 분량은 5페이지 내외입니다. 제가 작성할거는 1. 자기소개 & 경력 개요 (1장) 2. 대표 프로젝트 2~3개 (2~3장) 하나 더 무엇을 써야할지 모르겠습니다. GPT에서는 아래의 두개를 적으라고 나왔는데 맞을까요ㅕ? 4. 협업 중심의 문제 해결 경험 & 커뮤니케이션 (1p) 5. 해당 포지션과의 연결 & 입사 후 포부 (1p) 아니면 어떻게 작성해야되는 알려주세여.

#면접준비

#면접

#면접질문

답변 0

댓글 0

조회 15

2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새로운 답변

3년차 프론트엔드 이직 커리어 질문

안녕하세요 올해 26살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현재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경영악화로 급여가 밀리고 있어서, 이직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면접 경험 쌓을 겸 가리지 않고 여기저기 면접을 보고 어느 커머스 관련 중소기업에서 오퍼 제의가 왔는데, 현재 연봉보다 20% 상승분에 해당하는 연봉을 제시했습니다. 근데 고민은 해당 기업의 순이익이 제로에 수렴하는 금액이고, 성장률이 아래로 점점 하락하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자사 커머스 솔루션에 투입이 되지만 간간히 SI건의 프로젝트에도 투입된다고 합니다. 또한 잡플래닛 리뷰도 좋지 않은 것 같구요. 근데 현재 채용시장 상황도 그렇고 급여도 밀리고 있는 상황에서 20% 연봉 상승이라는 메리트가 너무 크게 느껴져서 너무 고민입니다. 원래 계획으로는 내년쯤에 규모가 더 큰 중견 혹은 대기업으로 이직 준비하려 했는데 (물론 쉽지 않겠지만), 갑자기 이런 상황이 닥치니 당황스럽네요. 만약 이직하게 되면 커리어가 꼬이거나, 업그레이드 이직이 힘들어지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 계속 고민이 됩니다. 조금 더 버티면서 이직 준비를 더 해볼지, 아니면 이직하고 나서 다시 준비할지.. 솔직히 현재 채용시장을 보며 자신감도 많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현직에 계신 선배님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이직-준비

#이직

#경력이직

#프론트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53

2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새로운 댓글

3년치 개발자 물경력 고민입니다

IT 회사에 처음 입사 이후로 3년간 다니고 있는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회사에서 jdk1.8, Spring MVC, jsp를 사용하여 개발하고 있습니다. 업무는 자사 솔루션 제품에 대해 유지 보수 및 각 고객사 요구 사항 별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개발해드리고 있고 추가적으로 신규 웹 솔루션을 개발했던 사항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름의 공부도 많이 하고 야근도 많이 하면서 자사 솔루션 코드 전체에 대해 다룰 수 있을 정도로 열심히 했습니다. 엔지니어 팀에게 가서 질문하면서 Linux도 배우고 네트워크도 계속 배우고 정밀 소기업에서 하는 것들은 이것저것 다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요구 사항에 대해 개발을 하여도 단순 페이지 및 CRUD 개발만 하는 것 같고, 기술적인 역량이 느는 것 같지가 않다고 생각했고 내가 지금 물경력이었구나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공부하려고 하는데 요즘 거의 spring boot, react, redis 같이 그나마 신기술들을 대개적으로 사용한다고 보여지는데 제가 배우지 않았던 기술들을 공부하는 것이 우선인지, 아니면 새로운 기술들을 공부하는 것이 우선인지 판단이 서지를 않습니다. 이 회사에 다니면서 자사 솔루션도 발전시키고 싶은 욕망이 있는데 소기업이라 팀원이 저 포함 3명이라서 자꾸 요구 사항들이 들어와 시작도 못해보는 상황이 많습니다. 이직을 한다해도 배우지 못했던 기술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직을 위해 공부하는 것이 맞는 건지, 현재 솔루션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오래되어도 이미 사용하고 있는 기술들을 딥하게 공부하는 것이 맞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앞으로의 개발자로 성장해 나아감에 있어 어떤 방향으로 공부하는 것이 우선인지 선배 개발자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추가적으로 내용이 부족하거나 이해가 안되시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 기술과 어휘력이 부족해서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물경력

#이직고민

#jsp

#spring-mvc

답변 1

댓글 2

조회 33

2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새로운 답변

7년차 물경력 웹개발자 퇴사 후 백수로 공부 후 취업 도전 현실적으로 어떤가요?

어느새 시간이 이렇게나 흘러 연차는 7년차가 되었네요. 소규모 회사만 다녀서 실무는 많이 해봤는데 이론이 많이 부족해요. 이론이라는 건 중견회사 기술면접에서 나오는 것들에 대해서 아예 모르는 수준이네요. 그리고 코팅테스트의 'ㅋ'자도 모르구요. 현재 재직중인 회사는 다음주에 퇴사 예정입니다. (다음 이직없이) 그런 김에 백수로 4달정도? 빡세게 공부하고 포트폴리오 준비를 해서 중견기업을 도전해볼까 하는 생각이 있어요. 너무 말도 안되는 도전일까요? 제가 생각해도 풀타임으로 4달동안 준비한다고 해도 너무 높은 나무를 바라보는 건 아닌가 싶기는 해요. 그리고 아무리 풀타임으로 공부했다고 해도 백수로 몇 달을 공백으로 있는건 회사입장에서도 플러스점수일리가 만무하구요. 백수로 짧게 빡세게 준비해서 중견기업을 노려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회사다니면서 1년정도 기간을 넉넉히 잡고 준비해보는게 좋을까요? 너무나 고민이 많네요 도와주세요!

#이직

#물경력

#백수

답변 1

댓글 0

조회 32

하루 전 · aigoia 님의 새로운 답변

(취준생, 대학생, 직장인 대상 설문) “포트폴리오,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현재 대학교 창업팀에서 포트폴리오 서비스 ‘Colio’를 개발 중입니다. 설문조사를 통해 취업준비생 · 대학생이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때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여러분 입장에서 느끼셨던 고민과 인사이트가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이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설문 대상 :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취업 준비생, 대학생, 직장인 (디자인 분야 아니어도 됩니다~!!) 🕒 소요 시간 : 약 3~5분 🗓️ 기간 : 7. 17 ~ 7. 23 🎁 참여해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https://bit.ly/4m1vVgX **한국외대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설문이라서, 타학교에 다니시면 타학교라고 적어주시면 됩니다!

#채용

#창업

#취업

#설문

답변 1

댓글 0

조회 28

2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답변 업데이트

입사 관련 고민 중입니다. 객관적인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백엔드 개발 준비하고 있는 취업 준비생입니다. 최근 최종합격을 받아 입사 예정인데 처우냐 직무 관련해서 아쉬움이 남아 질문드립니다. 정보를 공유드리면 하단의 정보와 기타 프로젝트 경험이 많습니다. - 인서울 4년제 전공자 - 20대 후반 - 유명 부트캠프 (네부캠, 싸피, 소마 ETC) - 계약직 1년 이상 - DE - 인턴 6개월 - AI / DE - 기타 활동 다수 - BE 어떤 선택지를 할 때 나무보다 숲을 본다는 마음으로 학부부터 개발 직무를 위해 선택하고 가공하고 꾸며왔던 것 같습니다. 학부 시절 우연한 기회로 시작했던 계약직으로 업무를 시작했고, 개발 경험을 확장했습니다. 제가 CS 전공보단 AI 전공이였어서 리서치보단 개발쪽의 커리어를 희망했고, 그러다 보니 프로젝트 경험과 개발자로서 자신감을 가지고 가고 싶어 부트캠프를 선택했고(업무양이 많아 직무 변경이 어려웠음) 그렇게 준비하면서 최근 인턴을 끝마쳤습니다. 약 이렇게 벌써 2년의 시간 동안 Soft Skill 적으로도 Hard Skill 적으로도 많이 성장했다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사실 모든 경험에 대해 취업에 대한 의미보단 성장과 발전에 의미를 두고 한단계 한단계 밟아왔습니다. 그렇게 최근 이제 취업준비를 다시 시작했고 스타트업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사실 최근 채용 한파에 개인 집안 사정도 있어서 입사를 생각하는데 싱숭생숭해서 작성해봅니다. 1. 백엔드 개발로 지원했는데 사내 조직 개편으로 운영 엔지니어 포지션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사이트 근무를 할 수 있다고 하고, 운영업무를 한다는 생각을 하니, 지난 백엔드 개발을 위해 쌓아온 노력들이 아쉽습니다. 2. 3후 + 비포괄 임금제인데, 포지션 변경을 감수할 만큼의 매력있는 연봉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처우 협의를 할 때, 자꾸 채용담당자님께서 인턴, 계약직 연봉을 여쭤봤고 이를 처우로 협의하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가? 의문이 들었습니다. 스스로는 인턴이나 계약직은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반이라고 생각했는데, 노력이 연봉 시작점으로 기준이 잡히는 것이 속상합니다. 3. 개인 사정이 끝나지 않고, 즉시 입사를 요구 사실 백엔드 개발 원래 포지션으로 계속 진행을 했다면, 크게 불만을 갖을 조건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포지션 변경이 아무래도 입사 과정에서 거슬리는 것 같고, 앞으로 커리어에 영향을 미칠까봐 걱정됩니다. 저에겐 그래도 개발을 하고 싶은 욕심도 있고 계속해서 성장하고 싶은 욕구가 있습니다. 최종적인 커리어가 IT서비스업이였으면 좋겠고 이로 나아갈 직무였으면 합니다 제가 스스로 생각했을 때 회사를 선택하는 옵션이 하단이라고 정의했습니다. 1번 대기업 + 네임벨류 + 높은 연봉 / 직무 포기 가능 2번 IT서비스 기업 / 연봉 포기 가능 / 백엔드 관련 개발 직무 이렇게 추려지는데, 현 회사는 2번 조건에 어긋나고, 위 3가지 이유에서 불쾌감을 느껴 입사를 고민하게 됩니다. 현실적으로 채용 한파가 굉장히 심하고, 채용 공고가 씨가 마른다는게 느껴집니다. 예의있게 입사를 포기해야할지, 제가 좀 배부른 고민 및 자만하고 있는 것인지 객관적으로 의견들어보고 싶어 작성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이직

#신입

#개발

#입사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78

3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새로운 답변

중소기업 신입 개발자 이직 질문

안녕하세요, 중소기업 SI 회사에 취직하여 1달 반정도 근무한 신입 개발자입니다. 저는 지금 회사에 백엔드 개발자를 구한다하여 지원했는데, 막상 입사를 해보니 백엔드 관련 업무보다는 jQuery, js, 웹 디자인 등등 프론트 관련된 일만 하고 있습니다. 들어보니, 앞으로도 백엔드보다는 프론트엔드 관련된 일이나 데이터 분석과 같은 더 많을 거라고 하네요. 또한 회사에서 신입으로 오랜만에 뽑는 거라 신업 교육에 대한 체계(?) 가 없으며, 실무에도 언제 투입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거리도 가깝고, 규모가 있는 중소기업 SI 회사에 면접 제의가 왔는데 빠르게 이직을 하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1년 동안 버티다 이직하는 것이 나을까요?

#이직

#신입

#java

답변 2

댓글 0

조회 45

3일 전 · 엘리 선생님 님의 답변 업데이트

컴공 학부생 개발 공부 가이드

안녕하세요, 현재 컴공 2학년 재학 중인 학부생입니다. 아직 개발 분야 진로 같은건 명확하게 정한 건 없지만, 해커톤이나 각종 대회를 나가면서 제가 느낀 건 AI가 안쓰이는 곳이 없다는 걸 느꼈습니다. 어떤 프로젝트를 하던 간에 AI 도움을 받거나 AI 중심의 서비스 개발이 주류였던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개인 프로젝트에 AI를 꼭 사용합니다. 사실 AI가 없으면 개발이 불가능하다고 말할 정도로 제가 AI 의존도가 높습니다. 그냥 무지성 에러 복붙은 아니고 구조도 보고 하지만 제가 코드를 직접 쓰는 경우는 거의 없고 AI한테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하라고 지시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제가 고민인건 이렇게 개발을 계속 하는 것이 맞는건가요? 실제로 실무에서도 이렇게 개발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AI 툴을 금지한다면, 앞으로 AI 없이 개발하는 걸 연습해야 할까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인공지능

#공부고민

#공부-방법

답변 1

댓글 0

조회 49

5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개발자 커리어(포지션)를 위한 이직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5년차 Windows 개발자입니다. 현회사에서 포지션 관련 고민이 계속 생겨서 여기 계신 분들께 조언을 얻고자 질문 드립니다. 현회사에는 Windows 포지션으로 경력 입사를 했지만, 실제로는 서버, ai 관련 에이전트(파이썬), js 등의 업무 비율이 주 포지션(Windows, c/c++)보다 훨씬 높은 상황입니다. 추후에는 안드로이드와 브라우저 개발에 참여할 거 같습니다. 이렁 상황이다보니 요즘들어 이직 고민을 하게 되었고, 두 회사에서 제안이 와 한 곳은 최종합격, 한 곳은 처우협의 중입니다. 1번 회사 - 스타트업 - Windows 시스템 및 응용 개발(드라이버~응용)만 약속 - 리더 직책 고려 중 - 시드 투자 단계 - GS 1등급 획득 - 업력이 높진 않지만, 모회사가 존재하여, 기술지원과 QA 인력이 뱔도 존재 - 모회사 거래 업체에 제품 계약이 이뤄지고 있는 중 - 급여 15프로 인상, 복지 및 혜택 더 좋음 2번 회사 - 현회사와 경쟁사로 중소기업 - Windows 시스템 및 응용 개발(드라이버~응용)만 약속 - 제품 유지 보수 및 연구가 주 업무 - 처우 협의 중이지만, 연봉 및 복지는 현회사와 차이 없을 것으로 예상 현회사 - 상장 중소 기업 - Windows 포지션으로 들어왔지만, 다른 업무 비율 높음 - 유지 보수(고객사 페이지, js) 작업 등 - 주 포지션 외 프로젝트에 투입(ai 에이전트 서버) - 면담 후, 안드로이드, 자체 브라우저 개발 프로젝트 투입 가능성 이런 상황에서 저의 제일 큰 고민은 1. 이직을 하여 개발자 전체 커리어를 7~8년차까지 Windows로 깊게 가져가면서 조금씩 리눅스 등으로 확장하는 것이 맞을지 - 이 경우, 스타트업을 가게 되면 이후 이직이 많이 어려울지 고민됩니다. 2. 현회사에서 다양한 포지션의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지금부터 넓게 가져가는게 맞을지 입니다. 어떤 선택을 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투표

#이직

#이직고민

#커리어고민

#이직제안

#이직사유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84

4일 전 · 전민우 님의 새로운 답변

일반적인 인앱결제 구현 방법

구독형 앱을 만들어 보고 있습니다! 인앱결제 방식으로 구현 중인데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 건지 헷갈리네요 1. 같은 스토어(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다른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해도 구독이 공유되어야 하는 게 맞는 건지 ex) 구글플레이 - 카카오 소셜 계정으로 구독 후 구글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 시 구독 상태 공유 2.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처럼 서로 다른 스토어에서 같은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구독이 공유되어야 하는 건지 ex) 구글 플레이에서 카카오 소셜 로그인으로 구독 후 앱스토어에서 동일한 카카오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 시 구독 상태 공유 일반적으로 이 방식으로 구현하는 게 맞는 건가요?

#인앱결제

답변 1

댓글 0

조회 60

4일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예외처리에 범위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스터디 모집 커뮤니티를 개발한다했을때, 스터디 모집 종료가 되면 프론트에서 지원하기나 다른 액션을 하지 못하게 버튼을 숨기거나 처리 하잖아요 근데 버튼을 숨겨서 사용자가 할 수 없음에도, 이중보안으로 백엔드에서 모집 종료되면 지원을 못하게 한다던가 그런 로직까지 모두 하나하나 예외처리 응답 신경을 써야하는게 맞는건가요? 뭔가 직접적으로 ui에서 사용자가 요청할 순 없지만, 포스트맨같이 api로 요청하면 일어날 수 있는 상황같은 경우의수 싹다 신경을 썼는데 너무 불필요한것까지 신경을 쓰는건지 맞는건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백엔드

답변 1

댓글 1

조회 34

8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AI 학습에 필요한 수학 공부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교 2학년인 웹 공학 전공생입니다. 요즘 뉴스에도 AI 관련 정보가 자주 뜨고, 어딜 가도 AI 이야기만 하는 것 같아서요. AI에 관심이 있기도 하고, 나중에 AI 관련 일을 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AI가 무엇인지는 자세하게 알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AI 연구하는 친구에게 물어봐 파이토치와 딥러닝 이론에 대한 책을 추천받아 공부 중입니다.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시리즈, '파이토치 첫걸음') 그런데 공부하다 보니 수학에 발목이 잡히더군요. 저는 수능 때 미적분을 선택해서 확률과 통계, 기하학에 대해서는 거의 무지한 상태입니다. 파이썬은 1학년 때 독학하고 학교에서도 공부한 게 있어서 문제는 없었지만, 책에 나오는 수학적 개념과 앞으로 공부해야 할 수학 부분들이 약하다는 생각이 들어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생각해본 게 고3 수험 책('확률과 통계 시발점' 같은)과 인강을 하나 끊어서 공부하거나, 인터넷에서 선형대수학, 미적분, 확률과 통계 책을 사서 공부해보려고 하는데요. 현직자분들이나 대학원생분, 선배님들은 어떻게 수학 공부를 하셨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인공지능

#수학

#대학생

답변 1

댓글 0

조회 53

7일 전 · 민우 님의 새로운 답변

수원대 편입 후 재편입 생각중입니다. (25,여, 컴퓨터학부)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우선 간단하게 제 상황을 설명하겠습니다. 저는 전문대학교 컴퓨터 관련 학과에서 수원대 컴퓨터 학부로 편입한 25 여자 입니다. 가고 싶었던 대학교(시립대 X)에 떨어지고 수원대 컴퓨터학과에 재학중입니다. 전문대에서 4년제로 편입은 했지만 원하던 대학교가 아니라 계속해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지금 학교에서 졸업을 하게 돼도 빠르면 27 늦으면 28에 취업을 하게 될 텐데.. 재편입을 하면 28,29에 첫 취업을 하게 되는데 그러면 너무 늦게 취업을 하게 되는 게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시립대 편입을 하게 된다면 학비는 부모님께 손 안 벌리고 알바 해서 등록금을 낼 예정입니다. 편입에 아쉬움이 많은데.. 부모님께 손 벌리기 눈치 보여서 등록금이 저렴한 곳 -> 시립대로 편입을 할 예정입니다. 제가 학벌 콤플렉스가 있어서 계속 편입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 거 같은데 그냥 단념하고 수원대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자격증 따고, 대회도 나가고, 인턴도 하고,.. 여러 활동을 하는 게 나을지.. 수원대 수업 병행하고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과학부 편입 준비를 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1. 수원대에서 시립대로 편입하면 (대기업, 중소기업, 공기업) 취업할 때 이점이 많을 까요? (28, 여자 시립대) 2. 수원대학교로 만족하고 다니기(학교생활 집중) VS 시립대 도전하기(학교 병행) 3. 수원대에서 대기업, 공기업에 신입으로 취직 하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할까요? 4. 시립대는 수원대보다 학생들을 위한 혜택이(교환 학생 제도, 장학금 제도, 취업 관련 회사(인턴), 우수한 교수진 ... ) 많아서 편입을 하고 싶은 마음이 더 듭니다. 그저 시립대의 학생 혜택 때문에 편입을 고려하는 건 너무 어리석은 생각일까요?

#4년제편입

#편입경험자

#재편입

#서울시립대학교

#시립대전자전기컴퓨터과학부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2

조회 87

9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중소(300명 이상) 에서 스타트업 이직 고민(개발직)

안녕하세요. 5년차를 바라보는 Windows 개발자입니다. 저의 경력은 - 0~3 : Windows 응용 프로그램 개발 - 3~5 : Windows 드라이버 및 시스템 개발 입니다. 저의 개발자로서의 목표는 정말 거창하지만, Windows 전반에 걸친 개발의 스페셜리스트가 되는 것입니다. 경력 중 3~5년차 경력은 중소 보안회사(300명 이상)에서 쌓았으며, 여기서 저의 이직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고민의 원인은 1. Windows 드라이버 및 시스템 개발, 유지보수로 입사했지만, 2년 중 1년은 AI 관련 프로젝트 투입(AI 개발이 아닌 연계 서버 개발) 2. 불만 표현 후, 조치 사항으로 모바일(안드로이드) 코어 개발(루팅 탐지 등) 제안 3. Windows 드라이버 및 시스템 개발, 유지보수와 2번을 병행할 것을 제안 위 원인들로 인해 Windows 개발자로서의 커리어와 기술적 전문성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계속해서 현회사를 다니게 되면, 모바일(안드로이드)에 대한 전문성도 커리어에 추가할 수 있을거란 기대는 있습니다. 위 고민 중 한 스타트업에서 입사 제안이 왔습니다. 이곳에서의 저의 역할은 커널 드라이버~응용까지 Windows 전반적인 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입니다. 기술 내용으로 짐작했을 때, 드라이버 개발 레벨은 그렇게 높지 않아보이는 것에 멈칫했지만, 대우와 Windows에 몰입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있습니다. 만약, 저와 같은 상황에 놓였다면 어떤 결정을 하시겠나요? 다시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현회사 - Windows 개발자로 들어왔지만, 2년 중 1년 이상을 ai 관련 서버와 에이전트 개발을 진행 - 이후부터 모바일(안드로이드) 코어 개발과 Windows 개발 병행을 약속 - 보안 회사라는 특징 상, 높은 수준의 Windows 커널 드라이버와 시스템 개발을 접할 수 있음 이직 회사 - Windows 전반(커널 드라이버~응용)적인 개발 역할을 맡게 됨 - 대략적인 기술은 Windows 전반적인 이벤트들을 수집 및 모니터링으로 커널 드라이버에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있는지는 미지수 - 현직장 대비 높은 연봉(약 20%), 복지 제시

투표

#스타트업

#보안

#windows

#이직고민

#이직사유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460

9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백엔드 엔지니어 명함 칭호

요즘 트렌드가 궁금합니다 Software Engineer - Backend Backend Enginner Backend Developer 백엔드 개발자 ... 어떤거 쓰나요?

#백엔드

#명함

답변 0

댓글 0

조회 36

7일 전 · 민우 님의 새로운 답변

안녕하세요 중국유학생 입니다

건국대를 다니고 있는 중국유학생입니다 아직도 진로를 고민하면서 정하지못했습니다 아무래도 중국어를 하나 할줄알아서 이것도 이용해보면서 저한티 유리한 직업을 하고싶은데 뭘 할지 고민됩니다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뭐가 저한테 더 좋을까요?

#백엔드

#취업

#중국인

답변 1

댓글 0

조회 40